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x RT-PCR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4초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와 라이노바이러스의 단독 혹은 동시감염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강원 지역 단일 기관의 후향적 연구 (Single or Dual Infecti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Human Rhinovirus: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a Rural Area of South Korea)

  • 권예림;조원제;김황민;이정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2호
    • /
    • pp.99-111
    • /
    • 2019
  • 목적: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와 라이노바이러스(hRV)는 소아의 호흡기 바이러스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RSV 혹은 hRV 감염으로 입원하는 소아의 역학, 임상적 특성, 혈액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각 바이러스 단독 감염과 동시 감염 간의 임상적 특성 및 혈액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매년 10월부터 4월 사이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청소년과에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의 환아 중, 비강인두도말 검체로 다중 역전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RSV 혹은 hRV가 검출된 사례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강원 지역 소아 호흡기 환자의 multiplex RT-PCR 바이러스 검출 패턴 상, RSV는 늦가을부터 초봄 사이, hRV는 연중 고르게 분포하였다. RSV 혹은 hRV가 검출된 총 384례 중 RSV는 258례(R group), hRV는 99례(H group)에서 단독으로 검출되었고, RSV와 hRV의 동시 검출은 27례에서 있었다(RH group). R군의 연령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248례(96.1%)가 하기도 감염이었다. 산소치료는 14례(5.4%)에서 있었다. 12개월 미만의 영아가 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63.2%) 호흡곤란, 산소치료가 많았다. H군의 연령 중앙값은 16개월이었으며, 56례(56.6%)가 하기도 감염이었다. 산소치료는 4례(4.0%), 기계 호흡은 1례(1.0%)에서 시행하였다. 영아(40.4%)는 12개월 이상 환자보다 재원기간이 길었다(5 vs. 4 days, P<0.05). RH군의 경우 24례(88.9%)가 하기도 감염이었고, 산소치료는 2례(7.4%)에서 있었다. RH군은 R군 및 H군과 비교하여 재원기간, 산소치료 및 기계 호흡의 비율에 차이가 없어, 동시 감염과 단독 감염의 유의한 중증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RSV는 hRV보다 더 어린 연령에서 잘 이환되고 하기도 감염의 비율이 높았다. 동시 감염된 환자의 임상증상은 RSV 감염의 특성이 보다 반영되었고, 단독 감염에 비해 중증도에 차이는 없었다.

Cytogenetic Profile of De Novo B lineage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Determination of Frequency, Distribution Pattern and Identification of Rare and Novel Chromosomal Aberrations in Indian Patients

  • Bhandari, Prerana;Ahmad, Firoz;Dalvi, Rupa;Koppaka, Neeraja;Kokate, Prajakta;Das, Bibhu Ranjan;Mandava, Swar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219-7229
    • /
    • 2015
  • Background: Chromosomal aberrations identified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have an important role in disease diagnosis, prognosis and management. Information on karyotype and associated clinical parameters are essential to physicians for planning cancer control interventions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overall frequency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chromosomal aberrations in both children and adult de novo B lineage ALL Indian patients using conventional cytogenetics, interphase FISH and multiplex RT-PCR. Results: Among the 215 subjects, cytogenetic results were achieved in 172 (80%) patients; normal karyotype represented 37.2% and abnormal 62.8% with a distribution as follows: 15.3% hypodiploidy; 10.3% hyperdiploidy; 15.8% t(9;22); 9.8% t(1;19); 3.7% t(12;21); 2.8% t(4;11); 2.8% complex karyotypes. Apart from these, we observed several novel, rare and common chromosomal rearrangements. Also, FISH studies using LSI extra-signal dual-color probes revealed additional structural or numerical change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cytogenetic heterogeneity of ALL and confirm that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varies considerab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one of the largest reported series of cytogenetic investigations in Indian B-lineage ALL cases. In addition, ongoing cytogenetic studies are warranted in larger groups of B-lineage ALL cases to identify newly acquired chromosomal abnormalities that may contribute to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

