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Frontal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59초

다중센서 기반 차선정보 시공간 융합기법 (Lane Information Fusion Scheme using Multiple Lane Sensors)

  • 이수목;박기광;서승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2호
    • /
    • pp.142-149
    • /
    • 2015
  • 단일 카메라 센서를 기반으로 한 차선검출 시스템은 급격한 조도 변화, 열악한 기상환경 등에 취약하다. 이러한 단일 센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센서 융합을 통해 성능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센서 융합의 연구는 대부분 물체 및 차량을 대상으로 한 융합 모델에 국한되어 차용하기 어렵거나, 차선 센서의 다양한 신호 주기 및 인식범위에 대한 상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센서의 상이성을 고려하여 차선 정보를 최적으로 융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융합 프레임워크는 센서 별 가변적인 신호처리 주기와 인식 신뢰 범위를 고려하므로 다양한 차선 센서 조합으로도 정교한 융합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차선 예측 모델의 제안을 통해 간헐적으로 들어오는 차선정보를 세밀한 차선정보로 정밀하게 예측하여 다중주기 신호를 동기화한다. 조도환경이 열악한 환경에서의 실험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융합 시스템이 기존 단일 센서 대비 인식 성능이 개선됨을 검증한다.

고유특징과 다층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 영상에서의 눈과 입 영역 자동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Eye and Mouth Fields from Face Images using MultiLayer Perceptrons and Eigenfeatures)

  • 류연식;오세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7권2호
    • /
    • pp.31-43
    • /
    • 2000
  • 본 논문은 얼굴영상에서 눈과 입 부위를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첫째로, 눈과 입의 에지 이진 화소 집합의 고유 값 (Eigenvalue) 과 고유 벡터 (Eigenvector) 로 부터 추출한 정보들은 눈과 입을 찾기 위한 좋은 특징이 된다. 눈과 입 부위의 긍정적 샘플과 부정적 샘플로부터 추출한 고유 특징들로 다층 신경망을 학습하여 특정 영역이 눈과 입 부위 포함하는 정도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둘째로, 시스템의 강건성 확보를 위해 서로 다른 구조의 단일 MLP를 묶어서 그 결과를 이용하는 Ensemble network 구조를 사용하였다. 두 눈과 입에 각각 별도의 Ensemble network을 사용하였고, 각 Ensemble network내 MLP들의 출력이 최대가 되는 영역의 중심 좌표들을 평균하여 최종 위치를 결정하였다. 셋째로, 특징 정보 추출 검색 영역을 즐기기 위해 얼굴 영상 에지 정보와 눈과 입의 위치 관계를 이용해 눈과 입의 대략적인 영역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적은 수의 정면 얼굴에서 추출한 고유 특징들로 학습된 Ensemble network을 사용하여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다른 사람들의 정면얼굴 뿐만 아니라 일정한 범위 내 자세 변화에서도 좋은 일반화 성능을 얻고 있으며, 작은 범위 내에서의 얼굴 크기 변화나 좌우 20°이내의 자세 변화에 대해서도 신경망의 일반화 기능을 이용하여 강건한 결과를 얻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직접해법 기반의 FETI 알고리즘의 개선 (Further Improvement of Direct Solution-based FETI Algorithm)

  • 강승훈;공두현;신상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249-257
    • /
    • 2022
  • 본 논문은 직접해법 기반 FETI 알고리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 대상은 FETI-local로, 해당 알고리즘은 국부 Lagrange 승수를 통해 부영역 간 경계 문제를 정의한다. 부영역 경계 강성 및 하중 계산 단계의 경우, 전체 역행렬 계산 등 과도한 비용을 요구했던 기존 알고리즘을 Boolean 행렬 특성을 활용한 선택적 역행렬 성분 계산으로 개선하였다. 전역 경계 행렬식 계산 단계의 경우, 기존 단일 프로세서 연산을 다중 프론탈 기법 기반 병렬 연산으로 대체하였다. 제시된 FETI-local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은 64만 자유도 수치 예제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기존 대비 최대 97.8%의 계산 시간 감소가 달성되었다. 또한, 기존 대비 안정적이고 개선된 확장성이 가속 지표를 통해 확인되었다. 추가로, 432만 자유도의 대용량 계산 성능 비교가 제시된 알고리즘과 상용 프로그램인 ANSYS 간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계산 시간 측면에선 ANSYS가 우수하였으나, 프로세서 수에 따른 가속 성능 증가율 측면에선 제시된 알고리즘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민화의 다시점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연구 (Multi-perspective of Korean Folk Paintings)

