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tiple agent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3초

Radix et Rhizoma Ginseng chemoprevents both initiation and promotion of cutaneous carcinoma by enhancing cell-mediated immunity and maintaining redox homeostasis

  • Yu, Suyun;Wang, Siliang;Huang, Shuai;Wang, Wei;Wei, Zhonghong;Ding, Yushi;Wang, Aiyun;Huang, Shile;Chen, Wenxing;Lu, Y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580-592
    • /
    • 2020
  • Background: Radix et Rhizoma Ginseng (thereafter called ginseng)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herb for thousands of years to maintain people's physical vitality and is also a non-organ-specific cancer preventive and therapeutic traditional medicine in several epidemiologic and preclinical studies. Owing to few toxic side effects and strong enhancement on body immunity, ginseng has admirable application potential and value in cancer chemoprevention.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ginseng on cutaneous carcinoma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The mouse skin cancer model was induced by 7,12-dimethylbenz[a]anthracene/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as used for identifying various ginsenosides, the main active ingredients of ginseng. Comprehensive approaches (including network pharmacology, bioinformatic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were used to explore the potential targets of ginseng. Results: Ginseng treatment inhibited cutaneous carcinoma in terms of initiation and promotion. The content of Rb1, Rb2, Rc, and Rd ginsenosides was the highest in both mouse blood and skin tissues. Ginseng and its active components well maintained the redox homeostasis and modulated the immune response in the model. Specifically, ginseng treatment inhibited the initiation of skin cancer by enhancing T-cell-mediated immune response through upregulating HSP27 expression and inhibited the promotion of skin cancer by maintaining cellular redox homeostasis through promoting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ginseng can be potentially used for cutaneous carcinoma as a chemopreventive agent by enhancing cell-mediated immunity and maintaining redox homeostasis with multiple components, targets, and links.

개에서 발생한 십이지장 샘암종 (Imaging Features of Duodenal Adenocarcinoma in a Dog)

  • 정미애;이민수;이인혜;이아라;박수원;임채영;박희명;엄기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3-599
    • /
    • 2010
  • 7년령의 중성화한 수컷 Basset hound 가 식욕부진, 체중 감소, 혈변, 구토의 증상을 4개월 동안 보이며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상, 소적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을 보였으며, 그 외 임상검사 소견은 정상이었다. 방사선 단순 촬영 시연부 조직 음영이 증가 된 것을 우측 상복부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내림 십이지장의 벽이 전반적으로 비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검을 통해 조직의 만성 염증 소견과 점막밑까지 침투되어있는 증식된 점막과 다수의 작은 샘과 같은 구조들을 확인하였고, 장샘암종을 확진 하였다. 13개월 동안의 대증치료 후에 환자는 폐사하였다. 본 증례는 개에서 드문 십이지장 샘암종의 임상학적, 영상진단학적, 조직병리학적 검사와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Withaferin A의 다양한 항암 효과 및 분자생화학적 기전 (Anti-cancer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Withaferin A)

  • 우선민;민경진;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62-469
    • /
    • 2013
  • Withaferin A는 Withania somnifera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 스테로이드성 락톤(steroidal lactone)으로 항암, 항염증, 면역억제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withaferin A의 다양한 기능 중 항암효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Withaferin A는 암세포에서 세포의 분열, 전이, 침투 및 혈관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항암요법인 방사선 용법과 저농도의 항암제와 withaferin A를 함께 병합 처리하면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약물 민감화 작용을 한다. 이러한 withaferin A에 의한 항암작용에는 다양한 신호전달체계가 수반된다. 우선, withaferin A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증가시키고, ER stress와 미토콘드리아 매개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둘째로, withaferin A는 세포의 성장과 분열, 전이에 중요한 Jak/STAT, Akt, Notch, 그리고 c-Met의 신호전달을 억제한다. 셋째, withaferin A는 prostate apoptosis protein-4의 발현을 증가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거나 세포의 이동을 억제한다. 마지막으로, withaferin A는 proteasome의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사멸 유도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사멸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withaferin A는 새로운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전단접착강도와 관련된 Plasma Arc Curing Light의 중합효율평가 (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agents cured with a plasma arc curing light)

