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gwort powder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인진쑥 첨가 비육돈의 식육 성분 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Mugwort Powder on Meat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Gilt)

  • 김일석;진상근;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의 건조 분말을 육성기 암퇘지 ($LY{\times}D$)에 평균체중이 75 kg일 때부터 출하시까지 50일간 처리하였을 때 식육의 이화학성분(일반성분, 식육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일반사료에 인진쑥 분말을 급여사료 기준으로 CON(0%), T1(0.5%), T2 (1.0%), T3(1.5%)처리하였다. 수분, 단백질, 회분 함량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구간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함량은 T2 및 T3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모든 시험구에서 처리구간별 아미노산 조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의 경우 포화지방산(SFA) 및 불포화지방산(UFA)의 합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T3의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필수지방산(EFA) 및 다가불포화지방산(PUFA) 함량은 시험구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0.05), T2의 arachidonic acid, EFA, PUFA의 함량은 시험구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적 특성의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육색,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비육말기 암퇘지에 인진쑥의 급여가 지방성분의 감소 및 지방산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아미노산의 함량 및 관능적특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쑥 분말의 급여가 계육의 저장기간 중 VBN, TBARS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VBN, TBAR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5-511
    • /
    • 2008
  • 본 시험은 육계병아리(Arbor Acare, male) 160수를 6주간 사양하면서 쑥 분말을 후기 3주 동안 급여한 후 도계한 계육을 분석하였다. 쑥을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로하고, 1% 급여구를 T1, 3% 급여구를 T2 그리고 5%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가슴살과 다리살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계육의 일반성분, VBN, TBARS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슴살의 일반성분 중에 수분, 조단백질, 조섬유는 유의성이 없으나, 조지방은 대조구와 T1보다 T2, T3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VBN은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 대조구보다 쑥 급여구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TBARS는 처리구간에 있어서 0주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 대조구와 T1보다 T2와 T3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3주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한 후 4주에는 감소하는 결과이었다. 쑥 분말을 급여함에 따라 가슴살은 T2에서 stearic acid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으나, stearic acid와 oleic 함량이 낮았고, linoleic acid는 높았으며, 다리살의 stearic acid는 대조구보다 T1, T2 및 T3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고, linoleic acid는 대조구보다 쑥 급여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쑥을 급여하면 stearic acid는 감소하고, linoleic acid는 증가하여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 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본 실험 결과 닭에게 5%의 쑥 분말을 급여하면 지방함량을 줄여주며, 단백질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지방 산화를 억제시켜 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되고 불포화지방산은 증가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쑥, 양파 및 원지가 흰쥐의 장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gwort, Onion and Polygalae Radix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Rats)

  • 이선화;우순자;구영조;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8-604
    • /
    • 1995
  • 원지, 양파 및 쑥을 추출물, 즙 또는 분말로 하여 기준식이에 5 및 10% 첨가하여 흰쥐에게 14일간 먹여 대장내용물에서 주요균의 변화와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의 효소활성 및 인돌과 volatile basic nitrogen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쥐들의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쑥의 물추출물 5% 섭취구를 비롯하여 시료 첨가구들에서 대체로 높았으나, 원지물추출물 5%와 쑥의 에탄올추출물 10% 섭취구에서는 체중이 감소하였다. 쑥의 물 또는 에탄올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익균인 bifidobacteria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clostridia와 E. coli는 낮았다(p<0.05). 그외 양파즙 10% 첨가구에서도 유익균의 증가와 유해균의 감소와 같은 유리한 균총변화를 보였다. 한편 쑥분말 5% 첨가구에서 대장내용물중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해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으나, 인돌함랑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그러나 원지물추출물과 양파를 10% 첨가구에서는 ${\beta}-glucosidase$ 활성이, 쑥추출물들의 첨가구에서는 ${\beta}-glucuronidase$ 활성이 높았다(p<0.05). 인돌함량은 단백질 함량이 높은 원지물추출물과 쑥에탄올추출물 첨가구에서 높았다(p<0.05). 한편 휘발성 염기태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처리구들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쑥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on the Beef Quality in Fattening Hanwoo)

  • 김병기;정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4-249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한우 32두(거세우 16두, 암소 16두)를 대상으로(C-1구 거세우에게 일반사료 : C-2구 암소에게 일반사료 : T-1구 거세우에게 쑥 2% 첨가 : T-2구 암소에게 쑥 2% 첨가) 4개 처리구를 두고 14개월간(생후 14개월-27개월) 비육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심부위의 전단력과 보수성은 T-1구($3.20kg/0.5inch^2$, 54.32%)가, 가열감량은 C-2구(22.22%)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관능검사의 다즙성, 연도 및 향미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T-1구(5.50점-5.20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techin 성분에서 총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 성분은 처리구(0.43-0.46 mg/kg, 0.056-0.065 mg/kg)가 대조구(0.23-0.25 mg/kg, 0.031-0.032 mg/kg)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은 47.56-48.45% 정도, palmitic acid은 28.86-29.67%, stearic acid는 9.92-10.82%, palmitoleic acid 및 myristic acid는 4.68-5.49%와 2.48-3.89%의 범위로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볼 때, 거세한우에 대한 쑥첨가는 육질의 관능검사(다즙성, 연도, 향미) 및 이화학적 특성(전단력, 보수성)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쑥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의 비육능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Fattening Hanwoo)

