•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aroma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V) -양송이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Agaricus Bisporus) of Korea)

  • 안장수;김성곤;박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6
    • /
    • 1987
  • 한국산 양송이버섯의 생것과 가열한 것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양송이에서는 향기성분 13종을 동정하였으며 이들중 1-octen-3-ol이 73.13%로 가장 많았고 2-octenol 7.44%, 3-octanone 3.09%, 3-octanol 1.42%로 전체의 85.08%를 차지하였다. 2) 가열중인 것에서도 13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역시 1-octen-3-ol이 68.86%로 가장 많았으며 2-octenol이 8.42%, 3-octanone 3.75%, Benzyl alcohol 3.23%, 3-octanol 1.97%로 전체의 86.23%를 함유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표고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Lentinus edodes) of Korea)

  • 안장수;김을상;박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8-332
    • /
    • 1987
  • 한국산 표고버섯의 생것과 가열한것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곁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표고버섯에서는 향기성분 10종을 동정하였으며 이들중 1-octen-3-ol이 71.05%, ethylacetate 1.17%, 2-octenol 1.22%, 그리고 octylalcohol 1.05%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74.47%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2) 가열중인 것에서는 8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1-octen-3-ol이 83.68%, ethylacetate 2.24%, 2-octenol 1.55%, octylalcohol 1.28% 및 1,2,4-trithiolane 1.91%로 전체 향기성분의 90.56%를 함유하였다. 3) 1,2,4-trithiolane과 1,2,4,5-tetrathiane은 유황화합물의 향기성분들로서 표고버섯 향기의 특징으로 인정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송이 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3-257
    • /
    • 1986
  • 한국산 송이버섯의 생 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송이버섯의 향기성분 13종을 명확 동정하였다. 이들 중 1-octen-3-ol이 73.95% Methyl Cinnamate가 12.52% , 2-octanol 7.62% 및 octyl alcohol 2.78%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6.78%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송이버섯에서 향기성분 9종을 명확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 1-octen-3-ol이 64.94%, Methyl cinnamate가 22.03%, 2-octenol 7.68% 및 Octyl alcohol이 22.03%로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97.96%로 조성되었다. 3) 생 송이버섯과 조리 중의 송이버섯의 향기 성분은 대부분이 Alcohol류와 Carbonyl화합물이며 탄소수가 8개인 저급 화합물이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2
    • /
    • 1986
  • 한국산 느타리버섯의 생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 24종을 확인 동정하였다. 이들 중 3Octanol이 46.01% 3-octanone은 18.75%, 1-octene-3-ol이 15.39% Isobutyl alcohol이 3.48%, 그리고 Isoamylalcohol은 3.07%, 2-methylbutylalcohol이 2.34%로 이들 6가지 성분이 전체 향기성분중에서 89.04%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느타리버섯에서는 향기성분 16종을 확인 동정하였으며 이중 1-octen-3-ol이 66.50%, 3-octanol 10.99%, 3-octanone 9.77% 1-octen-3-one 1.3% 및 Octyl alcohol 1.12%로 이들 5가지 성분이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89.61%로 조성 되었다. 3) 느타리버섯의 생것이나 조리 중의 향기성분은 대부분이 Carbonyl 화합물과 Alcohol류로 되어 있었으며 탄소수는 $2{\sim}8$개인 저급 지방족화합물로 되어 있었다.

  • PDF

버섯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Mushroom Uses)

  • 김정숙;한재숙;이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1-295
    • /
    • 1994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mushroom uses by housewives in Taegu metropolitan region to provide basic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of mushroom cooking methods. We have done statistical analyses of 472 questionnaires on mushroom use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many respondents regarded mushrooms as one of natural, or health foods. The most well-known mushrooms turned out to be Pleurotus ostreatus, Dried Lentinus edodes, Ganoderma lucidum, Agaricus bisporus and Tricholoma matsutake in the order. The higher in income and year of education, the more species of mushroom are known to respondents. Anticancer effect of mushrooms are known very well and 56.4% of respondents eat Pleurotus edodes often. Preference between mushrooms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Preferred characteristics are taste, texture and aroma: respondents preferred texture of Pleurotus ostreatus, and taste and aroma of Tricholoma matsutake. Main purchasing place for mushrooms turned out to be market. Majorproblems of mushroom uses are price,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s, storage and preservation of mushrooms.

