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berry Leaves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3초

식물생장물질의 토양관주와 엽면살포가 뽕나무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ur Into Soil and Spray on Leaves of Plant Growth Substances on the Root Out of Mulberry)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
    • /
    • 1978
  • The root-out of mulberry saplings has been studied by pour into soil and spray on leaves of the plant growth substan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Rutin", a kind of plant growth hormones has been also studied on promoting the rootability of mulberry scions by dipping the scion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on acceleration of the rootability resulting in increase of rooting ratio by pour into soil at the concentration of 1 ppm and 10 ppm NAA, 10 ppm and 100 ppm Rutin, and 5000 fold solution of Atonic, respectively (2) Growth of branch is only promoted by leaf spray of 0.5% urea, 0.005% and 0.01% Rutin, and 5000 fold solution of Atonic without increasing the root weight. (3) It seems that 0.05% of Rutin is of practical use, and 0.05% to 0.4% of "Rutin" accelerates the root-out of mulberry scions as well as NAA does.

  • PDF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형태학적 특성 및 오디의 효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 김현복;박광준;석영식;김선림;성규병;남학우;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8
    • /
    • 2002
  • 우리나라의 논둑, 밭둑 및 야산에서 자라고 있는 뽕나무 자원의 육종소재화 및 생리활성물질 이용 효율을 높이고자 횡성군 일대의 뽕나무와 오디를 지역별.그루별로 채취하여 뽕나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 강원도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종(12점) 뽕나무의 엽선, 엽형, 엽각, 거치의 형태적 관찰 결과, 산상형(Morus bombycis) 백상형(Morus alba) 계통이 혼재함을 알 수 있었으나. 공시개체 중 노상형 계통은 존재하지 않았다. 2. 야생종 뽕나무의 오디 당도는 5.1~22.7 Brix %로서 지역별.그루별 차가 심하였다. 수집된 개체 중 6개체는 16Brix % 이상이었다. 3.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 3kg으로부터 얻은 85% MeOH 추출물의 수율은 60.2%(1,805g)이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 얻은 Hexane, BuOH 및 Water 분획물의 수율은 각각 2.8%(50 g), 4.6%(82 g) 및 92.3%(1,666g)이었다. 4.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 투언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정상군보다 12% 높았으나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의 체중은 각각 6%, 3%만이 증가하였다.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비 및 중성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은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감소시켰는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정상군의 71%, 70% 수준으로, 중성지질 함량은 각각 정상 군의 92%, 90%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또한 물 분획물 투여군은 GPT, GOT 및 LDH 활성에 있어서 각각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VA 내생균근균, Glomus mosseae,가 뽕나무의 생장과 영양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f VA mycorrhizal Fungus, Glomus mosseae, on the Growth and Nutrition of Mulberry tree)

  • 김중채;문재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4
    • /
    • 1986
  • VA 내생균근이 뽕나무의 생장과 뽕잎증의 양육물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뽕나무에 알맞는 균근을 선발하기 위하여 전국 6개 잠업주산지 뽕밭과 2개소의 산뽕나무 자생지에서 VA 내생균근을 모집, Bio-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A 내생균근을 접종한 뽕나무는 접종하지 않은 뽕나무에 비하여 황토에서는 97%의 생장촉진 효과가 있었고 Vermiculite에서는 35%의 생장억제가 있었다. 2. VA 내생균근의 형성은 인산 60ppm 수준에서 가장 왕성하고 30ppm과 480ppm에서는 억제 됐으며 Vesicle은 인산 240ppm 이상 수준에서만 형성되었다. 3. VA 내생균근에 접종된 뽕나무는 인산 60ppm 수준 이상에서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근의 형성도 가장 왕성하였으므로 가장 알맞는 인산수준은 60ppm으로 생각된다. 4. VA 내생균근은 토양 중의 Fe-bound phosphate를 가장 잘 흡수하고 Ca-ound phosphate도 일부 흡수하였으나 Al-bound phosphate와 Al-Fe occuded phosphate는 흡수하지 못하였다. 5. VA 내생균근은 뽕잎의 인산은 약 10%, 실소는 15% 증가시켰으며 탄수화물은 22%, 단백질은 15% 증가시켰다. 6. 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접종하지 않은 것은 16개의 band가 나타났으나 접종한 것은 19개의 band가 나타났다. 7. VA 내생균근은 뽕잎의 Peroxidase와 Anylase zymogram pattern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Amylase zymogram은 균근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큰 차이가 있었다. peroxidase zymogram은 균근을 접종한 것은 접종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주요 band가 한 개 더 적었고 amylase zymogram은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것은 band가 한 개이고 (-)극에 가까운 곳에 나타났으며 접종한 것은 band가 2개이었으며 (+)에 가까운 곳에 나타났다. 8. 우리나라 잠업 주산단지와 산뽕나무 Gigaspora속 3종과 Glomus속 1종을 선발하였으며 Bioassary를 한 결과 Gigaspora tricalipta와 Gigaspora Calospora가 뽕나무 생육에 가장 큰 생장촉진효과가 있었다.