  • 권영철;김선영;정세준;한영철;이인복;손호현;엄정문;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13-223
    • /
    • 2008
  • 광물리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Apollo 95E (DMT Systems, Orange, CA; PAC 광중합기), Elipar Freelight 2 (3M ESPE, MN, USA; LED 광중합기) 그리고 VIP Junior (Bisco, Schaumberg, IL, USA; QTH 광중합기), 3종의 광중합기의 총광강도(Total intensity)와 spectral distribution을 측정하였고 특정 파장에 해당되는 광강도 (Energy density)를 분석하였다. 상아질 전단접착강도의 측정을 위해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ingle bond (3M ESPE) 그리고 Clearfil SE bond (Kuraray)가 사용되었다. Plasma Arc Curing light (Apollo 95E) 광중합기는 여러개의 최대정점을 가지며 넓은 spectral distribution과 $2307mw/cm^2$의 높은 광강도를 나타내었고, VIP Junior 광중합기는 490nm에서 최대정점을 갖는 넓은 spectral distribution을 나타내었고, Elipar Freeelight 2 광중합기는 462 nm의 최대정점 주위로 좁은 spectral distribution을 보였다. Two-Way ANOVA와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상아질 전단접착강도를 분석한 결과, PAC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상아질 접착제와 광중합기의 교호관계에도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상아질 접착제는 상호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 < 0.001).

콩다닥냉이 추출물에 의한 HCT116 대장암세포의 사멸 유도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Colon Carcinoma HCT116 Cells Using a Water Extract of Lepidium virginicum L.)

  • 채양희;신동역;박철;이용태;문성기;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9-659
    • /
    • 2011
  •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 추출물의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WELVL 및 WELVR)이 HCT116 대장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연관된 apoptosis 유도 기전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CT116 세포에 WELVL 및 WELVR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증식 억제 및 형태 변화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WELVL에 비하여 WELVR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WELVR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는 FasL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Bcl-2 family의 발현 변화를 통한 mitochondria의 기능 이상과 이로 인한 caspase-9 및 -3의 활성화, 그리고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한 caspase의 활성 증가도 어느 정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WELVR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extrinsic pathway 및 intrinsic pathway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콩다닥냉이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콩다닥냉이 추출물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표 애착의 사회적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 (The Sociological Antecedents of Brand Attachment: A comparison of Broadcasting and Passive Consumpt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 신종국;박민숙;로스 코리알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59-170
    • /
    • 2016
  • 본 연구 사회적 미디어가 개인이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한 상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참여자들에게 개인 신상정보를 공개하는 SNS 사용자는 사회화 대리인을 이용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뉴스를 소극적으로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그들의 최종 구매의사결정을 확정하는데 사회화 대리인에 의존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인적 및 비인적 사회화 대리인은 이러한 사회적 발신인에 의존하는 개인들의 브랜드 어태치먼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터는 브랜드 인지도를 형성하기 위해 온라인 전략을 체계화할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고 사회적 미디어 이용자들이 자사의 선호되는 브랜드에 대한 상표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해 방법을 제공해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집단주의 문화로 상징되는 한국 소비자 대상의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인주의 문화를 포함하는 비교연구 차원의 SNS와 사회화 대리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결핵 치료 중 나타나는 관절 증상 (Joint Symptoms During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김상철;백재중;이태훈;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62-168
    • /
    • 2000
  • 배경 : 항결핵제 투여시 나타나는 관절 증상은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의 정도가 심해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약물 순응도를 저하시키기도 하므로 항결핵제 투여시 발생하는 관절 증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6개월이상 항결핵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 경과 중 특별한 다른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관절 증상에 대해 조사 하였으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비증상군과 비교함으로써 관절 증상 발생 및 이와 관련한 위험 인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 관절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33명중 19명으로 증상 유병률이 58% 에 달하였으며, 증상은 약물 투여 시작 후 1.9$\pm$1.4개월에 나타나서 3.6$\pm$2.5개월 지속되었다.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러 관절을 침범하며 어깨관절과 무릎 관절이 각각 10명(53%), 손가락 관절 6명(32%)으로 흔하였다. 대부분의 환자가 항결핵제의 중단 또는 변경 없이 증상이 자연 소실되었으나, 14명(74%)의 환자는 치료 중 관절 증상에 대해 진통제를 복용하였다. 원안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았으며 PZA 이외의 약물도 증상 발현에 관여 할 것으로 보인다. 비증상군과의 비교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치료 전 및 치료 중간의 혈중 요산 농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 항결핵제 투여 중 관절 증상의 발생은 혈중 요산 농도와 관련이 없으며, 이런 증상은 PZA 이외의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해 약을 중단하거나 대체해야 할 경우 이를 고려 하여야 한다.

