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dose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31초

박스-벤켄 설계법을 이용한 폐감귤박 활성탄에 의한 수용액 중의 항생제 Trimethoprim의 흡착 연구 (Study on the Adsorption of Antibiotics Trimethoprim in Aqueous Solution by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Using Box-Behnken Design)

  • 이민규;감상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68-576
    • /
    • 2018
  •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WCAC, waste citrus peel based activated carbon)에 의한 항생제 trimethoprim (TMP)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반응표면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사용하여 TMP 흡착에 대한 운전인자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농도($X_1$: 50-150 mg/L), pH ($X_2$: 4-10), 온도($X_3$: 293-323 K), 흡착제 투여량($X_4$: 0.05-0.15 g)의 4가지 입력 파라미터를 가진 4-요인 Box-Behnken 실험 설계에 따라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고, 얻어진 실험 결과를 다중 회귀 분석으로 2차 다항식에 맞추고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독립 변수 및 변수들 간의 교호 작용의 유의성은 ANOVA 및 t-검정 통계기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통계적 결과는 TMP 농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운전인자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흡착공정은 유사 2차 속도식에 잘 부합하였으며, 등온흡착평형관계는 Langmuir 식이 Freundlich 식 보다 잘 부합하였다. Langmuir 등온식으로 부터 계산한 WCAC에 의한 TMP의 최대 흡착량은 293 K에서 144.9 mg/g이었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phenol-rich extract from the red alga Callophyllis japonica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 Ryu, BoMi;Choi, Il-Whan;Qian, Zhong-Ji;Heo, Soo-Jin;Kang, Do-Hyung;Oh, Chulhong;Jeon, You-Jin;Jang, Chul Ho;Park, Won Sun;Kang, Kyong-Hwa;Je, Jae-Young;Kim, Se-Kwon;Kim, Young-Mog;Ko, Seok-Chun;Kim, GeunHyung;Jung, Won-Kyo
    • ALGAE
    • /
    • 제29권4호
    • /
    • pp.343-353
    • /
    • 2014
  • Despite the extensive literature on marine algae over the past few decades, a paucity of published research and studies exists on red alga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therapeutic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red alga Callophyllis japonica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 inflammation. The C. japonica extract (CJ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the induced dose-dependent reduction of the protein and mRNA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dditionally, the CJE reduced the mRNA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by which the CJE inhibits NO by examining the level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ctivation, which is an inflammation-induced signaling pathway in macrophages. The CJ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p38 MAPK.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JE inhibits LPS-induced inflammation by blocking the MAPK pathway in macrophages.

Inhibition of Hypoxia-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by Estradiol

  • Jung, Ji-Yeon;Roh, Kwang-Hoon;Jeong, Yeon-Jin;Kim, Sun-Hun;Lee, Eun-Ju;Kim, Min-Seok;Oh, Won-Mann;Oh, Hee-Kyun;Kim, Won-J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4호
    • /
    • pp.231-238
    • /
    • 2005
  • Neuronal apoptotic events, which result in cell death, are occurred in hypoxic/ischemic conditions. Estradiol is a female sex hormone with steroid structure known to provide neuroprotection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f $CoCl_2$-induced neuronal cell death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estradiol. Administration of $CoCl_2$ decreased cell viability in both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in PC12 cells. $CoCl_2$-induced cell death produced genomic DNA fragmentation and morphologic changes such as cell shrinkage and condensed nuclei. It was found that $CoCl_2$-treated cells increas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 well as caspase-8, -9 and -3 activities. However, pretreatment with estradiol before exposure to $CoCl_2$ prevented the reduction in cell viability reduction and attenuated DNA fragmentation and morphologic changes caused by $CoCl_2$. Furthermore, the $CoCl_2$-induced increases of ROS levels and caspases activities were attenuated by estradiol. Gene exp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stradiol blocked the underexpression of the Bcl-2 and ameliorated the increase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into cytoplasm and Fas-ligand (Fas-L) upregulated by $CoCl_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Cl_2$ induce apoptosis in PC12 cells through both mitochondria- and death receptor-mediated cell death pathway. Estradiol was found to have a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CoCl_2$-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inhibition of ROS production and by modulating apoptotic effectors associated with the mitochondria- and death-dependent pathway in PC12 cells.