  • PDF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berry Leaves and Dandelion Extracts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s)

  • 박창일;손중천;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3-180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을 각각 1%와 2%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가열 감량, 육즙 손실 및 혈액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뽕잎 추출물 1% 급여구는 T1, 뽕잎 추출물 2% 급여구는 T2, 민들레 추출물 1% 급여구는 T3 그리고 민들레 추출물 2% 급여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4주간 냉장 온도($4{\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육계의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T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열 감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 처리구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육즙 손실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의 급여는 육즙 손실이 감소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혈액 조성 중 GOT, GPT, 총콜레스테롤은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 급여구에서 낮아지고, 특히 민들레 추출물 2% 급여구에서(T4)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HDL-cholesterol은 대조구보다 T1, T2, T3 및 T4에서 증가하고, 특히 T3와 T4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LDL-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중성지방은 대조구와 T1 및 T3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T2와 T4에서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P<0.05). 결론적으로 민들레 추출물 2% 급여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cholesterol을 증가 시킴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엽육잠과 인공사료육잠의 소화액단백질의 비교연구 - 소화액 RFP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ies of Digestive Fluid Protein of Silkworm Bombyx mori, Larvae reared on Mulberry Leaves and Artificial Diets)

  • 박희정;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3
    • /
    • 1986
  • 인공사료개발연구의 일환으로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 소화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상엽육잠과 인공사료육단을 공시하고 비교·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적색형광단백질은 50% 포화 acetone 용액에 침전하였고 n-butanol,용액중에 용해되지 않았으며, methanol 용액에는 용해되었다. 2.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 소화액 acetone분획 전기영동은 이종도가 큰 단백질 band 부분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으며 상엽구에서만 첫 번째 band에서 적색형광이 관찰되었다. 3. 경과일수에 따른 상육잠소화액 전기영동상은 5령 1-3일에는 변화가 없으나 5령 4, 5일에 이종도가 큰 band에서 변화가 있었다. 4. 등전점전기영동결과 RFP는 PI 8-9의 염기성단백질이었다. 5. 상육잠소화액 acetone 분획의 SDS 전기영동상에 RFP로 추정되는 band가 나타났고 그 분자량은 27,000이었다. 6. 상육잠과 인공사료육잠소화액의 Sephadex G-75 permeation chromatography 결과 상육구 chromatogram에서는 16번부터 28번 사이에 3개의 흡수대가 있었으며 인공사료구 chromatogram에서는 18번부터 31번 사이에 2개의 흡수대가 있었다.

  • PDF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Fluctuation of Mineral Contents in Mulberry Trees(Moru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9-92
    • /
    • 1993
  •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알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개량뽕, 신일뽕 및 용천뽕의 가지 피층부 및 뽕잎에 함유된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가지 피층부의 P함량은 각 품종 모두 10월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용천뽕은 1월에 1.33%에서 10월에는 1.15%로 0.18% 감소하였다. 뽕잎중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생육기 동안 각 품종 모두 감소했다. 2. K은 가지 피층부에서 4월부터 8월까지 0.7~1.1% 정도 증가를 했으나, 월동기간 중에는 0.7~0.9%정도 감소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Mg은 P와는 달리 가지 피층부에서는 8월까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Ca과 같이 10월 이후에는 다시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Ca은 1월부터 9월까지 가지 피층부에서는 0.4~0.6% 감소하는 경향이었나, 10월 이후는 오히려 0.1~0.4% 정도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Cocoon Yield Pattern and Analysis of Water, Soil and Leaves from Mulberry Gardens Irrigated with Polluted Water Around Bangalore, India