  • 김도연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112-126
    • /
    • 2005
  • 인류의 문화 전반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뉴미디어들로 인해 급격한 변혁을 맞이하고 있다. 대중들의 보편적인 사고방식도 언어적인 것에서 영상적인 것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상언어로서 영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점(視點)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기존 제도 교육이 서양의 원근법에만 한정되어 다양한 애니메이션 시점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느끼고 한국적인 시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시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 민화의 다시점은 관념의 공간안에서 다양하고 자유롭게 전개되어 하나의 대상을 완전하게 구성하려는 한국의 전통적 표현방식으로 한국적인 정서에 맞는 시점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을 통해 먼저 민화의 개념 및 특징을 파악하고 민화 관련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맞는 한국 민화의 다시점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구조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민화의 다시점을 디지털 미디어환경에서 느낄 수 있도록 전래동화 '해님달님'을 한국 민화의 다시점에 적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재구성하였다. 작가의 관념의 공간 안에서 표현되는 여러 가지 표현법 중에 평원(平遠), 부감(府瞰), 역원근(逆遠近),동시적 표현법(同時的 表現法)의 4가지 방식을 활용하여 작품에 적용하였고 시점적 측면에서는 천(天)과 지(地)를 상징하는 호랑이와 새의 캐릭터를 작품에 적용하였다. 또한 화면구성방식은 실재(實在) 민화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해하고 스토리텔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와 제작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관객에게 보다 다양한 시점을 제공하고, 한국 민화의 다시점이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콘텐츠들을 통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Cortical Iron Accumulation as an Imaging Marker for Neurodegeneration in Clinical Cognitive Impairment Spectrum: A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Study

  • Hyeong Woo Kim;Subin Lee;Jin Ho Yang;Yeonsil Moon;Jongho Lee;Won-Jin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1호
    • /
    • pp.1131-1141
    • /
    • 2023
  • Objective: Cortical iron deposition has recently been shown to occur in Alzheimer's disease (AD).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how cortical gray matter iron, measured using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QSM), differs in the clinical cognitive impairment spectrum.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73 participa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6.7 ± 7.6 years; 52 females and 21 males) with normal cognition (NC), 158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48 patients with AD dementia. The participants underw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a three-dimensional multi-dynamic multi-echo sequence on a 3-T scanner. We employed a deep neural network (QSMnet+) and used automatic segmentation software based on FreeSurfer v6.0 to extract anatomical labels and volumes of interest in the cortex. We used analysis of co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among the clinical diagnostic groups in each brain region.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susceptibility values and cognitive scores includ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Results: Among the three groups, the frontal (P < 0.001), temporal (P = 0.004), parietal (P = 0.001), occipital (P < 0.001), and cingulate cortices (P < 0.001) showed a higher mean susceptibility in patients with MCI and AD than in NC subjects. In the combined MCI and AD group, the mean susceptibility in the cingulate cortex (β = -216.21, P = 0.019) and insular cortex (β = -276.65, P = 0.001)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MMSE scores after correcting for age, sex, education, regional volume, and APOE4 carrier status. Conclusion: Iron deposition in the cortex, as measured by QSMnet+,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D and MCI than in NC participants. Iron deposition in the cingulate and insular cortices may be an early imaging marker of cognitive impairment related neurodegeneration.

보행자의 층돌 사고에서 보행자 전도거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on the Vehicle-Pedestrian Accident)

  • 강대민;안승모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6-62
    • /
    • 2009
  •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40.0% of all fatalities in Korea 2005. Vehicle-Pedestrian accident generates trajectory of pedestrian. In pedestrian involved accident, the most important data to inspect accident is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But existing studies have been done for simple factor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can be classified into vehicular factors, pedestrian factors, and road factors. The trajectory of pedestrian, dynamic characteristics of multi-body were analyzed by PC-CRASH, a kinetic analysis program for a traffic accident. PC-CRASH enables an analy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y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analyzed by Working Model.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were vehicular frontal shape, vehicular impact speed, the offset of impact point, the height of pedestrian, friction coefficients of pedestrian. However the weight of pedestrian did not affect trajectory of pedestrian considerably.