HepG2 인체 간암세포의 ROS 생성 및 ERK/Akt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Sanguinarine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rough the Generation of ROS and Modulation of Akt/ERK Signaling Pathways)

  • 황주영;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984-992
    • /
    • 2015
  •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에서 처음 분리된 sanguinarine은 항산화, 항암 및 면역 증강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lkaloid 계열 물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간암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효능 및 관련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은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Fas 및 Bax의 발현 증가,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리 및 MMPl (Δψm)의 소실을 동반하였다. Sanguinarine은 intrinsic 및 extrinsic apoptosis pathway의 활성에 관여하는 initiator caspase인 caspase-9와 -8의 활성과 effector caspase인 caspase-3의 활성 및 PARP 단백질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Sanguinarine은 또한 ROS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N-acetylcysteine 처리에 의한 ROS의 생성을 차단하였을 경우,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효능이 완벽하게 차단되었다. 아울러 sanguinarine은 Akt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MAPKs의 인산화를 촉진시켰으며, 특히 PI3K와 ERK의 선택적 억제제는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더욱 억제시켰다. 따라서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ROS 생성 의존적인 intrinsic 및 extrinsic signaling pathway가 동시에 활성화되며, PI3K/Akt 및 ERK 신호계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 후 림프부종과 만성질환을 동반한 종양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발생한 연쇄구균독소충격증후군 예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Occurred dur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a Cancer Patient with Preexisting Lymphedema and Chronic Illness -Case Report-)

  • 장지영;오윤경;김동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17-321
    • /
    • 2006
  • 67세 남자환자가 하지의 악성섬유조직구종으로 진단받고 광범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동안 연쇄구균독소충격증후군이 발생하여 그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환자는 수술 후 증감하는 부종이 있어 약 1개월간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복용하였다. 환자는 C형 간염보균자였으며, 당뇨,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었다.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계획하여, 주 5회 조사하여 32.4 Gy를 치료받았다. 이틀간의 주말 치료중단이후 갑자기 방사선치료 받은 우측 대퇴부에 홍반성 염증이 발생하였고, 열, 오한, 소변감소증이 동반되었다. 환자는 즉시 감염내과에 의뢰되었고, 독소충격증후군이 의심되어 즉시 입원하였다. 입원당시 환자는 저혈압, 소변감소증, 변비, 비정상적인 신기능 및 간기능 소견을 보였다. 환자의 혈액 배양 결과 스트렙토콕쿠스 피오게네스균(Streptococcus pyogenes)이 검출되었다. 환자는 연쇄구균독소충격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적절한 항생제치료와 수액공급을 받았다. 연쇄구균독소충격증후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종양학적 응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본 예의 환자는 C형 간염보균, 수술 후 증감되는 부종, 지속적인 비스테로이드소염제 복용과 방사선치료가 연쇄구균독소충격증후군을 일으킨 인자들로 생각되어진다.

랫트의 신장 내 카드뮴 축적에 대한 감두탕(甘豆湯)의 방어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Kamdootang on Accumulation of Cadmium in Rats)

  • 김범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80-2186
    • /
    • 2011
  • 카드뮴의 신장 내 축적에 대한 감두탕 투여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흰쥐에 1.7 ${\mu}g/g/day$, 3.4 ${\mu}g/g/day$ 및 6.8 ${\mu}g/g/day$의 카드뮴을 투여한 군과 위의 농도별 카드뮴과 감두탕을 혼합투여한 군과의 체중 변화, 신장의 카드뮴 축적량 및 신장조직의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각 실험군의 체중은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장 중의 카드뮴 축적량은 모든 군에서 1주, 2주는 감두탕을 투여한 군이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4주, 8주에서는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 감두탕을 투여한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신장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사구체의 출혈성 괴사, 뇨세관의 종창, 상피세포의 탈락 및 뇨세관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조직병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감두탕은 저농도의 카드뮴이 생체 내에 투여될 때 흰쥐의 신장 내 축적되는 카드뮴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폐기물 소각장 근로자에서 요중 PAHs 대사산물과 혈중 aromatic-DNA adducts (Association of PAH-DNA adducts and Urinary PAH metabolites influenced by polymorphisms of xenobiotic metabolism enzymes in industrial wase incinerating workers)