  • Chandrakala, M.V.;Maribashetty, V.G.;Aftab Ahamed, C.A.;Jyothi, H.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2호
    • /
    • pp.97-103
    • /
    • 2009
  • Sericulturists in the vicinity of Bangalore city irrigate their mulberry gardens with Vrishabhavathy stream water, which is polluted with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from the c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lutants on silkworm crops, a detailed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the cocoon yield pattern of the crops raised on mulberry irrigated with wastewater as against irrigation by bore/open wells. The villages along the stream were grouped into five test batches at about a distance of $5{\sim}8$ km from each other. The seasonal yield data with relevant information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17 rearers using stream water and 35 rearers using bore/open wells, the latter serving as control group. The average yield for 100 layings was 46 to 57 kg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in test groups, it ranged between 34 to 51 kg in the first test group and 22 to 38 kg in the rest. The difference in yield was $9{\sim}19$ kg depending on the season between control and test batches. In summer, this difference was higher, with high co-efficient of variation in test groups ($33{\sim}52$%). Further, water, soil and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lected rearers and were analyzed for zinc, copper, iron, lead and nickel.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these metals in samples from gardens using wastewater when compared control samples. Significantly (p<0.05 & p<0.01)) higher levels of zinc ($24{\sim}122$ ppm) and iron ($208{\sim}683$ ppm) were noticed in mulberry leaves during summer followed by winter and rainy season. The significance of high content of heavy metals in mulberry leaves and cocoon yield pattern of this area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irrigation water is discussed.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and Yacon Tuber Extracts in High-fat Diet-fed Rats

  • Kim, Kwangjin;Lim, Yong;Oh, Ji Hye;Park, Un Kyu;Huh, Man Kyu;Hwang, Seock-Y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1-209
    • /
    • 2020
  • The effect of mulberry leaves and yacon tuber extracts (MYE) on antioxidant was tested in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 vivo effects of the anti-oxidative effect of MYE on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The seven-day acclimation of the mice was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group (NOR), high fat diet group (HFD), high fat diet with 0.5% hydroxycitric acid group diet group for positive group (HHCA), high fat diet with 1% mulberry leaf and 1% yacon diet group (MYE-1), high fat diet with 3% mulberry leaf and 3% yacon group (MYE-3) and high fat diet with 5% mulberry leaf and 5% yacon group (MYE-5). The effect of serum antioxidant in the catalase of MYE-1, MYE-3, and HHCA comparing to HFD by 31.0%, 27.7% and 45.2%, respectively (P<0.05~0.01). The effect on hepatic antioxidant in the catalase of HF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3.7 (77.3%) times than that of NOR (P<0.01). But, the activities of catalas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MYE-1, MYE-3, MYE-5 and HHCA by 21.7%, 24.2%, 24.9%, and 28.8% compared to HFD, respectively. GSH-P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YE-1, MYE-3, MYE-5 and HHCA by 15.5%, 37.1%, 23.4%, and 23.7% compared to HFD, respectively (P<0.05). The activities of CAT, SOD, GST, GSH-Px, and TBARS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YE-1 and MYE-3 than those of HFD and HHCA. MYE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anti-oxidative function against high fat diet.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 A New Media for Growth of Microorganisms

  • Chowdary, N.B.;Naik, V.Nishitha;Sharma, D.D.;Govindai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217-220
    • /
    • 2002
  • Mulberry being a foliage crop is grown extensively for feeding of silkworms and are also used for cattle feeding. These loaves are highly nutritious, which contain various mineral elements and bio-molecule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tc. In the present study,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was used for preparation of the medium for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microbes. Results revealed that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medium is best for isolation of fungi, bacteria and actinomycetes and this medium can be substituted with synthetic media, which are haying the costly ingredients fo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ungi and actinomycetes. Further, this deproteinized mulberry juice medium can also be used in mass multiplication of useful/beneficial microbes to enhance soil microflora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to avoid root diseases. Perspective enterprises can take up the mass multiplication/large-scale production of useful microbes such as Trichoderma, Rhizobium, Pseudomonas and Bacillus to use in mulberry and in other agricultural crops using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뽕잎오디쌀이 흰쥐의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지질 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 한찬규;김성수;최상윤;박주헌;이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36-1341
    • /
    • 2009
  • 재성형 뽕잎오디혼합쌀 개발과 관련하여 당뇨유발쥐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뽕잎오디쌀이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당실험에서 뽕잎오디쌀조성물은 곡류와 잡곡류 등 85%, 뽕잎과 오디즙 15%로 구성하였고, AIN-diet와 50:50 비율로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결과 뽕잎오디쌀 급여군은 당뇨대조군보다 실험종료 시 체중은 28% 증가한 반면 공복혈당치는 12.4%,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34% 감소하였다(p<0.05). 지질실험의 경우 4주 동안 고지방식이(50%)와 뽕잎오디쌀조성물(50%)의 혼합식이와 고지방식이(50%)와 기본식이(50%)의 혼합식이를 급여한 결과 뽕잎오디쌀 급여군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체중과 체지방(EFP)이 각각 8%씩 낮았고,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약 19% 감소하였다(p<0.05). 이상에서 뽕잎오디쌀식이는 혈당저하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성은 없었으나 다소간 체중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