  • PDF

인간의 비언어적 행동 특징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의 상호작용 의도 분석 (Interaction Intent Analysis of Multiple Persons using Nonverbal Behavior Features)

  • 윤상석;김문상;최문택;송재복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738-744
    • /
    • 2013
  • According to the cognitive science research, the interaction intent of humans can be estima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presenting behavior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ology for reliable intention analysis of humans by applying this approach. To identify the intention, 8 behavioral features are extracted from the 4 characteristics in human-human interaction and we outline a set of core components for nonverbal behavior of humans. These nonverb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recognition modules including multimodal sensors which have each modality with localizing sound source of the speaker in the audition part, recognizing frontal face and facial expression in the vision part, and estimating human trajectories, body pose and leaning, and hand gesture in the spatial part. As a post-processing step, temporal confidential reasoning is utiliz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nd integrated human model is utilized to quantitatively classify the intention from multi-dimensional cues by applying the weight factor. Thus, interactive robots can make informed engagement decision to effectively interact with multiple pers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works successfully between human users and a robot in human-robot interaction.

충격 지점과 보행자 전도 거리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act Point of Vehicle and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 강대민;안승모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71-76
    • /
    • 2007
  •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40.0% of all fatalities in Korea 2005. Vehicle-Pedestrian accident generates trajectory of pedestrian. In pedestrian involved accident, the most important data to inspect accident is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can be classified into vehicular factors, pedestrian factors, and road factors. Vehicular factors are the frontal shape of vehicle, impact speed of vehicle, the offset of impact poin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the relation between impact speed and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But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neglected. The influence of the offset of impact point was analyzed by Working Model, and the trajectory of pedestrian, dynamic characteristics of multi-body were analyzed by PC-CRASH, a kinetic analysis program for a traffic accid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ncrease of offset reduced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However box type vehicle just like bus, the offset of impact point did not influenc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onsiderably.

  • PDF

차 대 보행자 충돌 시 사고해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Analysis Model in Car to Pedestrian Accident)

  • 강대민;안승모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6-81
    • /
    • 2009
  •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21.2% of all fatalities at 2007 year in Korea. To reconstruct exactly the accident,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in car to pedestrian accident. The frontal shape of SUV vehicle is dissimilar to passenger car and bus, so the trajectory and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by SUV vehicle is not the same of passenger car and bus. The influencing o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factors of vehicle and pedestrian, and road factor. It was analyzed by PC-CRASH for simulation, and SPSS s/w was used for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maximum impact energy of multi-body of pedestrian was occurred to that of torso body at the same time. And the throw distanc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impact velocity,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impact offset. Also it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velocity of pedestrian at accident, and the throw distance of wet road was longer than that of dry road.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of SUV(Nissan Pathfinder type)vehicle in car to pedestrian accident was as follows; $$disti_i=-0.87-0.11offseti_i+0.69speed_i-4.27height_i+0.004walk_i+0.63wet_i+{\epsilon}_i$$.

  • PDF

Lateral Brow Lift: A Multi-Point Suture Fixation Technique

  • Foustanos, Andreas;Drimouras, Georgios;Panagiotopoulos, Konstantinos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80-587
    • /
    • 2015
  • Background Descent of the lateral aspect of the brow is one of the earliest signs of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 open surgical technique for lateral brow lifts, with the goal of achieving reliable, predictable, and long-lasting results. Methods An incision was made behind and parallel to the temporal hairline, and then extended deeper through the temporoparietal fascia to the level of the deep temporal fascia. Dissection was continued anteriorly on the surface of the deep temporal fascia and subperiosteally beyond the temporal crest, to the level of the superolateral orbital rim. Fixation of the lateral brow and tightening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was achieved with the placement of sutures that secured the tissue directly to the galea aponeurotica on the lateral aspect of the incision. An additional fixation was made between the temporoparietal fascia and the deep temporal fascia, as well as between the temporoparietal fascia and the galea aponeurotica. The excess skin in the temporal area was excised and the incision was closed. Results A total of 51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tisfactory lateral brow elevation was obtained in most of the patients (94.41%). The following complications were observed: total relapse (n=8), partial relapse (n=21), neurapraxia of the front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n=5), and limited alopecia in the temporal incision (n=9). Conclusions We consider this approach to be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with long-lasting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