가와사끼병과 급성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Kawasaki disease and acute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 조은영;은병욱;김남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최정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41-1248
    • /
    • 2009
  • 목 적:가와사끼병은 소아의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나,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급성 호흡기 감염증의 원인 중 하나인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NL63)와 가와사끼병 발병과의 연관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과 가와사끼병의 발병 및 임상적 특징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3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54명으로부터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여 총 11가지 호흡기 바이러스(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 및 3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및 B형, 메타뉴모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OC43/229E 및 NL63)를 바이러스 배양검사 혹은 다중 역전사 중합 효소 반응(multiplex RT-PCR)로 검출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임상 양상은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대상 환자들의 중앙 연령은 32개월(범위 6개월-10.4세)이었으며, 37례(69%)에서 발병 전에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었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12례(22%)에서 검출되었으며, 라이노바이러스 4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형 2례, 보카바이러스 2례, 그리고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코로나바이러스 NL63 각각 1례씩 검출되었다. 이 중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형과 라이노바이러스가 중복 검출된 경우가 1례 있었다. 발병 전 호흡기 증상이 동반된 경우는 바이러스 양성군이 7례(58.3%), 음성군이 30례(71.4%)이었고,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1회 치료 후 해열된 경우는 바이러스 양성군이 8례(67%), 음성군이 36례(86%)로 나타났으며, 관상동맥 병변이 2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는 바이러스 양성군이 2례(17%), 음성군이 4례(9.5%)이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는 가와사끼병 환자에서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였으나, 특정 호흡기 바이러스와의 인과적 관계는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규모 단일기관 연구로서, 향후 대규모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과 가와사끼병의 연관성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의 역학적 특징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Human Bocavirus-Associated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 최재홍;백지연;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61-67
    • /
    • 2011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보카바이러스와 연관된 하기도 감염증의 역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658명의 소아에게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1종의 바이러스를 조사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호흡기바이러스는 658명의 환아 중 325명(49.4%)에서 검출되었다. 보카바이러스는 62명(9.4%)에서 검출되었으며, 3개월 이상 5세 미만에서 많았다. 보카바이러스가 중복감염이 확인된 것은 37.1%로, 전체 바이러스 양성 환자들의 중복감염률(12.3%)보다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 =0.000). 또한 늦은 봄부터 이른 여름인 5월부터 7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소아의 하기도 감염증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특히 늦은 봄부터 초여름에 유행하였다.

Modulation of Pituitary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 (sst1-5) mRNA Levels by Growth Hormone (GH)-Releasing Hormone in Purified Somatotropes

  • Park, Seung-Joon;Park, Hee-Soon;Lee, Mi-Na;Sohn, Sook-Jin;Kim, Eun-Hee;Jung, Jee-Chang;Frohman, Lawrence A.;Kineman, Rhonda D.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2호
    • /
    • pp.79-84
    • /
    • 2003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expression of the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sst1-5, is differentially regulated by growth hormone (GH)-releasing hormone (GHRH) and forskolin (FSK), in vitro. GHRH binds to membrane receptors selectively located on pituitary somatotropes, activates adenylyl cyclase (AC) and increases sst1 and sst2 and decreases sst5 mRNA levels, without significantly altering the expression of sst3 and sst4. In contrast FSK directly activates AC in all pituitary cell types and increases sst1 and sst2 mRNA levels and decreases sst3, sst4 and sst5 expression. Two explanations could account for these differential effects: 1) GHRH inhibits sst3 and sst4 expression in somatotropes, but this inhibitory effect is masked by expression of these receptors in unresponsive pituitary cell types, and 2) FSK inhibits sst3 and sst4 expression levels in pituitary cell types other than somatotrope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se two possibilities, somatotropes were sequentially labeled with monkey anti-rat GH antiserum, biotinylated goat anti-human IgG, and streptavidin-PE and subsequently purified by fluorescent-activated cell sorting (FACS). The resultant cell population consisted of 95% somatotropes, as determined by GH immunohistochemistry using a primary GH antiserum different from that used for FACS sorting. Purified somatotrope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eated for 4 h with vehicle, GHRH (10 nM) or FSK ($10{\mu}M$). Total RNA was isolated by column extraction and specific receptor mRNA levels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multiplex RT-PCR. Under basal conditions,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various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were sst2>sst5>sst3=sst1> sst4. GHRH treatment increased sst1 and sst2 mRNA levels and decreased sst3, sst4 and sst5 mRNA levels in purified somatotropes, comparable to the effects of FSK on purified somatotropes and mixed pituitary cell cultur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HRH acutely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ll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s within GH-producing cells and its actions are likely mediated by activation of AC.

