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omponent signal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49초

ISAR 영상 형성을 위한 PPP 기반 회전운동 보상기법 연구 (Study of Rotational Motion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PPP for ISAR Imaging)

  • 강기봉;박상홍;강병수;유보현;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7
    • /
    • 2018
  • 비선형적으로 회전하는 표적의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ISAR)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표적의 수신 신호에 적절한 회전운동 보상기법을 수행해 주어야 한다. 대표적인 회전운동 보상기법인 prominent point processing(PPP)은 산란점의 위상정보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전성분을 선형화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integrated cubic phase function(ICPF)을 이용하여 산란점의 위상정보를 추정한 다음 PPP를 수행하여 ISAR 영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CPF는 다수의 산란점으로부터 중첩된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1차원 영역(domain)의 최댓값을 찾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산란점의 위상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ICPF를 이용한 산란점 위상정보 추정 후 PPP를 수행함으로써 지배적 산란점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높은 품질의 I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Ovarian Cancer: Interplay of Vitamin D Signaling and miRNA Action

  • Attar, Rukset;Gasparri, Maria Luisa;Di Donato, Violante;Yaylim, Ilhan;Halim, Talha Abdul;Zaman, Farrukh;Farooqi, Ammad Ah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359-3362
    • /
    • 2014
  •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devoted to the mechanisms by which cells receive signals and then translate these into decisions for growth, death, or migration. Recent findings have presented significant breakthroughs in develop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ctivation or repression of target genes and proteins in response to various stimuli and of how they are assembled during signal transduction in cancer cells. Detailed mechanistic insights have unveiled new maps of linear and integrated signal transduction cascades, but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pathways remains unclear. Although new layers of information are being added regarding mechanisms underlying ovarian cancer and how polymorphisms in VDR gene influence its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must be sequentially collected and re-interpreted. We divide this multi-component review into different segments: how vitamin D modulates molecular network in ovarian cancer cells, how ovarian cancer is controlled by tumor suppressors and oncogenic miRNAs and finally how vitamin D signaling regulates miRNA expression. Intra/inter-population variability is insufficiently studied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etics of population will be helpful in getting a step closer to personalized medicine.

A Comparison of Spectrum-Sensing Algorithms Based on Eigenvalues

  • Ali, Syed Sajjad;Liu, Jialong;Liu, Chang;Jin, Minglu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4호
    • /
    • pp.241-247
    • /
    • 2015
  • Cognitive radio has been attracting increased attention as an effective approach to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One component of cognitive radio, spectrum sensing,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radio. In this paper, after a summary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spectrum-sensing algorithms, we report that the existing eigenvalue-based semi-blind detection algorithm and blind detection algorithm have not made full use of the eigenvalues of the received signals. Applying multi-antenna systems to cognitive users, we design a variety of spectrum-sensing algorithms based on the joint distribution of the eigenvalues of the received signal. Simulation results valid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in this paper are able to detect whether the signal of the primary user exists or not with high probability of detection in an environment with a low signal-to-noise ratio. Compared with traditional algorithms, the new algorithms have the advantages of high detection performance and strong robustness

경험 모드 분리법을 이용한 감쇠 진동 신호의 분석 (Analysis of Damped Vibration Signal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 이인재;이종민;황요하;허건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92-198
    • /
    • 2005
  •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 method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analyze non-linear and non-stationary data. This method allows the decomposition of one-dimensional signals into intrinsic mode functions(IMFs) and is used to calculate a meaningful multi-component instantaneous frequency. 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each mode of damped vibration signal could be well separated in the form of IMF by EMD. In this case, we can have a new powerful method to calculate natural frequencies and dampings from damped vibration signal which usually has multiple modes. This proposed method has been verified by both simulation and experiment. The results by EMD method whichhas used only output vibration data are almost identical to the results by FRF method which has used both input and output data, thereby proving usefulness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경험 모드 분석법을 이용한 감쇠 진동 신호의 분석 (Analysis of Damped Vibration Signal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 이인재;이종민;황요하;허건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99-704
    • /
    • 2004
  •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 method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analyze non-linear and non-stationary data. This method allows the decomposition of one-dimensional signals into intrinsic mode functions(IMFs) and is used to calculate a meaningful multi-component instantaneous frequency. 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each mode of damped vibration signal could be well separated in the form of IMF by EMD. In this case, we can have a new powerful method to calculate natural frequencies and dampings from damped vibration signal which usually has multiple modes. This proposed method has been verified by both simulation and experiment. The result by EMD method which has used only output vibration data is almost identical to the result by FRF method which has used both input and output data, thereby proving usefulness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 PDF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에 의한 시판음료의 판별분석 (Discriminant Analysis of Marketed Beverages Using Multi-channel Taste Evaluation System)

  • 박경림;배영민;박인선;조용진;김남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00-306
    • /
    • 2004
  • 양이온 및 음이온 반응성의 고분자막 8종을 casting 법에 의하여 제조한 후 이온전극에 장착하여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의 비선택성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였다. 맛 센서 어레이에 의한 전기화학계측은 전위법에 의하여 행하였으며, 이 때 센서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맛 센서로 측정한 전위간을 막 전위 증폭기를 거쳐 증폭한 후 다채널 A/D converter를 통하여 PC에 접속하였다. 식혜, 수정과, 감귤쥬스 등 6종 24점의 시판음료를 다채널 맛 평가시스템으로 분석한 후 각 센서의 계측신호에 대한 정규화를 행하고 주성분 분석을 행하였을 때 5종 음료군의 조합에서는 제1 주성분 및 제2 주성분의 합이 전체 데이터 변이의 $70.73{\sim}85.3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종 음료군의 경우에는 제1 주성분 및 제2 주성분의 합과 제1 주성분, 제2 주성분 및 제3 주성분의 합이 전체데이터 변이의 81.46%와 89.56%를 각각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공간상에 6종 음료군에 대한 계측결과를 맵핑하였을 때 이들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5종 음료군의 조합에서는 2가지 경우에 있어 2차원 평면상에서 구분되었다.

