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 Jet Fus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다중써멀버블 잉크젯방식의 3D 프린팅 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Multi Thermal Bubble Ink Jet 3D Printing System)

  • 신문관;배성우;김정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787-792
    • /
    • 2015
  • Recently, 3D printing technology is a hot issu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ccording to the user's application, it allows for the free form fabrication method to be utilized in a wide range. The powder based fusion technique is one of the 3D printing methods. When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various binder jetting techniques such as piezo, thermal bubble jet, dispenser and so on. In this paper, a multi thermal bubble ink jet was integrated for jetting of powder binding material and developing a power fused 3D printing system. For high quality 3D printing parts, it needs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behavior of the thermal bubble ink jet head. In the experiment, a correlation between jetting binder quantity and layer thickness of powder was investigated, and a 3D part model was fabricated, which was used by measuring the scale factor.

적층 기법으로 제작한 polyamide 12 소재 적용 구조물 표면 특성 분석 연구 (Study on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 made of Polyamide 12 manufactured by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 김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81-487
    • /
    • 2019
  • 적층 기법 (Additive manufacturing)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2차원 단면을 반복적으로 적층함으로써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최신 제조 공정기술이다. 적층 기법은 높은 디자인 자유도의 장점에 반해, 적층 기법의 특성상 최종 제품의 표면 특성(거칠기)은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대부분 제품제작 후 후가공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polyamide 12 소재를 대상으로 플라스틱 제품의 대표적인 적층 공정 방식인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및 MJF (Multi Jet Fusion) 공정 기술로 시편 제작 후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편은 분석 표면이 제작 플랫폼의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기를 기준으로 0도, 45도, 90도로 제작 조건을 구분하였으며, 또한 1 mm에서 10 mm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홀(hole)이 있는 구조물을 제작하여 최종시편의 홀 특성(홀 직경 대비 홀 깊이 비율) 결과를 비교하였다. 표면 특성 분석 결과 SLS 및 MJF 두 방식 모두 45도 기울기를 갖는 시편에서 표면 거칠기 값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홀 성형은 5mm 및 10mm 직경 홀의 경우 제작방향에 상관없이 관통된 홀 형상을 유지되나, 그 이하 직경의 홀에 대해서는 두 공정 기술 모두 관통된 홀 성형이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대체천연가스 화염 이미지 역변환에서 전처리 효과 (Effect of a Preprocessing Method on Inverting Chemiluminescence Images of Flames Burning Substitute Natural Gas)

  • 안광호;송원준;차동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12호
    • /
    • pp.609-619
    • /
    • 2015
  • A preprocessing scheme utilizing multi-division of the ROI (region of interest) in a chemiluminescence image during inversion is proposed. The resulting inverted image shows the flame's structure, which can be useful for studying combustion instability. The flame structure is often quantitatively visualized with PLIF (planar laser-induced fluorescence) images as well. The chemiluminescence image, which is a line-integral of the flame, needs to be preprocessed before inversion, mainly due to the inherent noise and the assumption of axisymmetry during the inversion. The feasibility of the multi-division preprocessing technique has been tested with experimentally-obtained OH PLIF and $OH^*$ chemiluminescence images of jet and swirl-stabilized flames burning substitute natural gas (SNG). It turns out that the technique outperforms two conventional methods, specifically, the technique without preprocessing and the one with uni-division, reconstructing the SNG flame structures much better than its two counterparts when compared using corresponding OH PLIF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um degree of polynomials to be applied for curve-fitting of the flame region data for the multi-division method involving two flames has also been investigated.

Evaluation of trueness and precis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metal frameworks manufactur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different materials

  • Leonardo Ciocca;Mattia Maltauro;Elena Pierantozzi;Lorenzo Breschi;Angela Montanari;Laura Anderlucci;Roberto Meneghell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2호
    • /
    • pp.55-62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frameworks produced using different digital protocols. MATERIALS AND METHODS. 80 frameworks for RPDs were produced using CAD-CAM technology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of twenty (n = 20): Group 1, Titanium frameworks manufactured by digital metal laser sintering (DMLS); Group 2, Co-Cr frameworks manufactured by DMLS; Group 3, Polyamide PA12 castable resin manufactured by multi-jet fusion (MJF); and Group 4, Metal (Co-Cr) casting by using lost-wax technique. After the digital acquisition, eight specific areas were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the Δ-error value at the intaglio surface of RPD. The minimum value required for point sampling density (0.4 mm) was derived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obtained Δ-error mean value was used for comparisons: 1. between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2. between different manufacturing techniques in the same area of interest (AOI); and 3. between different AOI of the same group. RESULTS. The Δ-error mean value of each group ranged between -0.002 (Ti) and 0.041 (Co-Cr) mm. The Pearson's Chi-squared 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sidering all groups paired two by two, except for group 3 and 4.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docum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AOI among group 1, 3, and 4.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most all different AOIs of each group. CONCLUSION. All Δ-mean error values of all digital protocols for manufacturing RPD frameworks optimally fit within the clinical tolerance limit of trueness and precision.

MJF 3D 프린팅 기반 폴리아미드-12 소재의 건축적 활용을 위한 기계적 특성 실험에 관한 연구 - 출력 방향에 따른 인장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Experiment for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Polyamide-12 MJF 3D Printing Material - Focusing on the Change in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3D Printing Orientation -)

  • 박상재;유승규;김문환;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95-102
    • /
    • 2020
  • 3D 프린팅 기술은 4차 산업 혁명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밀한 부품을 제작하는 기계, 항공 등의 산업에서 그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 산업 역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다양한 3D 프린팅용 소재가 개발 및 활용되고 잇지만, 3D 프린팅 제조는 사출 및 성형과 같은 기존 제조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3D 프린팅용 플라스틱 소재 중 널리 활용되고 있는 PA12 소재의 제품 제작 시 출력 방향이 제품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소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건축 부자재 및 구조재로서의 활용 등의 실무적인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실험은 출력 방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0°, 30°, 45°, 60°, 90° 방향의 제품을 출력하였으며 인장 강도 실험을 통하여 인장 강도, 항복 강도, 연신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0° 방향으로 출력한 제품이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강도와 연신율을 보였으며 45° 방향으로 출력한 제품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0°부터 45° 사이에서는 인장강도와 항복 강도가 상승하였으며, 45°부터 90° 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