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leaves and branche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상엽, 상지 및 잠분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mulberry leaves, branches and silkworm feces)

  • 안미영;류강선;김익수;김선여;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6-28
    • /
    • 2001
  • The cytotoxic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varietal samples of mulberry leaves and branches and silkworm feces was measured using CT-26 cells originated from murine metastatic colon cancer, using dye uptake assay in order to find potential anticancer agents. Two ethanol extracts (varietal mulberry leaves and mulberry branches) were prepared from 16 varietal mulberries and used as partial extract materials for the activity assay. Among these, the ethanol extracts from Shinkwangppong leaves showed a little anticancer activity, and those from Sugaeppong, Cheongunppong and Gumsulppong branches showed some anticancer activity as well as cytotoxicity. In contrast, ethanol extracts from freeze-dried, the 3rd day of 5th instar feces showed more potent anticancer activity than that of other mulberry leaves, mulberry branches and other 5th silkworm instar larva feces on the basis of high UV absorbance at 665 nm.

  • PDF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있어서의 간벌수확이 뽕나무의 발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hin Out of Mulberry Branches in Summer or Early Autumn on the Growth of Branches and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1976
  •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각주마다 뽕나무지조중 잔가지와 정상가지 2개씩을 솎아베기하였을 경우에 가지의 발육과 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하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42일간)에 수확을 한 경우에 있어서 (1) 추잠기까지에 그 평균조장이 19% 가 증가하여 솎아베기를 하지않은 경우의 증가율 8% 보다 11% 나 그 증가비율이 높았다. (2) 솎아베기를 하면 이것을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지만 9% 정도 증수가 된다. 2) 여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초추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15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와 만추잠기(이 기간 29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1) 그 평균조장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나 하지않은 경우나 다 같이 추잠기까지는 6∼7%, 만추잠기까지는 8% 정도 증가하여 솎아베기의 효과를 인정할 수가 없었다. (2) 초추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6%가 증수가 되어 유의성은 없지만 증수의 경향이 있고 초추잠인와 만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보다 12%가 단수가 되어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솎아베기가 평균조장의 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수량증가에는 효과를 나타낸 것은 솎아베기를 하므로 말미암아 뽕나무주내의 생활조건을 개선하여 광합성작용을 왕성하게 하므로써 엽중을 증가시킨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 PDF

채취지역별 '청일뽕'의 뽕잎 및 뽕가지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 김현복;고성혁;석영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1-45
    • /
    • 2006
  •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항산화식품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뽕잎을 항산화식품 소재로 이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뽕잎을 선발하여 이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동일품종, 동일 재배조건의 청일뽕에 대한 채취지역별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일뽕에 대한 춘기 뽕잎의 채취지역별 항산화능을 비교한 결과, 춘천 > 수원 > 완주 순으로 지역간 항산화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지역 모두 5개 엽기 기준 4주 후(5월 하순${\sim}$6월 초순)의 항산화능이 각각 3627.5 nmol, 2620.0 nmol, 1360.7 nmol로 높았다. 또한 이 시기뽕잎의 수량도 어린잎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하므로 춘기 뽕잎을 이용할 경우 항산화능과 수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5월 하순에 뽕잎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 하벌 후 새로 나온 가지에서 자란 추기 뽕잎의 경우 춘기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뽕잎의 항산화능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추기의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뽕잎이 경화되기 전인 8월 하순${\sim}$9월 초순 전에 채취하도록 한다. 3. 뽕잎의 항산화능은 품종, 시기, 지역 및 생육조건이 동일한 경우일지라도 수확 후 보존 방법, 이상 기후에 의해 엽질이 저하된 경우 급격하게 떨어지므로 뽕나무 재배시 뽕잎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재배 관리하여야하며, 뽕잎 수확 후 저장,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해야 한다. 4. 뽕가지의 항산화능은 춘기, 추기 모두 뽕잎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나, 항산화식품 소재로서 뽕가지를 이용할 경우 5월 하순${\sim}$6월 초순의 신소지를 이용하거나 껍질을 분리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추잠기의 적엽정도가 지조의 발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ethods of Picking Leaves in Autumn on the Growth of Branchs and the Yield of Mulberry)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7-100
    • /
    • 1975
  • 추잠기의 적엽정도가 지조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추기에 있어서의 적엽의 영향은 조장이나 조률과 같은 형태적인 면보다는 조량과 같은 질적인 면에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2. 조량은 중간부적엽구를 제외하고는 추잠기의 적엽량과 반비례하여 무적엽구, 불반부적엽구, 중간부적엽구가 크고 상반부적엽구와 전적엽구는 작았는데 중간부적엽구는 추기의 적엽량이 많았는데도 조량이 컸다. (3) 춘잠기의 수량은 조량과 정비례의 관계에 있어 조량이 큰 무적엽구, 중간부적엽구, 하반부적엽구의 순위대로 많았고, 상반부적엽구, 전적엽구의 순으로 적었다. (4) 연간합계수량은 중간부적엽구가 가장 많아서 무적엽구에 비한다면 36%, 가행법인 전적엽구(상단 5잎 남기고)보다는 13%정도 많았다.

