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tiplexing

검색결과 1,859건 처리시간 0.03초

UMTS망의 AAL2에서 Timer_CU에 따른 다중화 이득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plexing Gain over Timer_CU in AAL2 on UMTS Network)

  • 이현진;김재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8호
    • /
    • pp.35-43
    • /
    • 2004
  • AAL2 전송 방식은 3G WCDMA 망에서 Node-B와 RNC사이에서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AAL2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산 마코프 체인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트래픽의 압축밀도와 대역이득을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 결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집선기에서 AAL2 다중화기의 성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의하여 Node-B에서의 최적의 Timer_CU를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안하였으며, 대역이득의 측면에서 집선기에서의 부가적인 AAL2 다중화기의 이점이 매우 작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Node-B와 Iub인터페이스의 집선기에서 AAL2를 사용했을 때 데이터 트래픽의 경우 음성 트래픽에 비하여 그 이점이 매우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유량 정전분무를 위한 다중 홈노즐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ultiplexed Grooved Nozzles for High Flow Rate Electrospray)

  • 김경태;김우진;김상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10호
    • /
    • pp.848-854
    • /
    • 2007
  • The electrospray operated in the cone-jet mode can generate highly charged micro droplets in an almost uniform size at low flow rates. Therefore, the multiplexing system which can re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e-jet mode is inevitable for the electrospray application. This experiment reports the multiplexed grooved nozzle system with the extractor. The effects of the grooves and the extractor on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spray were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grooved nozzle, the stable cone-jet mode can be achieved at the each groove in the grooved mode. Furthermore, the number of nozzles per unit area is increased by the extractor. The multiplexing density is 12 jets per $cm^2$ at 30 mm distance from the nozzle tip to the ground plate. The multiplexing system for the high flow rate electrospray is realized with the extractor which can diminish the space charge effect without sacrific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e-jet mode.

협력적 공간다중화 기반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시스템을 위한 신호검출 기법 (A Signal Detection Method for Uplink Multiuser Systems Based on Collaborative Spatial Multiplexing)

  • 임태호;김영준;정재훈;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C호
    • /
    • pp.229-237
    • /
    • 2010
  • 기존 SM MIMO 시스템을 위한 신호검출 기법인 OSIC 계열의 기법과 준최적 신호검출 기법인 QRD-M 기법을 협력적 공간다중화 기반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사용자별 신호의 검출성능에 차이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공간다중화 기반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간별 검출성능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최적 신호검출 기법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는 신호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신호검출 기법의 연산복잡도는 QPSK 변조에서는 QRD-M과 유사하지만, 16-QAM, 64-QAM과 같이 높은 차수의 변조방식의 시스템에서는 QRD-M에 비해 매우 낮은 연산복잡도를 가진다.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의 각/프랙탈 다중화 방식에서 균일한 회절 효율을 위한 기록 시간 분배 (The exposure-time schedule for uniform diffraction efficiency in angle/fractal multiplexing of holographic data storage)

  • 이재성;최진영;박영필;양현석;박노철
    • 정보저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정보저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4
    • /
    • 2005
  • Because of the photorefractive recording dynamics, each newly recorded hologram partially erases all previously stored image. Thus achieving the desired diffraction efficiency profile for the entire sequence after all images have been recorded requires exposure time schedule. The often cited classical exposure-schedule model predicts a rising-exponential build-up and an exponential decay in An with an exposure time. However because we cannot directly measure the An, it's difficult to establish the relation of both. In this paper, we deduce the relation of diffraction efficiency and exposure time from experiment data and suggest an algorithm to make time schedule profile in angle/fractal multiplexing of holographic data storage. After that, we present simulated result with equal hologram diffraction efficiency for a sequence of 250 holograms recorded by angle/fractal multiplexing.

  • PDF

광섬유 다중통신 시스템을 위한 각도분할 방식 (Angular Division Multiplexing for Multichannel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s)

  • 허선종;김성일;박한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64-171
    • /
    • 1983
  •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짧은 계단형 멀티모우드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정보의 채널을 전송하는 광멀티플렉싱 기술인 각도분할방식(ADM: Angular Division Multiplexing)에 대해 논하였다. 평면파 입력에 대한 광섬유 내의 모우드 결합과 출력 파워 분포가 계산되었으며 시스템의 혼신도 결정이 제시되었다. 모우드 결합 하에서 광섬유의 길이와 입력조건에 따른 펄스폭이 평면 도파판과 광섬유에 대해 비교, 계산되었다. NA(Numerical Aperture)아래의 입력각에 대한 각도폭은 입력각이 클수록 줄어들었으며 출력은 입력각에 파워가 집중된 환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DM시스템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 PDF

다중 안테나 공간 다중화 릴레이 시스템을 위한 근사 최소 비트 오율 전력 할당 방법 (Approximate Minimum BER Power Allocation of MIMO Spatial Multiplexing Relay Systems)

