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ddy loach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꾸리과(Cobitidae) 어종의 분자동정 모니터링 (Genetic Identification Monitoring of Cobitidae Distribution in Korea)

  • 김현석;신지영;양준호;차은지;양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42-750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monitor the distribution of Cobitidae in Korea by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using 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genetic analysis, Cobitidae species in four of five domestic fish farms consisted of only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but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was also present it in one fish farm. In the case of imported Cobitidae species, in addition to Chinese muddy loach and muddy loach, the harmful species Paramisgurnus dabryanus, was also present. Chinese muddy loach accounted for 20%, 67%, and 60% of the S6, S7, and S8 samples, respectively. An analysis of the total length, body length, and weight showed that domestic Chinese muddy loach showed higher values than imported muddy loach, and imported Chinese muddy loach showed similar values to P. dabryan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three species. Thus,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sequence was analyzed and compared the verification of species identification. The three species of Cobitidae were genet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determined to have genetic differen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heterogeneous mixing rate through discriminating species by genetic analysis.

미꾸리아과에 속하는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the Subfamily Cobitidae)

  • 박은숙;강동수;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5-271
    • /
    • 1994
  • 천연산 및 양식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을 thin-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I_2$에 의한 이성화 반응 및 용매에 따른 가시부 흡수 spectrum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꾸라지 표피의 총 carotenold함량은 천연산 $4.76mg\%$인데 비하여 양식산 $3.43mg\%$로서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 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0.5\%$, ${\beta}$-cryptoxanthin $24.6\%$, ${\beta}$-carotene $20.6\%$, cynthiaxanthin $11.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4.7\%$,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1.0\%$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35.4\%$, ${\beta}$-cryptoxanthin $17.9\%$, cynthiaxanthin $16.0\%$, ${\beta}$-carotene $12.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8.2\%$, tunaxanthin $5.0\%$, a-cryptoxanthin $0.9\%$순으로 함유되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미꾸리 표피의 총 carotenoid함량은 천연산 $4.00mg\%$인데 비하여 양식산 $2.99mg\%$로서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2.9\%$, ${\beta}$-cryptoxanthin $18.8\%$, cynthiaxanthin $17.0\%$, ${\beta}$-carotene $15.1\%$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6.5\%$, tunaxanthin $6.0\%$, a-cryptoxanthin $1.5\%$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51.8\%$, cynthiaxanthin $19.9\%$, ${\beta}$-cryptoxanthin $10.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arotene $5.0\%$, zeaxanthin $4.8\%$,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0.2\%$의 순으로 함유되어,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상이 하였으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함유비는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조성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 PDF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치어 성장을 위한 사료의 적정 단백질 및 지질 함량 (Optimal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Growth of Juvenile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 김광석;임상구;방인철;최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1-376
    • /
    • 2013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the growth of juvenile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Eight experimental diets (designated as P20L7, P20L14, P30L7, P30L14, P40L7, P40L14, P50L7 and P50L14) were formulated to contain 20%, 30%, 40% and 50% protein with 7% and 14% lipid. Three replicate groups of muddy loach (1.5 g/fish)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ad libitum for 8 weeks. Survival of fish fed the P20L14 diet was lower than in other groups (P<0.05).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FE) of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protein (P<0.05) and lipid (P<0.005) levels. SGR and FE of fish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at the same protein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GR and FE among fish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levels ranging from 30% to 50% with the same lipid level. Whole body moisture and lipid contents were affected by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Crude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14% lipid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7% lipid diets at each protei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diet containing 30% protein with 7% lipid would be suitable for the optimum growth and effective feed utilization of juvenile muddy loach.

