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of China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7초

회암사지 일(日)자형 건물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 한지만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2호
    • /
    • pp.85-100
    • /
    • 2010
  •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日type plan building ruins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that's renovat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China, Japan, and Goryeo in that time.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located in the east side of Buddha hall ruins, is the ruins of Jungryo(衆寮). It was called as Jeondanrim, and the name can be seen from the record(天寶山檜巖寺修造記) of Yi-saek(李穡, 1328-96). It's name and the composition of plan is very similar to the Jungryo of Chinese and Japanese Zen monastery in 13th-14th century. And from it, we can see that, the priest Na-ong tried to introduce institution of Chinese Zen monastery, which he experienced during the time of study in China. But, the location of Jungryo in Hoe-amsa monastery is deferent from the Zen monastery of China and Japan, and it can be said as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Hoe-amsa monastery in Goryeo Dynasty.

조선통보의 주조원료와 산지 연구(I)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Chosen-Tongbo (I))

  • 강형태;김규호;허우영;평미양광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15-20
    • /
    • 2004
  • 조선시대 최초의 동전은 조선통보이며 1423년에 주조되었다. 조선통보 2점을 입수하여 원자흡수분광분석법 및 중성자방사화분석법으로 모두 9종의 성분함량을 결정하였고 열이온화질량분석법으로 납동위원소비를 결정하여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조선통보의 성분조성은 $Cu\;90\%,\;Pb\;3\~4\%,\;Sn\;2\~3\%$ 로서 중국과 일본의 동전과는 다른 조성을 나타내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중국남부 방연석 분포범위에 속하였으며 통계적 분석법으로서 선형판별식분석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해양 목포시의 상징 모티브를 이용한 생활문화상품 디자인개발 (A Development of Living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Symbol of a Maritime Mokpo City)

  • 박미령;박혜령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03-11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ducts in Mokpo city and their problems and develop cultural products design suitable to this situation. Cultural products in Mokpo sold here are made from China and have lower quality or traditional crafts and folkcrafts which can be purchased anywhere in Korea and they are not enough to show identity or image of Mokpo city. So I mixed the logos of 'mokpo city' and 'national maritime museum' based on main motive of 'modern Korean ship and shipbuilding tools' held by 'National Maritime Museum' and 'Goebukseon (turtle ship)' and 'Hanseon' which are suitable to the image of maritime culture as cultural products advocated by Mokpo city and developed one design style for print. This design is applied to T-shirts, necktie, cap, cushion and mug. Silk print, transfer print and needlework techniques are applied to each item and the whole cultural products have design of set concept. It is a case of applying modern product marketing technique to our cultural products not a design for only one item, is aimed to recreate spiritual and cultural value that a region has as daily goods to be used by general consumers and show the chance and possibility to complement shortcomings of existing cultural products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having locality.

  • PDF

전통과 혁신: 석당(石堂) 공방과 20세기 책거리의 도전 (Tradition and Innovation: Seokdang Workshop and the Chaekgeori Challenge)

  • 김수진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200-225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민화 책거리>를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국내외 소장품 총 14점을 발굴하여 '석당' 공방 제작품으로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첫째, 이 작품군에 찍힌 인장(印章)을 토대로 이들이 제작된 공방의 이름을 석당(石堂)으로 명명했다. 둘째, 작품 14점의 도상을 분석하여 이들이 제작된 시기가 1920년대일 것이라는 점을 추론했다. 셋째, 이 작품군에 드러난 지명과 주소 같은 정보를 통해 이 작품군이 주문화가 아니라 반(半)기성화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논의했다. 넷째, 이 작품에 보이는 다양한 첨단 제품의 도안을 분석하여 이것이 중화(中華)의 몰락 및 구미(歐美)의 부상을 포함한 새로운 외교 관계를 표상하며 구미로부터 물건이 직수입되기 시작한 통상 환경의 변화를 예증한다는 사실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20세기 전반에 유행했던 이형록-이덕영 계열의 책거리와 석당 계열 책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시각 문화에 있어 전통의 계승 및 혁신 문제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 출토 화천의 보존처리와 고고학적 분석 (Conservation and Archaeological Analysis of Huo Quan Coins Excavated from Tomb No. 4 at the Madeung Archeological Site in Heukcheon-ri, Haenam)