  • 이경호;;최인미;최재욱;조수헌;강대희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3-311
    • /
    • 2002
  • This study evaluated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metabolit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industrial waste incineration workers. The effect of genetic polymorphisms of xenobiotic metabolism enzymes on urinary concentration of PAH metabolites was assessed. And, aromatic DNA adduct levels were also determined in total white blood cells. Fifty employees were recruited from a company handling industrial wastes located in Ansan, Korea: non-exposed group (n=21), exposed group (n=29). Sixteen ambient PAHs were determined by GC/MSD (NIOSH method) from personal breathing zone samples of nine subjects near incinerators. Urinary 1-hydroxypyrene glucuronide (1-OHPG), a major pyrene metabolite, was assayed by synchronous fluorescence spectroscopy after immunoaffinity purification using monoclonal antibody 8E11 (SFS/IAC). Multiplex PCR was used for genotyping for GSTMI/TI and PCR-RFLP for genotyping of CYP1A1 (MspI and Ile/Val). PAH-DNA adducts in peripheral blood WBC were measured by the nuclease P1-enhanced postlabeling assay. Smoking habit,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ange of total ambient PAH levels were 0.00-7.00 mg/㎥ (mean 3.31). Urinary 1-OHP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rkers handling industrial wastes than in those with presumed lower exposure to PAHs (p=0.006, by Kruskal-Wallis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ose-response increase in 1-OHPG levels with the number of cigarettes consumed per da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686, p<0.001). Urinary 1-OHPG levels in occupationally exposed smoking workers were highest compared with non-occupationally exposed smokers (p=0.053, by Kruskal-Wallis test). Smoking and GSTMI genotyp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log-transformed 1-OHP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verall model R²=0.565, p<0.001), whereas smoking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log-transformed aromatic DNA adducts (overall model R²=0.249, p=0.201). Aromatic DNA adducts was also a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log transferred urinary 1-OHPG level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0.307, p=0.04). However,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djusting for Age, Sex, and cigarette consumption was not significant (r=0.154, p=0.169). The significant association exists only in individuals with the GSTMI null genotyp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0.516, p=0.010;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djusting for age, sex, and cigarette consumption, r=0.363, p=0.038).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urinary 1-OHPG in the exposed workers is due to higher prevalence of smokers among them, an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urinary PAH metabolites and aromatic DNA adducts in workers of industrial waste handling may be modulated by GSTMI genotype. There results remain to be confirmed in future larger studies.