  • 김병기;정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7-283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한우 32두(거세우 16두, 암소 16두)를 대상으로 (C-1구 거세우의 일반사료 : C-2구 암소의 일반사료 : T-1구 거세우에게 야생쑥 2%첨가 : T-2구 암소에게 쑥 2%첨가) 4개 처리구를 두고 14개월간(생후14개월-27개월) 비육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7개월 시험종료 체중에서 대조구인 C-1구, C-2구는 각각 648.6, 623.1kg이었고, 처리구인 T-1구, T-2구는 각각 663.3 kg 및 620.7 kg으로서 T-1구가 가장 높았고,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도 T-1구가 각각 342.4 kg과 0.88 kg으로 가장 높았다.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인 C-1구 및 C-2구와 처리구인 T-1구 및 T-2구가 각각 9.35, 9.09, 10.08 및 9.69 kg으로 T-1구가 가장 높았고, 사료요구율에서는 C-1구(11.28) > T-1구(11.48) > C-2구(11.52) > T-2(12.57)순으로 낮았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GOT, GPT, 글리코스 및 BUN은 대체로 시험개시전보다 시험개시후가 더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시험개시후의 총 콜레스테롤, GOT 및 glucose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도체중은 처리구(344.11-378.08 kg)가 대조구(342.71-369.70 kg)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등지방두께는 처리구(12.75-14.75 mm)가 대조구(15.76-16.00 mm) 보다 얇아진 반면에 배최장근 단면적은 처리구$(84.25-87.88cm^2)$가 대조구$(84.00-85.25cm^2)$보다 넓어졌다. 그 중에서 T-1구가 각각 14.75 mm와 $87.88cm^2$로 가장 좋았으며, 육량 및 육질등급은 처리구(각각, 2.02-2.50점, 2.85-3.05점)가 대조구(각각, 1.80점, 2.80-2.55점)보다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거세한우에게 쑥첨가는 일당증체량 증가, 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자 식이에 이용하기 위한 Guar설기 제조연구 (A Study on Manufacture of guarsulgies for using in diet therapy)

  • 장유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51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nufacture guarasulgies for using in diet therapy by adding various ingredients (mugwort, Angelica gigantis Radis, cinnamon, cocoa powder) to decrease the flavor of guar gum itself and enhance the texture of guarsulgie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uarsulgies added these ingredients wee investigated to decide the maximum acceptable addition levels. The maximum acceptable addition levels of these ingredients was 3.75% for mugwort, 3% for Angelica gigantis Radis, 2% for cinnomon or 0.75% for cocoa. In the texturemeter measure for guarsulgies added cocoa, springness,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other guarsulgies. We concluded that guarsulgies added mugowrt, Angelical gigantis Radis, cinnomon, and cocoa would be much better sanacks for diabetes and obese people than plain guarsulgies.

  • PDF

배합사료의 다양한 첨가제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성장, 혈액 성상, 지방산 조성, 유전자 발현 및 조직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s, Fatty Acid Composition, Gene Expressio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서주영;홍수희;김정호;변희국;김강웅;손맹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1-148
    • /
    • 2011
  • This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s, fatty acid composition, gene expressio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leven isonitrogenous (49% crude protein) and isolipidic (10% crude lipid)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no additives (Con); 5% kelp meal (Ke); 10% krill meal (Kr); 1% garlic powder (Ga); 1% citrus meal (Ci); 3% onion powder (On); 1% ginger powder (Gi); 1% mugwort powder (Mu); 1% licorice powder (Li); 1% wasabi powder (Wa); and a mixture (Mix) of these additives. Three replicate groups of juvenile flounder (average weight of 8.5 g)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to visual satiety twice a day for 15 weeks. The dietary inclusion of additives did not affect survival,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feed efficiency, daily feed intake, daily protein intake, protein efficiency ratio, hepatosomatic index and visceralsomatic index of the fish.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ish fed the Ke, Ga, On, Gi, Mu, Li, and Mix diets than in fish fed the control diet. Plasma glucose,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nd total cholesterol did not differ among dietary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content of the dorsal muscle in fish fed the experimental diets. Myosin gene express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after 5 weeks b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fish fed the Kr, Ci, Li, and Mix diets than in control group after 15 weeks. Histopathological analysis showed mild gill hyperplasia and mild necrosis of liver parenchymal cells in several individuals of each experimental group. These conditions were also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and were not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inclusion of feed additives.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etary inclusion of additives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gene expressio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juvenile flounder. However, plasma triglyceride content may be reduced by supplementation with 5% kelp meal, 3% onion powder, 1% garlic powder, 1% ginger powder, 1% mugwort powder, and the additive mixture.