배합사료 내 식물성 원료 대체원으로 막걸리 부산물이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치어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Distillers' Dried Grain as a Replacement for Plant-derived Sources in the Diet of Juvenile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 최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7-233
    • /
    • 2014
  • We designed a 16-week feeding experiment to test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istillers' dried grain (DDG) on th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Seven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0% DDG (Control); 10%, 20%, and 30 % DDG from rice (diets RM10, RM20 and RM30); and 10%, 20%, and 30% DDG from rice and wheat flour (diets RWM10, RWM20 and RWM30), respectively. Three replicate groups of juvenile muddy loach averaging $1.5{\pm}0.10$ g were fed one of the diets to satiation twice daily. Survival of juvenile muddy loach fed the RWM20 and RWM30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while weight gain tended to decrease when fish were fed diets containing DDG. Weight gain of fish fed the RWM10 diet was greater than that of fish fed other diets, but the RM30 diet resulted in less weight gain than did the control (P<0.05). The feed and protein efficiency ratios of fish fed the RM10, RM20, RM30, RWM10, RWM20 and RWM30 diets were all similar to the control (P>0.05). Neither daily feed intake nor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whole body was affected by dietary DDG (P>0.05). The compositions of isoleucine, leucine, lysine, threonine, and valine were all elevated in fish fed the RM30, RWM10, RWM20 and RWM30 diets relative to those of other groups (P<0.05). In contrast, methionine + cystine and phenylalanine + tyrosine were all lower in fish fed the RM30, RWM10, RWM20 and RWM30 diets, as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ups (P<0.05). Our results suggest that DDG is suitable as a partial replacement for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and could be used at a rate of up to 20% for rice, or 30% for rice and wheat flour, for optimum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muddy loach.

미꾸라지, Misgurnus nazolepis의 지느러미에 기생한 포자충,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에 관하여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 infection on the fin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 권세련;김형준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7-171
    • /
    • 2011
  • 2010년 9월에 서해안 지역에서 양식중인 미꾸라지 중체표와 꼬리지느러미에 직경 약 2mm 크기의 유백색 포낭이 여러 개가 형성되어 상품으로 보기 흉한 미꾸라지 1미를 발견하여 포낭을 조사한 바, 점액포자충,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의 기생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와 꼬리지느러미에 다량의 포낭이 형성됨으로써 지느러미의 가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병어는 점차 쇠약해져서 폐사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실내외 양식환경에 따른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 (Fish Farm Monitoring and Growth Performance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under Indoor or Outdoor Aquaculture Conditions, Korea)

  • 최복기;최종렬;이정호;박종성;김정은;황주애;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2-238
    • /
    • 2020
  • 본 연구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미꾸라지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국내 미꾸라지 양식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실내 양식장 1개소 (D-site), 실외양식장 2개소 (P1-site, P2-site)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성장도 측정결과를 토대로 WG (weight gain), DWG (daily weight gain), and SWG (specific weight gain) 분석한 결과 D-site에서는 175.27±36.2%, 7.98±3.3%, 0.94±0.2%, P1-site에서 320±34%, 4.07±0.6%, 0.55±0.1%, P2-site에서 295.9±53%, 4.15±0.5%, 0.62±0.1%로 나타났다. WG는 실외노지 양식장(P1-Site과 P2-site)에서 높았지만 DWG와 SWG는 실내양식장(D-site)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의 차이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성장도, 수질환경, 출하시기 및 횟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외 양식은 출하시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되었으나 실내 양식은 1년에 3회의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에 서식하는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의 공기노출에 의한 피부 점액세포의 변화 (Change of Skin Mucus Cells Related to Aerial Exposure of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Dwelling in a Rice Field)

  • 오민기;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0-74
    • /
    • 2011
  • 논에 서식하는 미꾸라지는 겨울철 수분증발에 의한 토굴을 형성하였고 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었다. 이때 미꾸라지 피부의 점액세포 변화를 유발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진흙과 물을 수조에 채운 후 약 1개월 동안 자연증발시켜 인위적인 토굴형성에 의한 미꾸라지 피부의 공기노출 실험을 여름철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기 중에 피부가 노출된 미꾸라지의 등, 체측, 후두부의 피부 점액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크고 길다란 원주세포형으로 변화하였고, 수량 역시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특정은 겨울철 자연상태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었다.