부산지역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아데노바이러스와 보카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분석 (Epidem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denovirus and Human Bocavirus Detected Acute Respiratory Patients in Busan)

  • 황수정;김남호;박동주;구평태;이미옥;진성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5-282
    • /
    • 2017
  • 부산지역 급성호흡기감염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여 아데노바이러스 및 보카바이러스의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유행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230명의 환자에서 총 1,485건(46.0%)의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중 아데노바이러스 257건(8.0%), 보카바이러스 68건(2.1%)을 확인하였다. 성별 발생양상은 남자가 여자보다 아데노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감염증에 취약하였으며, 모두 1~5세 연령군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여 영 유아의 주요 감염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임상증상으로 아데노바이러스는 발열, 두통이 보카바이러스는 천명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형분석결과, 아데노바이러스는 1~6, 8형의 혈청형을 확인하였고 기존 분리주와 97%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연도별 유행 혈청형은 2011년 아데노바이러스 1형, 2012년 3형과 4형, 2013년에는 3형이 우점적으로 유행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3형의 경우, 대유행을 유발하는 아형으로 보인다. 보카바이러스는 모두 1형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급성 설사환자의 group A rotavirus 감염 실태 및 P와 G 유전자형 분포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the P and G Genotypes of a Group A Rotavirus Detected in Acute Gastroenteritis Patients from Incheon)

  • 최혜진;오보영;이미연;고연자;공용우;허명제;이제만;김용희;정혜숙;천두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00-604
    • /
    • 2012
  • 인천지역 병 의원에 내원한 급성위장염환자의 대변 검체 총 11,607건을 효소 면역법(ELISA)을 이용하여 group A rotavirus의 계절별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 2005년부터 2010년간 인천지역에서는 1~2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기간별로 차이가 존재했다. 또, group A rotavirus 양성 검체 160건에 유전자 분석 결과 VP4는 P8형, VP7는 G1형, G와 P 조합형으로는 G1P8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와 비교했을 때 연구 지역과 기간에 따라 혈청형과 유전형의 변화가 빈번하였으므로 효율적인 방역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또 이번 연구는 현재 유통 중인 rotavirus 백신의 효율적인 사용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Respiratory syncytial virus로 인한 급성 하기도 감염 입원 환자에서 Palivizumab 예방요법 유무에 따른 비교 분석 (Analysis of Palivizumab Prophylaxis in Patients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aused by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민성주;송정숙;최장환;선한수;강은경;김도현;김희섭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54-162
    • /
    • 2011
  • 목 적: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에 의한 급성 하기도 감염은 소아기에 입원을 요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미숙아와 후기미숙아의 출생률과 생존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palivizumab ($Synagis^{(R)}$) 예방요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아직 경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RSV로 인한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한 미숙아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 적절한 예방요법 대상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 입원한 3세 미만의 급성 하기도 감염 환자중 multiplex RT-PCR을 통해 원인 바이러스를 밝힌 16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67명 중 RSV 감염으로 밝혀진 환자는 총 113명이었으며, 만삭아가 90명, 미숙아가 23명이었다. 이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만삭아군이 9.0일, 미숙아군이 12.6일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이외 입원당시 나이, 발열 및 호흡기 증상, 혈액소견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SV 감염으로 입원한 미숙아 22명을 조사하였을때(다른 질병과의 동반감염이 있었던 한 명 제외), 28주 미만이 4명, 28주 이상 32주 미만이 2명, 32주 이상이 16명(72.7%)으로 대부분이 palivizumab 예방요법의 대상이 아닌 미숙아들이었다. 이들 중 3명은 중환자실에서의 치료를 받았고 한 명만 28주미만의 환아로 palivizumab 투여를 받았으며 나머지 두 명은 32주 이상의 환아들로 기관지폐이형성 등 다른 위험요소가 없어 palivizumab을 투여 받지 않았다.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에서도 임상양상과 혈액학적 소견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RSV에 의한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은 대부분 만삭아이거나 기관지폐이형성증과 같은 위험요인이 없는, palivizumab 투여 대상이 아닌 미숙아들이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기관지폐이형성증 이외의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더욱 최적의 시기에 pali-vizumab을 투여 하는 우리나라만의 예방요법지침이 하루속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급성 로타바이러스 장염 소아에서 질환의 중증도와 로타바이러스 VP7 & VP4 유전형의 분포에 대한 연구 (Distribution of Disease Severity and Group A Rotavirus Genotypes (VP7 & VP4) in Children with Acute Rotavirus Gastroenteritis)