  • 황규호;최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4A호
    • /
    • pp.337-344
    • /
    • 2011
  • 본 논문은 모든 노드가 다중 안테나를 갖는 다중 안테나 (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공간 다중화 (SM, spatial multiplexing) 릴레이 시스템을 비트 오율 (BER, bit error rate) 관점에서 연구한다. 제한된 전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노드와 안테나에서 최적화된 전력 할당 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다중 안테나 공간 다중화 릴레이 시스템을 위한 비트 오율 최소화에 기반을 둔 전력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평균 비트 오율을 직접 최소화하여 얻어지며, 노드 간 (inter-node) 전력 할당 알고리즘과 안테나 간 (inter-antenna) 전력 할당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비트 오율 성능에 있어서, 기존의 균등 전력 할당 (EPA, equal power allocation) 알고리즘보다 추가적인 전력 소비 없이도 월등한 성능을 보인다.

MB-OFDM UWB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MIMO 수신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Spatial Multiplexing MIMO in MB-OFDM UWB Receivers)

  • 서정원;권양수;김석현;정재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2A호
    • /
    • pp.121-129
    • /
    • 2008
  • 본 논문은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표준인 MB-OFDM (MultiBan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WB(Ultra Wide-Band) 시스템에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성능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률을 2배로 올리기 위한 공간 다중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수신기 구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송신단은2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수평 부호화 방식과 대각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수신단은 2, 3개 안테나에 대한 다양한 공간다중화 수신기 방식을 고려하였다. 다양한 공간 다중화 수신단 구조의 연산 복잡도 비교와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해 $2{\times}2$ 구조의 MML 방법 또는 $\2{times}3$ 구조의 ZF 방법이 SISO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송률을 높이는 MIMO MB-OFDM의 간단한 수신단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선형 선부호기를 이용한 새로운 폐루프 공간 다중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New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System Using Linear Precoder)

  • 채창현;최대원;정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A호
    • /
    • pp.44-49
    • /
    • 2008
  • 최근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수신측에서 궤환되는 위상 정보로 간단한 ML(maximum likelihood) 복호를 할 수 있는 OSM(orthogonal spatial multiplexing)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기법은 궤환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SM(spatial multiplexing)보다 성능 측면에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송수신 안테나에 대해 기존의 OSM 구조와 선부호기를 직렬 연접하여 구성된 새로운 CSM(closed-loop SM)을 제안한다. 전산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SM과 OSM에 비해 4-QAM에 대해구는 각각 3dB와 5dB, 그리고 16-QAM에 대해서는 각각 1dB와 3dB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에 대하여 ML 복호 성능과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가지면서 더불어 수신단 복호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복호 알고리즘도 추가로 제안한다.

각 다중화 방식의 홀로그래픽 정보저장기기의 양방향틸트 보상시스템 설계 (Design of 2-axis compensation servo system for angle multiplexing Holographic Data Storage)

  • 임성용;김낙영;한초록;박경수;박노철;양현석;박영필
    • 정보저장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9-24
    • /
    • 2011
  •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one of the next generation data storage devices, is a 2-dimensional page oriented memory system using volume holograms in writing and retrieving process. Recently photopolymer with disc type substrate was selected as a media for the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The disc tilt occurs when the media rotates and the external disturbance applies. The disc tilt causes the change of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beam and the media, the data cannot be retrieved with the right angle or other data page is retrieved. The tilt is generated in a 2-axis direction (tangential, radial). The tangential tilt direction is the same with the multiplexing plane, while the radial tilt direction is a perpendicular to the multiplexing plan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2-axis tilt angle servo system. The tilt errors are measured by using external photo detector and the additional red laser. Then the tangential direction tilt is compensated by using the galvano mirror. Also the radial direction tilt is compensated by the rotating prism between the relay lens in the reference field. Finally we confirm the compensation results through the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Bit Error Rate(BER).

Filt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scheme based on polar code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with non-Gaussian distribution noise

  • Ahmed, Mustafa Sami;Shah, Nor Shahida Mohd;Al-Aboosi, Yasin Yousif;Gismalla, Mohammed S.M.;Abdullah, Mohammad F.L.;Jawhar, Yasir Amer;Balfaqih, Mohammed
    • ETRI Journal
    • /
    • 제43권2호
    • /
    • pp.184-196
    • /
    • 2021
  • The research domain of underwater communication has garnered much interest among researchers exploring underwater activities. The underwater environment differs from the terrestrial setting. Some of the main challenges in underwater communication are limited bandwidth, low data rate, propagation delay, and high bit error rate (BER). As such, this study assessed the underwater acoustic (UWA) aspect and explored the expression of error performance based on t-distribution noise. Filt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refers to a new waveform candidate that has been adopted in UWA, along with turbo and polar codes. The empirical outcomes demonstrated that the noise did not adhere to Gaussian distribution, whereas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filter applied i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could significantly suppress out-of-band emission. Additionally, the performance of the turbo code was superior to that of the polar code by 2 dB at BER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