  • 김미도리;조연태;이양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37-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청동주화 화천(貨泉)을 보존처리하고 과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고고학적으로 해석하였다.'화천'은 중국 왕망대(王莽代)에 만들어진 동전으로 우리나라의 삼한시대에 사용되었던 화폐이다. 해남 흑천리 마등 유적에서는 조사결과 총 13점이 중첩되어 출토되었는데, 크게 세 묶음으로 구분된다. 이중 B 묶음의 한 점만 육안으로 화천이라는 글자가 확인되며, 나머지는 전혀 글자가 확인되지 않는다. 보존처리 방법은 우선 동전 표면 위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취약한 재질을 강화한 후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동전의 정확한 개수와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Nano CT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13점 중 12점에 화천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흑천리 출토품 외에 광주 복룡동 무덤에서 다량의 화천이 출토되는 사례로 보아 당시 이 지역에서 화폐경제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양 장황에 사용된 축목과 축두에 관한 연구 (Study of Wooden Chukmok and Chukdu Used for East Asian Mounting)

  • 장연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9권
    • /
    • pp.53-68
    • /
    • 2018
  • 서화의 장황(粧䌙) 형태 중 족자와 두루마리는 상·하 또는 좌·우 끝에 축목(軸木)과 축두(軸頭)를 장착하여 걸어서 감상하고, 말아서 보관하게 된다. 축목과 축두는 한·중·일 각각 다양한 용어와 재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의 축목은 상하축횡목, 축두는 축두로 지칭하며 재료는 소나무, 잣나무, 산유자나무 등이 사용되었다. 중국은 축목을 축간, 축두는 축두라 지칭하며 삼나무, 홍목, 자단 등으로 제작되었다. 일본은 상축을 팔쌍, 팔장, 하축은 축목이라 하고 삼나무, 자단, 수정 등이 사용되었다. 한국의 축두 형태는 끝 단면의 문양에 따라 문양이 없는 무문과 문양이 있는 유문으로 크게 대별된다. 무문은 단면이 평평한 평두와 둥근 둔두로, 유문은 동심원형과 쌍원형, 삼원형으로 나뉜다. 특히 공신도상 3점이 평두의 동심원형으로 장서각에서 소장된 대다수의 교서와 형태가 같다. 그 결과 왕실에서 제작된 공신관련 장황에 사용된 축두가 대부분 평두의 동심원형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변화와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 -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을 중심으로 - (Changes in Exhibitions on the History of Balhae in Russian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Narratives - with the focus on the Federal State Budgetary Institution of Culture "The Vladimir K. Arseniev Museum and Reserve of Far East History" -)

  • 정윤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54-79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의 발해학계에서 박물관 전시를 인식하는 논점이 중국에만 편중되어온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작성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박물관에서 개최된 발해사 전시구성 및 운영정책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국가 간 발해사 이해를 넓힐 수 있는 해석과 표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에 러시아의 발해사 전시를 대표하는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의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대상으로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보았다. 우선 전시구성을 살펴보면, 상설전시는 지역사의 통시적 구성으로, 제1회 및 2회 기획전시는 러시아과학원 주요 소장유물을 포함한 발해사 주제별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전시 운영정책은 박물관 운영규정, 전시 운영인력, 전시 홍보전략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시가 개최된 배경과 역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발해사 전시 개최 분기에 따른 지역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설전시 개편분기에는 국제정상회의 개최지역에 대한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제1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다양한 정책주체들에 의해 한·러 합작 문화관광 현안을 견인하였으나, 제2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국내외적 외교전략 변화 등과 맞물려 홍보 및 연계행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사 교과서 및 발해사 개설서를 분석틀로 삼고 전시 내용과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시대별 내러티브에서는 교과서에서 분리되었던 말갈족과 발해국의 통합 연출이 확인된다. 주제별 내러티브 중 정치사 주제에서는 변방의 말갈족 전사 대신 발해의 중앙 관리로 연출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발해 영역도는 실증적인 조사자료 축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물질문화 주제에서는 농업·수렵을 보여주는 동식물유체 자료의 보강을 제안해보았고, 대외 관계 주제에서는 통일신라 교류와 투르크계 주민 구성을 시사하는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사상문화 주제에서는 고구려 국가제사의례와 관련된 내러티브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학계에서 아직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이므로 추후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연구에 대한 공백을 메우고, 전시가 변화해온 맥락과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 Variation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Sibe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in Northeastern Asia and Population Substructure in South Korea