고초균 발효에 의한 홍삼박 발효물에 쑥 분말 첨가에 따른 물리화학적 및 항산화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Ginseng Marc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HA with Mugwort Powder Addition)

  • 정혜원;김지은;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91-1398
    • /
    • 2010
  • 홍삼 추출액 제조 후 생산되는 부산물인 홍삼박의 식품 소재화를 위해서 열풍 건조시킨 후 초미세 분말화 하였으며, 쑥 분말 첨가에 따른 고초균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삼박 분말에 탈지대두분말 3%와 monosodium glutamate(MSG) 2%, 쑥을 농도별(0~3%)로 첨가하여 발효하여 분석하였다. 홍삼박 발효물의 tyrosine 함량은 쑥 3% 첨가 시 581.3 mg%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protease 활성은 쑥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277.5 unit/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점조도 측정 결과 쑥 3% 첨가 시 $8.8\;Pa{\cdot}s^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점질물 함량은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1.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고분자 점질물인 PGA함량을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5.9 g/kg 이었으며 분자량은 1,100 kDa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MSG 전환율을 약 80% 정도로 나타냈으며, 쑥 첨가에 따른 전환율에 효과는 볼 수 없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쑥 3% 첨가된 발효물에서 물과 70% 주정 추출물 각각 $IC_{50}$값이 0.62 mg/mL, 0.57 mg/mL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쑥 3% 첨가 시 물 과 7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IC_{50}$값은 1.24 mg/mL, 1.34 mg/mL로 나타났다.

첨가재료별 증편의 가공 적성 검토 (Studies on Processing Aptitude of Various Additives on the Preparation of Jeung-pyun)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2
    • /
    • 1996
  •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가공적성을 검토하고자 증편제조시 6가지 첨가재료를 첨가하여 증편반죽의 발효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 증편의 외관, 저장성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의 진전과 더불어 증편반죽은 경시적인 pH의 감소, 점도의 증가, 부피의 증가를 보였다. 발효 5시간 경과 후 첨가재료를 첨가한 증편반죽의 pH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가 높은 콩가루 첨가구의 반죽의 부피도 가장 많이 팽창하였으며 쑥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의 경우에도 반죽의 부피증가와 부피증가 간의 변화양상은 유사한 경 향을 나타내었다. 2. 발효과정을 거친 증편반죽을 성형하여 증자한 후 단면의 사진을 관찰한 결과 전지분유, 쑥가루, 난황, 난백 첨가구가 대조구와 유사하게 잘 부풀었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난백 첨가구는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였다. 3.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DSC thermogram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지분유, 콩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엔탈피(ΔH)의 값이 낮게 나타나 노화를 상당히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장기간중 Textrometer로 측정한 hardness의 변화와 DSC thermogram을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 hardness를 감소시키고 엔탈피(ΔH)를 감소시키는 것은 콩가루 및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백, 쑥가루를 첨가하였다. 4. 증편의 관능검사 결과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황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단한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난황 및 쑥가루 첨가구는 증편의 기공이 균일하지 못하였고 기공이 크고 성긴 것으로 평가되었고 콩가루 및 쑥가루 첨가구는 쓴맛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 PDF

Goat Meat Does Not Cause Increased Blood Pressure

  • Sunagawa, Katsunori;Kishi, Tetsuya;Nagai, Ayako;Matsumura, Yuka;Nagamine, Itsuki;Uechi, Shuntok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01-114
    • /
    • 2014
  • While there are persistent rumors that the consumption of goat meat dishes increases blood pressure,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thi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larify whether or not blood pressure increases in conjunction with the consumption of goat meat dishes. In experiment 1, 24 Dahl/Iwai rats (15 weeks old, body weight $309.3{\pm}11.1$ g) were evenly separated into 4 groups. The control group (CP) was fed a diet containing 20% chicken and 0.3% salt on a dry matter basis. The goat meat group (GM) was fed a diet containing 20% goat meat and 0.3% salt. The goat meat/salt group (GS) was fed a diet containing 20% goat meant and 3% to 4% salt. The Okinawan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salt group (GY) was fed a diet containing 20% goat meat, 3% to 4% salt and 5% of freeze-dried mugwort powder. The experiment 1 ran for a period of 14 weeks during which time the blood pressure of the animals was recorded. The GS, and GY group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water (p<0.01) than the CP and GM groups despite the fact that their diet consumption levels were similar. The body weight of animals in the CP, GM, and GS groups was similar while the animals in the GY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p<0.01). The blood pressure in the GM group was virtually the same as the CP group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In contrast, while the blood pressure of the animals in the GS and GY group from 15 to 19 weeks old was the same as the CP group, their blood pressu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after 20 weeks of age. The GY group tended to have lower blood pressure than the GS group. In experiment 2, in order to clarify whether or not the increase in blood pressure in the GS group and the GY group in experiment 1 was caused by an excessive intake of salt, the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a reduction of salt in diet were investigated. When amount of salt in the diet of the GS and GY group was reduced from 4% to 0.3%, the animal's blood pressure returned to normotensiv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 in the case of chicken consumption, prolonged consumption of goat meat does not cause increased blood pressure, rather the large amount of salt used in the preparation of goat meat dishes is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in blood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