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Design

검색결과 2,988건 처리시간 0.043초

디지털 TV 플랫폼의 UX 디자인 (UX Design for Digital TV Platform)

  • 임진호;이상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63-568
    • /
    • 2010
  • TV businesses that have brought a competitive structure in terms of price, definition, product design for a long time now are bringing User eXperience (UX) into relief as DTVs come to support broadcast information-related services such as various broadcast channels and Electronic Program Guide(EPG), etc., and playing of multimedia contents like music/videos, etc. This study worked on an evaluation by developing a UI to control easily the various and complex broadcast contents or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by DTVs. The UI Design for new DTVs was developed based on Function, Flow and Form in the concept of Single ABC (Access, Browser and Control), and the usability test of the developed UI concept along with the UIs of the major DTV products, was done for Channel Managers and the multimedia browsers for 32 users of DTVs in the U.K./U.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test, the new concept of Channel Manager was evaluated high both in the U.K./U.S, while the multimedia browser was evaluated low in the U.S., relatively.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데이타베이스 질의어 설계 (Design of a Database Query Language for Multimedia Presentation)

  • 이중화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2호
    • /
    • pp.213-225
    • /
    • 2003
  •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를 어떻게 프리젠테이션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질의의 결과를 다양한 응용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일반화된 형태로 질의결과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질의결과를 프리젠테이션 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모델과 멀리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지원하는 MMSQL을 제안하고 MMSQL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질의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질의 결과 프리젠테이션을 보다 일반화된 형태인 SMIL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질의 결과를 다양한 응용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대학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의 전문화와 차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Eucation in Mltimedia-related Department of Technology Institute)

  • 이화종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91-99
    • /
    • 1998
  • 95년도부터 시작되어진 전문대학의 멀티미디어 관련학과 교육은 질적으로 내실 있는 교육이라기 보다는 사회의 멀티미디어 관련산업의 거품현상에 편승(便乘)하여 무리하게 급조(急造)된 제작 실무자를 양산(量産)하고 있는 실정이다. IMF 이후 현 경제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인력의 과다 공급과 소비 인력의 극한 감소는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지기 위한 교육의 질적인 전문화와 차별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의 전문화와 차별화를 이루기 위한 현실적인 문제점과 교육목표, 특히 전임교수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方案)을 제시하며,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전문대학의 상황 극복 방법을 바탕으로 앞으로 전문대학이 추구해야할 미래 지향적이고 사회의 요구를 앞서가는 전문대학의 위상(位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동기식 멀티미디어 교육콘텐츠 저작도구 설계 (Design of Authoring tool for Synchronizing Multimedia Educational Contents)

  • 박승범;김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42-149
    • /
    • 2007
  • 기존의 교육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동기화표현이 불가능하거나 별도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였다.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은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간적, 공간적 배열이 가능한 XML기반의 언어로서 웹브라우저 상에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웹기반 교육콘텐츠에 SMIL을 적용하게 되면 별도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없이 웹브라우저만으로도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SMIL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교육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XSLT를 이용하여 SMIL 문서에서 XHTML 문서로 변환시킴으로써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저작툴을 설계하였다.

전통적 교육이론에 따른 유아교육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설계 방안 (Multimedia Contents Desig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 이범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7-11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design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emphasizes both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and developmental aspects in its exploration of interactive and educational qualitative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ren. Accordingly, for an eff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of the playful learning for the conception of idea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life. Because this study 1) possibility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 computer application metho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 examines used in the designing of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raditional education theory. Multimedia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s possible to organize information such as test, image, sound and video based on hyperlink system. I use Microsoft's Ms-office and Asymetrix's ToolBook software that are useful for hyperlink and parameter. Multimedia contents and other pages are used by Dynamic Data Exchange(DDE). Therefore multimedia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 useful tool for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parents, and children.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인포그래픽 도구로서 디지털다이어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Digital-Diagrams as Infographic Material in Multimedia Design)

  • 류시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3-146
    • /
    • 2004
  • 다이어그램은 디자인 정보와 지식에 관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목적으로 디자인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는 '디자인 과정의 개념과 방법을 증식' 시키는 '증식적 디자인 매체'로까지 그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웹 컨텐츠, 인터랙티브 무비, DVD 타이틀과 같은 멀티미디어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정보 이해를 손쉽게 지원하고 더 나아가 정보 획득 과정의 사용자 참여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디지털 다이어그램'이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인포그래픽 유형에 해당하는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본질이 무엇이고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에서 그 활용의 문제가 어떠한지를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인포그래픽 유형으로서 다이어그램의 본질과 기존 다이어그램과 비교되는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정체성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활용 문제를 탐색하였다. 디지털 다이어그램은 그 정체성과 관련하여 기능적으로 '언어적 형식'에 바탕을 둔 '하이퍼텍스트'와 '그래픽적 형식'에 바탕을 둔 '상호작용성'을 핵심 속성으로 활용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따라서 의미론적으로'정보 표현의 층위를 세분화시켜 사용자의 정보 이해 폭을 확장시키고 더 나아가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가 획득 '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와 관련지어, 디지털 다이어그램은 '정보 사용자의 정보 획득 지원'에 바탕을 둔 '실체적 모델링'의 일환으로서 '인포메이션 디자이너'와 '네비게이션 디자이너'에 의해 활용되어 진다. 특히 인포메이션 디자이너는 정보 제시 기법을 위해서 그리고 네비게이션 디자이너는 인터페이스의 실질적인 기능 요소 구현을 목적으로 디지털 다이어그램을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몰입형 무대 연출을 위한 시나리오 및 콘텐츠 설계 시스템 (Scenario and Content Design System for Immersive Stage Direction)

  • 문명운;치옥용;국윤창;홍성욱;김준오;조경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79-1080
    • /
    • 2017
  • Today multimedia technologies ar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games, movies, and live performances. In this paper, we design a flexible interactive system integrated with gesture recognition, skeleton tracking, internet communication, and content edition using multi-sensors to direct and control the performance on stage. In this system, the performer can control the elements showed on stage through corresponding gestures and body movements during the performance. The system provides an easier way for users to change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if they intent to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