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Support Vector Machin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9초

Multi-class SVM을 이용한 회전기계의 결함 진단 (Fault diagnosis of rotating machinery using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s)

  • 황원우;양보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37-543
    • /
    • 2003
  •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of machines are gaining importance in the industry because of the need to increase reliability and to decrease possible loss of production due to machine breakdown. By comparing the vibration signals of a machine running in normal and faulty conditions, detection of faults like mass unbalance, shaft misalignment and bearing defects is possible.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for applying the fault diagnosis of rotating machinery. To detect multiple faults in rotating machinery, a feature selection method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based multi-class classifier are constructed and used in the faults diagnosis. The results in experiments prove that fault types can be diagnosed by the above method.

  • PDF

Support Vector Machine Learning for Region-Based Image Retrieval with Relevance Feedback

  • Kim, Deok-Hwan;Song, Jae-Won;Lee, Ju-Hong;Choi, Bum-Ghi
    • ETRI Journal
    • /
    • 제29권5호
    • /
    • pp.700-702
    • /
    • 2007
  • We present a relevance feedback approach based on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 (SVM) learning and cluster-merging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retrieval performance in region-based image retrieval. Semantically relevant images may exhibit various visual characteristics and may be scattered in several classes in the feature space due to the semantic gap between low-level features and high-level semantics in the user's mind. To find the semantic classes through relevance feedback,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burden of completely re-clustering the classes at iterations and classifies multiple class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an the two-class SVM and multi-class relevance feedback methods.

  • PDF

Medical Image Classification using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Support Vector Machine

  • Ahmed, Al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1-6
    • /
    • 2021
  • Recently,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s have been widely used and applied for medical image classification. These models can utilised in three different ways, for feature extraction, to use the architecture of the pre-trained model and to train some layers while freezing others. In this study, the ResNet18 pre-trained CNNs model is used for feature extraction, followed by the support vector machine for multiple classes to classify medical images from multi-classes, which is used as the main classifier. Our proposed classification method was implemented on Kvasir and PH2 medical image datasets. The overall accuracy was 93.38% and 91.67% for Kvasir and PH2 datasets, respectively. The classification results and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some of the related similar methods in this area of study.

다중 SVM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생체 감성 인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io Emotion Cognition follow Stress Index Number by Multiplex SVM Algorithm)

  • 김태연;서대웅;배상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45-51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맥박, 이완기 혈압, 수축기 혈압, 혈당)를 무선 센서들을 통하여 획득한 후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감성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컬러와 음원을 분류하는 시스템으로서, 맥박 센서, 혈압 센서, 혈당 센서 등의 입력치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다중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감성을 분류한다. 2,000개의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다중 SVM 알고리즘을 학습한 결과 약 87.7%의 정확도를 가졌다.

I-벡터 기반 오픈세트 언어 인식을 위한 다중 판별 DNN (Multiple Discriminative DNNs for I-Vector Based Open-Set Language Recognition)

  • 강우현;조원익;강태균;김남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8호
    • /
    • pp.958-96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이원 support vector machine (binary SVM)을 사용하여 세 개 이상의 클래스를 분류하는 multi-class SVM과 유사하게 다중의 판별 deep neural network (DNN) 모델을 사용하는 i-벡터 기반의 언어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NIST 2015 i-vector Machine Learning Challenge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i-벡터들을 이용하여 학습 및 테스트 되었으며, 오픈 세트에서 기존의 cosine distance, multi-class SVM 및 단일 neural network (NN) 기반의 언어 인식 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가스터빈 엔진의 복합 결함 진단을 위한 SVM과 MLP의 성능 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SVM and MLP for Multiple Defect Diagnosis of Gas Turbine Engine)

  • 박준철;노태성;최동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58-16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 엔진의 결함 진단을 시도하였다. SVM은 벡터 공간에서 임의의 비선형 경계인 Hyperplane을 찾아 두 개의 집합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수학적으로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진 분류용 SVM을 다층으로 결합하여 가스 터빈의 결함을 정량적으로 판단해 내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Multi Layer Perceptron(MLP)보다 빠르고 신뢰성 있는 진단 결과를 보여주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Novel Feature Selection Approach to Classify Breast Cancer Drug using Optimized Grey Wolf Algorithm

