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unit apart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5초

근린생활권의 육아환경 요소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arly Childhood's Mothers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Elements in the Neighborhood - Focused on Songpa-gu, Seoul -)

  • 이주림;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ho live in APT and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hers in order to surve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for child-rearing.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PA by hous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natural environment and playground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multi-family housing area. the mothers need soundproofing of house and management of unwanted facilities in neighborhood in common. In the apartment,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ren's library is required. The results of IPA on the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child-rearing environment improvement.

오픈 하우징의 가변성 대응 계획수법 비교 연구 - 일본, 네덜란드, 핀란드의 오픈 하우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lexible Design Methods on Open Housing)

  • 김수암;이성옥;황은경;임석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5
  • It is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and analyze of Open Housing in order to change new housing system, because exiting multi family housing is lack of flexibility and easy remod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and grasp basic planning and design data for flexibility of Open Housings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actual investigation through visiting 17 open housing sites from 1995 to 2005 in Netherlands, Finland and Japan, which are main Open Housing. We analyzed the planning methods and elements for flexibility of open housing block and unit plan, and described the contents of analyses. We found a lot of planning and design methods-supplying option plan and user participation before occupation, various structural system for openness, common piping shaft location, slab-down and applying access flooring system, movable and demountable partition wall system etc. -applied to the open housings, and findings are applicable to the planning and designing works of apartment housings in Korea.

  • PDF

다기능 솔라윈도우의 열성능 연구 (The Study of Thermal Performance on Solar Window)

  • 조일식;김장회;양윤섭;김병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5.2-65.2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Heating/cooling performance of Solar Window built in apartments. The solar window is the idea to integrate daylight as a third form of solar energy into a PV/Solar Collector system and allows more control due to the possibility to close the reflectors. However, there can be a conflict between the desire for on one hand daylight and view and on the other hand optimal energy conversion for the PV/Solar Collector system.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Solar Window system is desig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vious paper and work. 2)The simulation program(ESP-r, Therm5.0, Window6.0) was used in Heating/cooling performance analysis. The reference model of simulation was made up to analysis Heating/cooling performance on Solar Window. 3)Selected reference model(Floors:15, Area of Unit:$148.5m^2$) for heating energy analysis,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with various variants, such as U-value of Solar Window system according to its position and angle. Consequently, When Solar Window system is equipped with balcony window of Apartment, Annu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of reference model was cut down about 5%~11%.

  • PDF

지체장애인의 관점에서 본 소규모 아파트 공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Small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the Physically Disabled)

  • 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9-10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subjects were 135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lived in the rental multi-family housing apartments in Pusan.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y were an average age of 51 years and 63% were male. They were low income families and lived in 12 pyung ($39.75\textrm{m}^2$) apartments. They were asked about what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constraints in their daily living. They pointed out that the constraints in their apartments were as follows: 1) the small amount of space in the bathroom, kitchen, bedroom, and the entrance area of housing unit, 2) the unflat floor level between the bathroom and the hallway, or the balcony and the bedroom, 3) the slippery floor finish in the bathroom, 4) lack of grab bars or handrails in the bathroom and the ramp, 5) the kitchen work centers and the electric switches at improper height, and 6) the steep ramp. Therefore,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the adequate amount of space, flat floor level, non-slippery floor finish, grab bars or handrails, accessible height, and ramp.

  • PDF

전동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 적용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성능평가 연구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Apartment Building in Case of Applying a Blind Integrated Window System)

  • 최경석;손장열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429-435
    • /
    • 2010
  • Although recently revised building code requires 15~20%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for window systems, since the code is focusing on winter heat loss, it is not satisfactory to contribute on reducing rapidly rising cooling load in summer. Window systems have great impact on building heat gain and loss. Therefore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window system specialized in shading solar gain in summer is an urgent matter.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sun shading and thermal insulation for blind integrated window system. Also, computer simulation evaluates the effect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for an individual unit(floor area of $85m^2$) of a multi-family housing. Physibel Voltra, a heat transfer analysis software, was used to analyse the effect of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and the energy load was converted to the cost to compare the actual effect of economical benefit.

중량충격음 평가방법 변화에 따른 단일수치평가량 기여 주파수 대역 사례 분석 (Case study on frequency bands contributing the single number quantity for heavy-weight impact sound based on assessment method changes)

  • 신혜경;박상희;김경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5-571
    • /
    • 2023
  • 사후확인제 도입으로 현장에서의 바닥충격음 성능 측정이 의무화되고, 평가 방법이 변경되었다. 제도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성능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평가방법에 따라 중량충격음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과 바닥구조가 동일한 하나의 아파트 건물에 위치한 59세대를 대상으로 충격원 및 평가지표에 따라 단일수치평가량을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의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단일수치평가량에 따른 주파수대역별 기여도 산출방법이 상이하여 단순 비교는 어려우나, 사후확인제 도입 이전 평가방법(뱅머신 측정 및 L'i,Fmax,AW으로 평가)에서는 63 Hz가 미치는 기여율은 평균 80.8 %로 나타났으며, 125 Hz가 미치는 기여율은 평균 19.2 %으로 나타났다. 현행 평가방법(고무공 측정 및 L'iA,Fmax으로 평가) 에서는 기여율은 50 Hz ~ 80 Hz에서 평균 33.1 %, 100 Hz ~ 160 Hz에서 평균 58.7 %, 200 Hz ~ 315 Hz에서 평균 6.9 %, 400 Hz ~ 630 Hz에서 평균 1.3 %으로, 63 Hz 대역의 기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상 공동주택에 대한 사례 분석 내용으로, 더 다양한 공동주택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 내외부의 친환경 구성을 위한 입체녹화의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Components of 3D Greenery System for Eco-Friendly Indoor and Outdoor Space of Buildings)