유기농업자재 고삼, 님 및 데리스 추출물의 어류에 대한 독성과 위해성 평가 (Evaluation of Fish Acute Toxicity and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Plant Extracts, Sophora, Neem and Derris)

  • 박경훈;오진아;백민경;손미연;임정택;진정화;홍순성;조남준;한상균;김병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5-263
    • /
    • 2015
  • 최근 유기농업자재의 주요 원재료인 고삼, 님, 데리스 등의 식물추출물은 중국, 미얀마, 인도 등 외국에서 수입하여 해충방제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들 세가지 식물추출물에 대한 독성과 위해성을 평가하 여 유기농업자재의 관리와 환경생물보호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잉어 48시간 반수치사농도와 무영향농도는 고삼추출물은 7.9, 6.2 mg/L, 님추출물은 26.8, 21.8 mg/L, 데리스추출물은 47.0, < 24.0 mg/L으로 독성이 낮았다. 미꾸리 48시간 반수치사농도와 무영향농도는 고삼추출물은 16.9, 10.0 mg/L, 님추출물은 35.6, 30.0 mg/L, 데리스추출물은 73.9, < 40mg/L로 독성이 낮은 수준이었다. 고삼추출물 자재의 논, 배수로 및 강에서의 물중 추정농도는 각각 68.0~3.0, 11.33~0.50 3.0~0.0018 mg/L이었고, 독성노출비는 논, 배수로 및 강물에서 각각 0.2~5.6, 1.5~33.8, 2.6~4388.9이었다. 논이나 배수로에서의 미꾸리에 대한 위해성과 강에서의 잉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님추출물의 논물, 배수로물 및 강물 중 추정농도는 각각 90.9~1.2, 15.2~0.2, 4.8~0.00075 mg/L이었고 독성노출비는 각각 0.4~29.7, 2.3~178.0, 4.5~35733.3이었다. 논에 사용하는 님추출물 중 독성노출비로 평가하였을 때 미꾸리에 위해가능성이 있는 자재가 있었으나 사용량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고, 배수로나 하천에서는 어류에 대한 위해성이 낮았다. 데리스추출물 5종의 경우 독성노출비가 5222~15667로서 위해성이 매우 낮았다.

21일간 methomyl에 노출한 미꾸리의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 (Effects on Biomarkers and Endocrine in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under 21 day Exposure to Methomyl)

  • 한선영;김자현;권가영;염동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77
    • /
    • 2012
  • 내분비계교란물질이 수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꾸리를 저농도의 methomyl에 21일 동안 노출시켜 생물지표 및 내분비계 영향을 평가하였다. 내분비계교란물질에 대한 노출을 입증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생물지표인 vitellogenin(VTG)은 21일 동안 0.4 mg/L와 2 mg/L methomyl에 노출된 수컷과 0.08 mg/L, 0.4 mg/L, 2 mg/L의 methomyl에 노출된 암컷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p<0.05), methomyl의 수생태계 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AChE) 시험 및 comet assay에서는 methomyl에 노출시킨 미꾸리로부터 AChE 활성 저해와 DNA 손상을 확인한 반면, 7-ethoxyresorufin-O-deethylase(EROD) 활성에 대한 대조군과 처리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개체수준의 생물지표인 condition factor(CF),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는 methomyl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methomyl의 수서생물에 대한 내분비계교란 가능성 및 생화학적 생물지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변화에 따른 한국산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피부의 조직학적 연구 (Seasonal Change of the Skin Morphology of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Cobitidae) from Korea)

  • 오민기;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6
    • /
    • 2008
  • 미꾸리 M. anguillicaudatus의 등, 후두부, 체측 부위에서 적출한 피부조직의 형태를 분석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른 각 부위 조직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피부조직은 점액세포를 포함한 상피세포들로 구성된 표피층과 결합조직의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표피와 진피층의 경계에 모세혈관이 분포하고 있었다. 표피의 middle layer에 분포하는 점액세포는 수온이 낮아짐에 따라 그 형태가 원형에서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변화하였고, 단위면적당 세포의 개수와 크기 및 분비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후두부에서 그 변화양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등과 체측 부위의 비늘이 존재하는 진피층에서는 eosin에 염색되는 염기성 물질이 상당량 분비되어 진피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변화에 따른 이러한 피부조직의 구조적 변화를 미꾸리의 동면, 피부호흡 및 점액의 기능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