  • PDF

추기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rvest Methods for the Branch-rearing in Autumn)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1974
  • 추기에 있어서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초추잠기에는 누애의 사육양에 따라서 왜소지 또는 정상지조를 1∼2본간벌수확을 하거나 지조하부에서 일부적엽수확을 하는 것이 좋다. (1) 4영기에 있어서는 왜소지간벌, 정상지조의 일부간벌 또는 중간벌채, 지조하부에서의 적엽 등 어떤 방법이나 수양에는 별 영향이 없기 때문에, 엽임, 노력관계들을 참작하여 이들 방법으로 수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3) 5영기에는 수량도 적지 않고 노력이 적게드는 수확방법, 즉 뽕밭의 한쪽부터 차례로 각주의 지조전부를 중간벌채수확 해가는 방법으로 수확을 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다. (4) 추잠기 또는 만추잠기에 가지뽕으로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의 잔조에서 적엽을 할 때에는 여름베기를 한 뽕나무나 봄베기를 한 뽕나무나 가리지 않고 노력이 덜 들고 간편한 훑어 따기로 하여도 무방하다.

  • PDF

厚葉性 뽕품종 厚葉綠의 同質4倍體 ″4原뽕 28號″의 創成 (Breeding of an Autotetraploid, Sawonppong 28, Derived from a Thick Leaf Mulberry Variety, Huyeoprok (Morus sup.))

  • 박광준;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6-58
    • /
    • 2002
  • 뽕잎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수량성이 높은 후엽녹의 생장점에 Colchicine용액 적하처리를 하여 창성한 4배성인 4원뽕 28호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체세포의 염색체수는 2n=56인 4배체이다. 2. 봄철 발아개엽기는 중생뽕이고 잎모양은 삼각형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폭광형이고 잎두께는 매우 두께우며 잎면적당 염록소 함량이 많다. 3.가지길이는 비교적 짧고 가지수도 다소 적으며 가지굵기는 굵은 편이고 기부불발아장비율이 높고 내동성은 약하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mulberries for efficient seedling cultivation

  • Chan Young Jeong;Heon Woong Kim;Seong Ryul Kim;Hyun-Bok Kim;Kee-Young Kim;Seong-Wan Kim;Jong Woo Park;Ik Seob Cha;Sang Kug Kang;Ji Hae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147-154
    • /
    • 2023
  • Mulberry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across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roots, branches, leaves, and fruits. However, despite numerous studies on mulberry, research on this plant at the seedling st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uitability for seedling cultiva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four Korean mulberry cultivars, namely, Daesim, Suhong, Simgang, and Cheongsu. In terms of seed weight,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Daesim was the most suitable cultivar for seedling produc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t the 2-week seedling stage. Similarly, antioxidant assays using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ulfonic acid (ABTS)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 reveal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increased with cultivation at 2- 4- and 6-week. However, mulberry seedlings had a slower reaction rate against DPPH radical removal than mulberry leaves.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different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This phenomenon may be due to the different polyphenol compositions between mulberry leaves and seed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berry seedlings exhibit different bioactivities from mulberry leaves, and component analysis is required in further research.