  • PDF

노랑느타리와 분홍느타리의 건조조건에 따른 C8과 C9 향기성분의 변화 (The change in C8 and C9 volatile compounds according to the drying conditions of Pleurotus citrinopileauts and P. djamor)

  • 오민지;김민식;임지훈;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2-227
    • /
    • 2023
  • 국내에서 가장 쉽게 재배될 수 있는 느타리류 중 노랑느타리와 분홍느타리의 자실체를 이용한 가공화의 활성화를 위해 건조 조건에 따른 휘발 성분의 농도 변화를 본 연구에서 분석하였다. 노랑느타리와 분홍느타리 자실체의 갓과 대를 분리하여 -70℃에서 12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고, 40, 50, 60, -70℃의 온도에서 각각 24, 24, 16, 12시간 동안 열풍건조 하였다. 건조된 시료를 분쇄하여 SPME-GC-MS로 정량분석한 노랑느타리 주요 향기성분인 t-2-nonenal은 동결건조 시 갓과 대에서 각각 164.43 ㎍/g d.w., 174.80 ㎍/g d.w.인 반면, 열풍건조 시 0.35~3.41 ㎍/g d.w., 0.98~59.88 ㎍/g d.w.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찬가지로, 분홍느타리 주요 향기성분인 1-octen-3-ol은 동결건조 시 갓과 대에서 각각 31.05 ㎍/g d.w., 176.17 ㎍/g d.w.인 반면, 열풍건조 시 1.59~9.66 ㎍/g d.w., 1.96~15.77 ㎍/g d.w.로 감소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휘발 성분이 열풍건조 시 처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느타리류를 가공함에 있어 버섯 향과 관련한 건조 조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AEDA법에 의한 한국한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2. 시판 새우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2.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9-325
    • /
    • 1999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rean salt 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 tometry(V SDE/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A total of 32 volatile com 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18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S containing compounds(5), aldehydes(4), ketones(3), N containing compounds(3), ester(1), alcohol(1) and aromatic hydrocarbon(1).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4) in salt fermented shrimp were 2,3 butanedione(sour/butter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dimethyl trisulfide(cooked cabbage /soy sauce like) and 2 acetylthiazole(grainy/nutty). Predominant free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sour and umami taste), arginine, methionine(bitter) and lysine(sweet and bitter) in evaluation of taste value.

  • PDF

능이버섯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Sarcodon aspratus))

  • 정옥진;윤향식;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7-312
    • /
    • 2001
  • 능이버섯의 향기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SDE, SFE, headspace 로 추출하고 GC, GC-MS로 동정하였으며, 능이버섯의 향기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GC-olfactometry 방법중 AEDA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DE 추출물에서는 33개, SFE추출물에서는 26개, headspace 추출물에서는 17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확인된 화합물의 주성분은 1-octen-3-ol, 1-octen-3-one, 3-octanone, 2-octen-1-ol, 3-octanol, 1-octanol 등의 $C_8$ 화합물과 benzeneacetaldehyde등이었다. AEDA 결과 능이버섯의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생능이버섯내(unknown), 생버섯내(1-octen-3-ol), 곰팡이내(1-octen-3-one), 흙내(3-octanol), 풀내(1-octanol), 강한 풀내(2-octenal), 단 꽃내(benzeneacetaldehyde), 목재내(L-linalool), 치즈내(3-hydroxy-2-butanone), 상큼한 단내(2-decanone), 약간의 불쾌한 고기내(3-methyl thiopropanol), 시큼한 우유내(propanoic acid)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과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Sing.)의 저온 저장과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Low Temperature Storage and Storage Period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Lentinula edodes GNA01) and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Sing.))

  •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윤예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n storage by temperature between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Lentinula edodes GNA01) and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Methods: Dewdrop Pine Mushroom and button mushroom were prepared at low storage temperature. Results: Weight loss increased with time, whereas the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showed a decrease of less than 4% until 15days. Hardness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reduces less than button mushroom during storage. Color change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not altered during storage. For viable cell count,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proliferated less than button mushroom. For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storage period of both mushrooms. The electron-donating action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maintain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ccounting for 80% until 12 days of storage.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evaluated as better than pine mushroom as it exceeded the middle of storage in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appearance, color,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etc. Conclusion: In summary,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stored for 12 days while button mushroom was stored for 9 days.

시판 밴댕이젓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Eyed Herring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3-1058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alt fermented big eyed herring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 A total of 44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23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aldehydes(7), esters(5), ketones(4),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 aromatic hydrocarbons(2), alcohol(1)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1). Predominant odorants (Log3FD$\geq$5) in sample were ethyl butanoate(bubble gum /sweet candy-like), 3 methylbutyl butanoate (almond /nutt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E,E) 2,6 nonadienal(roasted wheat/grainy), dimethyl trisulfide(soy sauce /cooked cabbage like), 2 acet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and unidentified compound(RI=1867, seaweed lik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