  • 신경선;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75-284
    • /
    • 2017
  • 입체녹화가 도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환경 건축물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국내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건축물 준공사례를 대상으로 건축물 내 외부에 반영되고 있는 입체녹화의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구성체계 및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구성을 위한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입체녹화는 건축물 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형화하는 고밀도 개발형태를 보이며 초기에는 전시, 교육 등 공공시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공동주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주거 Unit에 다양한 근접공간을 도입하고 사적 공간에서 독립적인 녹화공간을 제시하는 등 거주자의 선호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근접공간을 이용하도록 계획하는 방법은 일률적인 국내 공동주거의 디자인을 지양하고 거주자의 다양한 행위를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공간분위기와 다양한 옥외공간으로 인한 커뮤니티 장소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공동주거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마을공동체를 조성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지의 환경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건축물 형태에 자연지형과 경사로를 이용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어 외부공간 환경조성 디자인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공동주택 경관향상을 위한 특별건축구역제도 적용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신반포1차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을 대상으로 - (A Study on Practical Application of "Special Building Zone"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of Housing Complex - Focused on the Redevelopments Project of Sinbanpo Apartment Complex -)

  • 이보람;이수형;이정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45-54
    • /
    • 2017
  • A Special Building Zone, which could relieve or ignore part of the Building Act and the regulations in relevant laws, was practically established for the creation of new urban landscape,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related policy.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Special Building Zone as well as the insufficiency of detailed standards in policies, the system currently cannot be operated in universal matters. In such circumstance,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current data on the Special Building Zone defined in exiting law, attempts to analyze the multi-unit housing that has been planned by the system of Special Building Zone. Also,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Special Building Zone's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so as to suggest solutions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system. With the results above,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can be derived and summarized as the following. On the one hand, from 'planning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in a comprehensive way with consideration of urban and local contexts. On the other hand, from 'procedure perspective', some foundation shall be prepared for a system that can allows comprehensive tasks, including the settlement of the zone, the alleviation/elimination of regulations, the approval of building's constructio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the monitoring.

OSC 활용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경제성 분석 지표 개발 및 사례 시나리오 분석 - 공동주택 PC공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conomic Analysis Indicators and Case Scenario Analysis for Decision-making support for Off-Site Construction Utilization of Apartment Houses)

  • 윤원건;배병윤;신은영;강태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24-35
    • /
    • 2023
  • 최근 국토교통부 '제6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및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2022.7.20.)' 등에서 국내 건설 산업 혁신 방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PC (Precast Concrete), 모듈러(Modular) 등 탈 현장 건설 생산방식인 OSC (Off-Site Construction)는 공기 단축, 원가 절감, 품질 향상, 건설 폐기물 감소, 안전사고 감소 등 각종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장타설 기반의 전통적 RC공법에 비해 비싼 공사비로 인하여 활용 확산에 제약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OSC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계획·설계단계에서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경제성 분석 지표 및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연구, 기술자료 조사 등을 통해 전통적인 경제성 분석의 틀에서 공사비 외에도 정량화 가능한 다양한 공동주택 OSC(PC공법 기반) 방식의 경제성 연관 요인들의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최종 편익 부문 지표로는 OSC의 기술적 장점을 반영한 '공사기간', '재해발생', '폐기물발생', '온실가스배출' 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렇게 제시된 경제성 분석 지표 및 편익 산출기준을 실제 공동주택 사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RC공법과의 공사비 차이를 상쇄시키는 편익 수준을 검토하였다. 향후 세부 지표별 측정 기준 적용성에 대해 추가적인 사례 연구 수행과 편익 지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보다 개선된 효과 검증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상부슬래브의 요구성능을 고려한 복합형 폴리우레아 공법의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Composite Polyurea Method Considering the Required Performance in Underground Parking Lot Upper Slab)

  • 이정훈;최은규;송제영;김수연;오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43-2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상부 슬래브에 적용하여 누수하자가 발생된 방수공법들의 문제점과 상부 슬래브의 특성을 고려한 요구조건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성능(안)을 선정하여 복합형 폴리우레아 공법을 대상으로 그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상부슬래브에는 (1) 균열 및 거동 대응성, (2) 바탕면 일체성, (3) 수직부 수밀 안정성, (4) 누름층 시공 용이성, (5) 충격 및 누름 대응성, (6) 차량 이동하중에 대한 대응성 등의 성능검토가 필요하겠다. 연질, 경질의 복합형 폴리우레아를 대상으로 요구조건에 해당하는 5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결과 모두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단일 공법으로 적용함에 있어 문제점이 있던 재료들을 복합화 함으로서 각 재료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Mock-up 평가 등 현장 적용성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복합화에 따른 경제성 및 유지관리성 측면에서의 검토를 통해 실제 시장 적용성 여부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