  • PDF

TCDD로 유발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생약재 추출물의 방어 및 해독효과 (Protection and Detoxification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ure on TCDD-Induced Oxidative Stress)

  • 황진국;이경진;양희진;박기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4-301
    • /
    • 2008
  • 본 연구는 삼백초(aururus chinensis),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유근피(Ulmus macrocarpa), 감초(Glycyrrhiza glabra), 흑두(Rhynchosia nulubilis)로부터 제조된 생약재 추출 혼합물이 dioxin 중 중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2,3,7,8-tetrachlorodinenzo-p-dioxin(TCDD)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상적인 간세포주를 TCDD에 노출시킨 후 OHEM을 처리한 결과, TCDD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켰으며, 간세포주로부터 생성된 lactate dehydrogenase, nitric oxide, cytochrome p450의 생성량 측정 결과로 OHEM이 TCDD로 유발된 간 독성을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t을 이용한 TCDD 급성독성 유발 실험에서는 TCDD 투여에 의해 증가된 AST, ALT, ALP, LDH 및 동맥경화지수가 OHEM의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OHEM의 사전투여에 의한 방어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또한 OHEM의 투여가 TCDD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 조직의 풍선 병변과 공포화를 감소시켰고, 소장 세포의 조직에서는 융모 조직의 부종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들잔디 재배지에 발생한 총생 증상 및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of Yellow Tuft 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in Cultivation Fields)

  • 전창욱;한정지;김동수;곽연식;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7-22
    • /
    • 2016
  • 장성지역 잔디 재배지에서 총생 증상의 들잔디가 발생하였다. 총생 증상의 들잔디는 작고 다발형태로 유의한 형태적인 변화를 보였고, 병징은 여러 개의 잎이 짧은 포복경 마디에 무더기로 발생되어 빗자루처럼 총생 형태를 보였으며, 총생 형태의 잔디는 잎이 황화되면서 연녹색이나 노란색을 띄었다. 총생 증상을 보이는 들잔디는 건전한 들잔디에 비해 포복경 1개 마디당 약 5.8배 이상의 잎이 발생하였다. 또한 과도한 지상부 생육으로 인해 포복경과 지하부 생장이 저조하였다. 총생 병징의 들잔디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배양한 후 관찰한 결과 포자낭의 모양은 레몬모양이었으며, 포자낭 축의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었고, 크기는 $60{\sim}96{\times}42{\sim}51{\mu}m$로 관찰되었다. 이는 Sclerophthora macrospora 병원균이 형성하는 포자낭의 균학적 특징과 유사하였고, 봄과 가을에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잔디 재배지 총생 증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종양내과 퇴원 환자의 다제병용 분석 (Polypharmacy in Patients Discharged from Oncology Department)

  • 배현진;한지민;이용화;김향숙;이혜숙;이세훈;허대석;이주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2-48
    • /
    • 2013
  • Background: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tend to have multiple risk factors for drug related problems such as old age, comorbid conditions, self-medication, additional medications for supportive therapy, and the cancer treatment itself.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table polypharmacy and related problems in oncology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or following clinic visit. Metho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oncology divis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from June $1^{st}$ to June $30^{th}$, 201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 total of 334 discharg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m, 221 patients had pre-admission medications. Forty percent of the patients, including 60.3% of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were prescribed more than 5 kinds of medications. Twenty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prescribed to take medications more than 7 times a day. Medication duplications were observed in 2.4% of patients. In 10.5% of the reviewed patients, 47 cases of potential drug-drug interaction including 3 cases of contraindication and 17 cases of major clinical implication according to Micromedex were detected. Medication changes were made in 88% of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and in 94.7% of patients at their first visit after discharge. Antidiarrheal agent (loperamide) was prescribed along with laxatives in 18.5% of the prescriptions and inadequate instructions on how to take it were observed in 63% of the prescription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related problems in cancer patients, which presents the need for an active role of pharmacists in pharmaceutical care in oncology 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