조미료의 방사선 조사선원에 따른 전자스핀공명 분석 특성 (Analytical Properties of Electron Spin Resonance after Irradiation of Seasonings with Different Radiation Sources)

  • 안재준;김귀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5-391
    • /
    • 2009
  • 시판 혼합조미료(SS-1, SS-2)를 시료로 하여 조사선원(감마선, 전자선) 및 조사선량(0-20 kGy)에 따른 ESR spectrum의 특성을 비교하고, 방사선조사 유래의 sign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여 조사여부 판별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된 조미료 시료에서는 조사선원에 상관없이 특이한 free radical의 ESR signal을 보여주었다. 이 signal은 g-value가 2.031, 2.021, 2.017, 2.009, 2.002, 1.990 및 1.980인 크고 작은 7개의 peak를 지닌 crystalline sugar 유래의 multicomponent radical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처리되지 않은 두 시료(SS-1, SS-2)는 모두 매우 낮은 강도의 singlet line의 형태의 spectrum을 나타내어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구별이 분명하였다. 조사선원과 선량에 따른 signal intensity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모든 조사선량에서 전자선 시료가 감마선시료보다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R^2=0.9916{\sim}0.9973$). 두 시료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spectra는 조사선원 및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g-value와 signal을 나타내는 자장영역은 거의 일정하였으며, 주요 signals($g_2=2.021$, $g_4=2.009$, $g_5=2.002$, $g_6=1.990$)의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R^2=0.8243{\sim}0.9929$).

건마늘과 건양배추의 방사선 조사여부 확인을 위한 물리적 마커 분석 (Analyzing a Physical Marker to Identify Irradiated Dried Garlic and Cabbage)

  • 김동길;안재준;;이호천;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6-140
    • /
    • 2009
  • 건마늘과 건양배추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0, 2.5, 5, 10, 20 kGy)에 따른 검지특성을 PSL, ESR 및 TL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PSL 분석결과, 건마늘과 건양배추의 비 조사시료는 287-337 photon counts로 negative값을 나타내었고, 조사시료는 7511-54063 photon counts의 positive값을 나타내어 비 조사시료와 조사시료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ESR 분석 결과, 건마늘의 경우 비 조사시료에서 나타나지 않은 cellulose radical이 고선량(20 kGy)에서 관찰되었고, 건양배추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crystalline sugar 유래의 multi- component signal이 관찰되었다. 또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ESR signal intensity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R^2$= 0.9369-0.9926). TL 분석 결과, 건마늘과 건양배추 모두 비 조사시료와 조사시료의 glow curve가 나타나는 온도 범위(150-250$^{\circ}C$)와 TL intensity의 차이가 명확하였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TL signal intensity가 증가하였다($R^2$= 0.9670-0.9768). 그리고 TL ratio($TL_1/TL_2$)의 측정결과는 비 조사구는 0.1 이하, 조사구는 0.1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TL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여주었다.

전도성 고분자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 인식 (Volatile Organic Gas Recognition Using Conducting Polymer Sensor array)

  • 이경문;주병수;유준부;황하룡;이병수;이덕동;변형기;허증수
    • 센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86-293
    • /
    • 2002
  •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Volatile Organic Compounds)를 인식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Polypyrrole와 Polyaniline을 화학중합법으로 센서에 전도성고분자막을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VOC 검지용 센서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센서어레이로부터 측정되는 다차원 데이터는 주성분분석법(PCA)과 RBF(Radial Basis Function Network)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으로 VOCs 가스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RBF Network이 PCA 방식보다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선 조사 건조과일의 품질평가 및 물리적 판별 (Quality Evaluation and Physical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Dried Fruits)

  • 정재훈;정윤미;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59-1564
    • /
    • 2012
  • 건포도(Thailand산), 건망고(Philippine산), 건무화과(Iran산)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균수 및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고 조사여부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총 균수 측정 결과 3 kGy 이상으로 조사된 시료에서는 대부분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과일의 색차 측정에서, 건망고의 색 변화가 방사선조사에 가장 민감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포도의 경우 비 조사시료는 음성으로, 조사시료는 중간 값으로 확인되었고 건망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음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무화과의 경우 5 kGy 조사시료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건조과일의 경우 PSL 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낮았다. TL 측정 결과 건무화과의 경우 조사시료는 $150{\sim}200^{\circ}C$ 사이에서 특유의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신호 강도 또한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TL 적용이 가능하였다. ESR 측정 결과 건포도와 건망고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multi-component 신호를 보여주었고, 신호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ESR 적용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