  • Shobana, G.;Priya, 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258-270
    • /
    • 2022
  • Cancer has become a common disease for the past two decades throughout the globe and there is significant increase of cancer among women.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s are more prevalent among women. Majority of the patients approach the physicians only during their final stage of the disease. Early diagnosis of cancer remains a great challenge for the researchers. Although several drugs are being synthesized very often, their multi-benefits are less investigated. With millions of drugs synthesized and their data are accessible through open repositories. Drug repurposing can be don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propose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in this paper, which is novel that generates multiple populations for the grey wolf algorithm and classifies breast cancer drugs efficiently. Leukemia drug dataset is also investigated and Multilayer perceptron achieved 96% prediction accuracy. Three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amely Random Forest classifier, Multilayer Perceptron and Support Vector Machine models were applied and Multilayer perceptron had higher accuracy rate of 97.7% for breast cancer drug classification.

다중 특징 결합과 유사도 공간을 이용한 SVM 기반 얼굴 검증 시스템 (An SVM-based Face Verif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Feature Combination and Similarity Space)

  • 김도형;윤호섭;이재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6호
    • /
    • pp.808-81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특징 결합과 유사도 공간을 이용한 실제적인 온라인 얼굴 검증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검증에서의 주요 쟁점은 다양한 얼굴 형상 변화의 처리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지 한가지 특징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얼굴 형상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화를 처리하기 위해서 상호보완적인 특징들의 결합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다중 주성분 분석과 에지 분포에 기반 한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다수의 간단한 유사도 측정 방법들로 형성된 새로운 intra-person/extra-person 유사도 공간으로 사상되고, 최종적으로 Support Vector Machine에 의해 평가된다. 실제적인 대용량 데이터 베이스로 실험한 결과, equal error rate 0.029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많은 실제 응용제품에도 충분히 팩용 가능한 수준이다.

다중 랜덤 워커를 이용한 객체 추적 기법 (Visual Object Tracking by Using Multiple Random Walkers)

  • 문주혁;김한울;김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13-9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랜덤 워커(multiple random walkers)에 기반한 객체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분류기 기반 객체 추적 기법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영상의 영역에 대한 특징 벡터 중 배경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를 억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영역에서 배경 요소를 찾기 위해 다중 랜덤 워커를 이용한 전경 및 배경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배경 요소가 억제된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서포트 벡터 머신은 객체와 배경이 유사한 영상, 객체가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상 등에서 객체와 배경을 확실하게 구분하고, 추적 알고리즘은 정확한 객체 추적을 수행한다. 또한, 객체 추적 알고리즘의 응용에서 중요한 속도 문제를 크게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높은 처리 속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기존 기법보다 우수한 추적 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문맥 민감형 융합 (Context Dependent Fusion with Support Vector Machines)

  • 허경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7-45
    • /
    • 2013
  • 문맥 종속형 융합(CDF, Context Dependent Fusion)은 여러 분류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융합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의 문맥을 균일한 여러 문맥으로 나누고 각 문맥에서 문맥 종속적인 융합을 시도함으로써 기존 융합 방법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CDF는 학습해야할 파라미터의 개수가 많아 학습 데이터가 적은 경우 잡음에 민감한 문제점이 있으며, 선형 알고리듬이라는 한계로 인해 문맥 추출 및 지역적 융합 과정에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CDF의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커널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CDF-SVM을 제안하였다. 커널 주성분 분석은 입력 벡터에 비선형 변환을 가함으로써 타원형이 아닌 비정형의 클러스터 생성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SVM은 융합과정에서 비선형 경계의 생성을 가능하게 해주어 CDF의 선형성 제약을 극복하도록 해준다. 또한 목적함수에 정규화 항을 추가함으로써 잡음 민감성을 줄이도록 하였다. 제안한 CDF-SVM은 기존 CDF 및 그 변형들에 비해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