  • 오현주;강현식;강기수;김연우;홍정연;신경수;이진숙;이수현;이근화;조문제;서동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2호
    • /
    • pp.148-154
    • /
    • 2011
  • 목적: 저자들은 지역사회에서,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걸린 소아들에서 질환의 중증도와 로타바이러스 VP7 유전형과 VP4 유전형의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병원에 입원한 156명의 소아들에서 대변 샘플을 수집하였다. 모든 환자들에 대한 질환 중증도는 Vesikari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로타바이러스 ds-RNA를 분리한 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형을 확인하였다. 결과: 156명의 환자 샘플에서, VP7(G)는 147명(94.2%)에서 확인되었고 VP4(P)는 140명(89.7%)에서 확인되었다. G1 유전형(147명 중 116명; 78.9%)과 P[8] 유전형(140명 중 137명)이 각각 가장 많았다. VP7과 VP4 조합형은 138명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G1P[8] 조합형이 111명(80.4)으로 가장 많았다. 다른 조합형들은 종류가 다양하였고 분포가 낮았다. 전체 조합형 중 9.4%가 새로운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었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질환 중중도는 $11.8{\pm}3.3$ ($mean{\pm}2SD$)였다. 전체 환자에서 경증 내지 중등도가 37.8%였고, 중증은 62.2%였다. 결론: 로타바이러스 유전자 조합형 중 가장 흔한 것은 G1P[8]이었다. 새로운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유전자 조합형은 9.4%였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입원한 소아들의 질환 중증도분포는 경증과 중등도보다 중증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 국화에서 총채벌레의 종 동정 및 보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을 위한 다중 진단법 적용 (Application of Multiplex RT-PCR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and Thrips Species in an Individual Thrips on Chrysanthemum)

  • 윤주연;윤정범;서미혜;최승국;조인숙;정봉남;양창열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64-271
    • /
    • 2020
  • 이번 연구는 국화에서 문제되는 총채벌레의 종 동정 및 보독 바이러스인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진단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는 총채벌레 1마리에서 추출한 핵산에 꽃노랑총채벌레 및 대만총채벌레의 ITS2 부분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와 TSWV 외피단백질(N)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동시에 넣어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여 DNA를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전기영동하여 각각 287, 367, 777 bp의 DNA 단편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총채벌레의 종 동정 및 총채벌레의 TSWV 보독 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충청남도 태안 및 경상남도 창원의 국화 시설하우스에서 총채벌레를 포집하여 총채벌레 우점종과 총채벌레의 TSWV 보독율을 조사한 결과, 태안의 국화 시설하우스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가 83.7%로 우점하고 있으며 채집된 총채벌레 중 72.9%가 TSWV를 보독하고 있었으며, 창원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가 92.2%를 차지하고 있으며 84.0%의 총채벌레에서 TSWV가 진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Frankliniella occidentalis가 우점종이며 온실의 국화 식물에서 TSWV의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이번 연구는 국화 시설하우스에서 총채벌레를 통한 TSWV의 시설하우스내 유입시기 및 확산 경로 등 바이러스의 역학연구를 위한 간편진단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예시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