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level Schedul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9초

XML기반 전역 Peer-to-Peer 엔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 based Global Peer-to-Peer Engine)

  • 권태숙;이일수;이승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B호
    • /
    • pp.73-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며, PC, 웹, 모바일 환경을 연동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XML 기반 글로벌 P2P 엔진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설계 및 구현 경험을 소개한다. 제안된 P2P 엔진은 모든 메시지 교환 시 텍스트 기반의 XML을 사용함으로써 웹 연동 및 이기종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다중 수준의 보안레벨과 여러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된 시스템은 모든 메시지를 스케줄링, 필터링 하는 Message Dispatcher,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관리자와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 관리자를 포함하는 SecureNet Manager, 피어를 검색하여 피어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Discovery Manager, 그리고 XML 문서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자인 Repository Manager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가용성 평가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채팅과 협업 중 공동 저작 도구로서 화이트보드 그리고 파일 공유서비스를 각각 구현하고, 기존의 타 시스템과의 성능 비교 평가를 하였다.

슈퍼컴퓨팅환경에서의 대규모 계산 작업 처리 기술 연구 (HTCaaS(High Throughput Computing as a Service) in Supercomputing Environment)

  • 김석규;김직수;김상완;노승우;김서영;황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8-17
    • /
    • 2014
  • 슈퍼컴퓨팅 자원들은 주로 MPI와 같은 메시지 교환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통신 집적도가 높은 고성능 컴퓨팅(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응용 분야를 지원하는데 활용되어 왔다. 반면에, 대규모 계산처리 컴퓨팅(HTC: High Throughput Computing) 방식의 패러다임은 주로 계산 집적도가 높고(상대적으로 적은 I/O 연산), 독립적인(작업들 간의 통신이 적음) 많은 수의 작업을 처리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에너지 물리, 신약개발, 핵물리와 같은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요구하는 계산처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HTC 과학 응용들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국가차원의 슈퍼컴퓨팅 분산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해 연구/개발되어진 대규모 계산처리 서비스(HTCaaS: High Throughput Computing as a Service)의 전체 구조 및 구성 요소, 실행 시나리오 및 실제 응용 적용 사례 등에 대해 서술한다.

중요도 혼재 시스템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Mixed-Criticality System)

  • 윤문형;박준호;김용호;이정훈;구봉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25-140
    • /
    • 2018
  • 최근 하드웨어 성능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던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된 시스템을 중요도 혼재 시스템(MCS: Mixed-Criticality System)이라고 한다. 현재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는 관련 산업이 발달한 유럽 및 미국의 주도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기술적인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노력을 가속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움직임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기술 및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다양한 기반 기술의 연구 및 프로젝트의 진행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주요 프로젝트의 연구 및 개발 동향을 분석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 혼재 시스템의 정의 및 시스템 모델에 대해서 정의한 후, 중요도 혼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반 기술을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중요도 혼재 시스템을 연구하는 각국의 프로젝트 동향을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분야를 논의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도 혼재 시스템 분야의 연구 방향성 설정을 위한 세계 각국의 연구 동향 파악이 가능하며, 군사 시스템에의 접목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신경망의 분석을 통한 방향 정보를 내포하는 분기 예측 기법 (Direction-Embedded Branch Predi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Neural Network)

  • 곽종욱;김주환;전주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1호
    • /
    • pp.9-26
    • /
    • 2005
  • 파이프라인과 슈퍼스칼라 방식 그리고 동적 스케줄링 기법이 일반화된 시스템 구조 하에서, 분기 명령어에 대한 분기 예측 정확도는 프로세서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적인 성능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분기 예측이 실패했을 경우 잘못된 분기 예측으로 인한 페널티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페널티는 파이프라인의 길이가 깊어지고 더욱 많은 수의 명령어가 동시에 실행되는 환경일수록 더 큰 값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분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분기 예측과 관련된 신경망을 구축하여 이론 통해 분기 예측에 필요한 각 요소별 가중치의 경향을 분석한다. 그 결과,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기존의 분기 예측 기법에 추가시킨 새로운 형태의 분기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새로운 기법은 실행 구동방식의 시뮬레이터인 Simple Scalar를 통하여 모의실험 되었으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기 명령어의 방향 정보를 내포하는 새로운 기법(direction-gshare)"이 기존의 gshare 기법과 비교하여 동일한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Bimodal 기법이나 이단계 적응형 분기 예측 기법 혹은 그의 변형인 gshare 기법에 비하여 분기 예측의 정확도가 최대 4.1%, 평균 1.5%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최적의 방향 정보 내포량에 대해서는 최대 11.8%, 평균 3.7%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