  • PDF

A Tuber Lectin from Arisaema jacquemontii Blume with Anti-insect and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 Kaur, Manpreet;Singh, Kuljinder;Rup, Pushpinder Jai;Kamboj, Sukhdev Singh;Saxena, Ajit Kumar;Sharma, Madhunika;Bhagat, Madhulika;Sood, Sarvesh Kumar;Singh, Jatinder
    • BMB Reports
    • /
    • 제39권4호
    • /
    • pp.432-440
    • /
    • 2006
  • A tuber lectin from Arisaema jacquemontii Blume belonging to family Araceae was purified by employing a single step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column of asialofetuin-linked amino activated silica beads and the bound lectin was eluted with 100 mM glycine-HCl buffer pH 2.5. The purified A. jacquemontii lectin (AJL) showed a single protein band with an apparent molecular mass of 13.4 kDa when submitted to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under reducing as well as non-reducing conditions. The native molecular mass of AJL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on a Biogel P-200 column was 52 kDa and its carbohydrate content was estimated to be 3.40%. Thus AJL is a tetrameric glycoprotein. The purified lectin agglutinated erythrocytes from rabbit but not from human. Its activity was not inhibited by any of the mono- and disaccharides tested except N-acetyl-D-lactosamine having minimal inhibitory sugar concentration (MIC) 25 mM. Among the glycoproteins tested only asialofetuin was found to be inhibitory (MIC $125\;{\mu}g/mL$). A single band was obtained in native PAGE at pH 4.5 while PAGE at pH 8.3 showed two bands. Isoelectric focusing of AJL gave multiple bands in the pI range of 4.6-5.5. When incorporated in artificial diet AJL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actrocera cucurbitae (Coquillett) larvae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lectin in a biotechnological strategy for insect management of cucurbits. Larvae fed on artificial diet containing sub-lethal dose of AJ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hile esterase activity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to larvae fed on diet without lectin. Out of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employed in sulphorhodamine B (SRB) assay, this lectin was found to have appreciable inhibitory effect on the in vitro proliferation of HCT-15, HOP-62, SW-620, HT-29, IMR-32, SKOV-3, Colo-205, PC-3, HEP-2 and A-549 cancer cell lines by 82, 77, 73, 70, 41, 41, 37, 29, 21 and 21% respectively.

유기용제 폭로작업자들의 후천성 색각이상 평가 (The Assessment of Acquired Dyschromatopsia among Organic-Solvents Exposed Workers)

  • 강미정;강수희;서석권;신동훈;이종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529-538
    • /
    • 1996
  • 이 연구는 산업장에서 색각이상과 관련된 유기용제 폭로근로자들에서 후천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색각이상을 정성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색각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저농도의 유기용제 폭로근로자 70명과 대조군 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식 이중 15색상 배열 검사기를 이용한 색각이상을 평가한 결과 색상배열의 착오 비율과 정량적으로 산출한 색 혼란지수는 유기용제 폭로군과 대조군간 차이가 없었다. 색 혼란지수와 연령과의 선형관계는 두 군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색 혼란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각 연령군별로 층화한 색 혼란지수의 중앙값은 폭로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29세이하 연령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15색상 배열검사의 배열형태에 따라 분류한 색각이상의 유병률은 두 군 모두에서 21%로 차이가 없었으며 색 혼란지수에 대해 연령, 흡연, 음주상태 및 유기용제 폭로유무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는 유기용제 폭로와 색각이상 발생과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없으며, 추후 색각이상 평가를 위한 색상배열 검사의 표준환경 설정, 유기용제 폭로 근로자들의 개개인의 폭로정도 평가, 그리고 색각이상 검사결과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기준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되며, 또한 저농도의 유기용제에 폭로되는 근로자들의 색각이상의 평가는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평가가 바람직하며 일시적인 평가보다는 추적관찰을 통한 정량적인 지수의 변화를 관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신이식후 발생한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 1례 (A Case of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in a Child)

  • 은병욱;박은실;이성용;한혜원;장주영;박경미;김철우;강진한;고재성;하일수;이환종;정해일;서정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1호
    • /
    • pp.123-130
    • /
    • 2002
  • 이식후 발생하는 림프증식성 질환(PTLD)은 양성 다크론성 B림프구 증식증으로부터 악성의 단크론 림프종에 이르기까끼 다양한 임상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PTLD는 Epstein-Barr virus(EBV)와 과도한 면역억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국내에서는 1997년 성인에서 신 이식 후 발생한 예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소아에서는 간 이식 후 발생한 예가 있을 뿐 신 이식 후 발생한 증례의 보고는 없어 이 보고가 국내 최초로 신이식 소아에서 발생한 PTLD 증례이다. 환자는 9세 남아로서 긴이식후 4개월후에 PTLD가 발생하였으며 주된 임상 양상은 발열, 림프절 종대와 혈변이었다. 림프절과 대장의 생검조직 에서 EBV in situ hybridization이 양성이고, 조직학적으로 B 세포계열의 PTLD에 합당한 소견이었다. 모든 증상은 면역억제제 감소와 ganciclovir 치료로 완전 관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