카드뮴의 處理가 桑樹의 生長 및 生體內 代謝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s of Cadmium on the Growth of Mulberry Tree and Metabolic Activities in the Leaves)

  • 배계선;김영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1983
  • 카드뮴(Cd)의 葉面撒布가 뽕나무의 생장 및 生體內代謝에 미치는 影響을 分析 檢討하여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뽕잎의 被害症狀은 褐色斑點으로 나타났으며, 被害는 Cd 撒布 濃度가 높을수록 加增되었다. 2. 뽕나무의 條長과 條莖은 Cd의 濃度가 높을수록 生長이 抑劑되었는데, 특히 條長은 5%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며 對照에 비해 5ppm 및 7ppm구는 각각 약 31% 生長이 抑制되었다. 3. 枝條 껍질의 Cd 含量은 잎의 그것보다 월등히 낮았다. 4. 뽕잎의 葉綠素, ATP含量과 量, GOT 및 GPT의 活性은 Cd 3ppm부터 著하게 떨어지기시 작했다. 5. 뽕나무의 生長과 物質代謝에 抑制影響을 초래하는 最低 處理濃度는 Cd 3ppm이었다.

  • PDF

뽕나무 유전자원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 김현복;석영식;서상덕;성규병;김성국;조유영;권해용;이광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71-77
    • /
    • 2015
  •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ctivity of the natural antioxidants present in fruits and vegetables, because potentially these components may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mulberry leaves containing many natural components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was investigated with minilum L-100 device and ARAW-KIT (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 in comparison to the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16 varieties was 3303.4 nmol at opening stage of five leaves in spring. The highest stage of antioxidant capacity (3708.0 nmol) and yield rate was just before the coloration stage with anthocyanin in fruits, whereas the lowest stage was middle of June (2231.6 nmol) and about two months growing stage after summer pruning (2064.6 nmol). But after summer prun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increased gradually until just before fallen leaves stage. Even if samples were same variety, antioxidant effect of thos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collected regions. Also,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were higher than that of branch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Morus alba L., M. bombycis Koidz, and M. Lhou (Ser.) Koidz) collected from In-je, Won-ju and Yang-yang regions, Kang-won province,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was 2711.2 nmol. In the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Jeollabuk-Do genetic resources, autumn's mulberry lea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spring's i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on antioxidative capacity, five kinds of tea(coffee mix, green tea added brown rice, mulberry leaf tea, Polygonatum odoratum tea and black tea added lem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s anti-oxidative capacity were 2,531.01 nmol, 1,867.42 nmol, 1,053.72 nmol, 292.71 nmol and 188.91 nmol,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drinking water soaked with mulberry leaf showed 891.96 nmol.

상수지조의 벌채정도와 신초의 발육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mulberry shoots and various sizes of cut down mulberry branch in Spring)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27-31
    • /
    • 1965
  • 춘기발아전에 지조를 각각 선단벌채, 조장의 1/3, $\frac{1}{2}$, 2/3 벌채하여 발아 생장하는 신아의 발육상황을 조사하였다. (1)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비율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여 무처리구의 반이하로 되는 것인데 1/3 벌채구가 가장 그 비율이 적어진다. 그리고 또 지조를 벌채하면 불발아는 지조의 하반부에 집중한다. (2) 지조를 벌채하여도 발아를 촉진시키는 일은 없고 도리어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지마는 발아후의 개엽속도는 매우 빨라져서 탈순에서부터 제 5개엽기까지의 소요일수는 무처리구의 16일에 비하여 벌채 각구는 7~9일이며 그 중 가장 빠른 것은 2/3벌채구의 7일이다. (3) 지조를 벌채하면 신아의 발육을 촉진시켜서 5월 5일부터 6월 10일까지 45일간의 생장량이 무처리구의 34cm에 비하여 벌채각구는 그 1.6~2.5배나 생장하여 가장 생장량이 큰 것이 2/3벌채구의 83cm이다. 그리고 벌채각구는 생장속도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빠르다. (4) 엽수의 증가비율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약간 많기는 하지만 그 차는 그리 크지 않다. (5) 신아의 총생장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벌채각구가 현저하게 많으며 2/3벌채구는 생장계적아수가 벌채각구중에서 가장 적지만은 1아의 평균아장이 가장 길다. (6) 신소삽목의 삽수를 되도록 빨리 채취하기 위해서는 조장의 2/3정도를 벌채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