  • Lee, Mu-Yeong;Lissovsky, Andrey A.;Park, Sun-Kyung;Obolenskaya, Ekaterina V.;Dokuchaev, Nikolay E.;Zhang, Ya-Ping;Yu, Li;Kim, Young-Jun;Voloshina, Inna;Myslenkov, Alexander;Choi, Tae-Young;Min, Mi-Sook;Lee, Ha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6호
    • /
    • pp.566-575
    • /
    • 2008
  • Twenty-five chipmunk species occur in the world, of which only the Sibe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inhabits Asia. To investigate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 variation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Siberian chipmunk in northeastern Asia, we examined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1140 bp) from 3 countries. Analyses of 41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and 33 individuals from Russia and northeast China resulted in 37 haplotypes and 27 haplotyp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hared haplotypes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 northeast China. Phylogenetic trees and network analysis showed 2 major maternal lineages for haplotypes, referred to as the S and R lineages. Haplotype grouping in each cluster was nearly coincident with its geographic affinity. In particular, 3 distinct groups were found that mostly clustered in the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South Korea. Nucleotide diversity of the S lineage was twice that of lineage R. The divergence between S and R lineages was estimated to be 2.98-0.98 Myr. During the ice age, there may have been at least 2 refuges in South Korea and Russia - northeast China. The sequence variation between the S and R lineages was 11.3% (K2P), which is indicative of specific recognition in ro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sibiricus from South Korea could be considered a separate species. However,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details of distribution, nuclear genes data or morphology, is required to strengthen this hypothesis.

선암사 소장 <용문자수탁의(龍紋刺繡卓衣)> 연구 (Study on Housed at Museum of Sun Am Temple)

  • 심연옥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88-100
    • /
    • 2017
  • This study is for the textiles of at Sun Am Temple and characteristic of embroidery. Tak Ui was composed of orange body and green upper cover, and had no strings. The body plate was covered with embroidery, with Gauze base, and upper part was appliqued, by cutting dragon pattern, cloud pattern on satin damask. The thread for embroidery was silk floss, silk twisted thread, rapped gold thread, and rapped silk thread. For padding, it was used cotton thread in the part of dragon's scales. It was used satin stitch, outline stitch, split stitch, couching, and counted stitch, etc. as method of embroidery. In particular, it embroidered counted stitch of diamond shape consecutively on the whole of Tak Ui, it does so with counted stitch of same effect of weaving Brocade in the part of cloud. Besides,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or couching rapped silk thread. Such lead embroidery is the popular method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in the 16~17 century. The design of Tak Ui is dragon, cloud, and wave in the theme. In the center, 'Seong-su-man-nyeon' was placed on the heads of dragon. This is similar to Dragon Robe of Four-petalled medallion patterns, period of Ming dynasty in China. Therefore, it confirmed that Tak Ui was remodeled the embroidered textiles, made for royal robe, originally, with Tak Ui at temple.

A Tent For The Afterlife? Remarks on a Qinghai-Sichuanese Panel

  • GASPARINI, Mariachiara
    • Acta Via Serica
    • /
    • 제6권2호
    • /
    • pp.61-90
    • /
    • 2021
  • Recent excavations in Qinghai Province, China, have disclosed textiles and artworks from Tuyuhun-Tubo (Tibetan) tombs, dated to the 7th-9th centuries, that suggest artistic and cultural exchanges along an external southern branch of the main Silk Road, between Gansu and Sichuan Provinces, across the Qinghai-Tibetan plateau toward the Himalayas. Many similar textiles, possibly from this area, have appeared lately on the art market and ended in private collections. Although these textiles, dated to the early Tibetan period, follow a popular prototype established in Central Asia in the 6th century, the technical features, colors, and other indigenous elements suggest that they were woven in workshops different from those established between Sogdiana and Gansu. The exhibition "Cultural Exchange Along the Silk Road - Masterpieces of the Tubo Period," organized by the Dunhuang Research Academy and the Pritzker Collaborative Art between July and October 2019 in Dunhuang, Gansu, was a groundbreaking event that gathered scholarly attention on early Tibetan material culture, but a relevant publication is still forthcoming. In my previous work, I briefly discussed a group of silk textiles, possibly from Qinghai or Sichuan, that I analyzed in 2014 in the China National Silk Museum in Hangzhou, Zhejiang. In light of the recent material excavated, published online, or displayed in Dunhuang, in this article, I reevaluate the data previously collected, and discuss in detail the technical and iconographic features of one of the fragments held in Hangzhou. Eventually, the piece was recognized as the ending part of a large panel, which is now in the Abegg Stiftung in Riggisberg,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