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sal epithelial cell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BCG가 Ehrlich 암세포를 이식한 생쥐의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합성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CG on the DNA Synthesis and Ultrastructure of Mouse Gastric Mucosal Epithelial Cells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 고정식;류인상;박경호;박대균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05-218
    • /
    • 2009
  • 이 실험은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후 BCG를 투여하였을 때, 위점막 상피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와 DNA합성능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g 내외의 성숙한 생쥐(ICR계통)를 정상대조군, 종양세포이식대조군(종양대조군), 종양세포이식후 BCG투여군(BCG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 동물들은 샅부위 피하에 각각 $1{\times}10^7$의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후, 다음날부터 BCG ($0.6{\times}10^8{\sim}6.4{\times}10^8$ CFU, 27 mg/vial, Connaught Lab., Canada)를 하루건너 한 번씩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으며, 종양대조군은 종양세포이식 후에 BCG 대신 0.2mL의 생리식염수를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다. 자기방사법적 관찰을 위해서는 BCG를 마지막으로 주사한 다음날 $^3H$-thymidine (methyl-$^3H$-thymidine: specific activity 25 Ci/mmol, Amersham Lab., England) 0.7${\mu}Ci/gm$를 꼬리정맥에 주사하고, 70분 후 도살하여 위조직을 떼어내어 10% formalin에 고정하였다. 자기방사표본관찰은 위점막 조직이 세로로 잘 절단된 부위를 택하여 점막근육판을 따라 점막길이 3.5mm의 위점막 조직에 분포하는 $^3H$-thymidine 표지세포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일반조직 관찰을 위해서는 hematoxylin-eosin (H-E)염색을 시행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서는 떼어낸 위조직을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혼합액에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 액에 다시 고정하였으며, 고정이 끝난 조직은 탈수과정을 거쳐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였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은 위점막 조직에서 형태적으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BCG투여군의 점액상피세포는 전체적인 모습이 정상대조군과 종양대조군의 소견과 유사하였으나 정상대조군과 종양대조군에 비해 수초구조와 뭇소포체(multivesicular body) 및 전자밀도가 높은 큰 미토콘드리아속과립이 자주 관찰되었다. 자기방사법적 관찰에서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BCG투여군은 점막길이 3.5 mm 당 출현하는 표지세포수가 각각 380.2 (${\pm}31.35$), 426.1 (${\pm}28.43$) 및 301.8 (${\pm}34.63$)개이었으며, BCG투여군은 정상대조군과 종양대조군에 비하여 표지된 은입자의 수가 매우 적어서 표지과립이 겨우 구별될 정도의 세포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동물에 BCG를 반복 투여하면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형태적인 변화가 매우 경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BCG가 항암치료 시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약제라고 생각된다.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소화관(消化管)의 형태(形態).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특징(特徵) (Morphology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imentary Tract in Surfperch, Ditrema temmincki)

  • 이정식;진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0-149
    • /
    • 1995
  •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소화관의 형태 조직화학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는 0.89정도이며, 소화관에는 식도와 담관 입구사이의 팽창부인 위(胃)가 없다. 소화관은 형태 조직화학적인 특징에 의하여 식도, 식도 - 장이행부, 전장, 중장, 후장, 장 - 직장 이행부, 직장, 직장 - 항문 이행부, 항문으로 나눌 수 있다. 점막주름은 직장에서 가장 복잡한 형태를 보이며, 근육층은 식도와 항문에서 발달된 상태를 나타낸다. 점막주름의 상피층은 식도 전방부에서는 입방세포로 구성되며, 나머지 부위 에서는 원주상피로 구성된다. 소화관에는 PAS 반응에 양성을 나타내는 배상세포와 다당류 흡수세포 (Polysaccharid Absorptive Cell)가 관찰되는데, 후자는 다당류 계통의 영양물질의 흡수기능을 가진다. 망상어 소화관에서 다당류 계통의 영양물질은 주로 후장부에서 흡수된다.

  • PDF

The changes of immune-related molecules within the ileal mucosa of piglets infected with porcine circovirus type 2

  • Shi, Fengyang;Li, Qiuming;Zou, Zhanming;Wang, Yang;Hou, Xiaolin;Zhang, Yonghong;Song, Qinye;Zhou, Shuanghai;Li, Huanro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78.1-78.15
    • /
    • 2020
  • Background: Enteritis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s in piglets infected with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but the immunopathogenesis has not been reporte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PCV2 infection on the intestinal mucosal immune function through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immune-related molecular detection. Methods: Morphological changes within the ileum of piglets during a PCV2 infection were observed. The expression of the related-molecules was analyzed using a gene chip. The immunocyte subsets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The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 content was analyz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PCV2 infection caused ileal villus damage, intestinal epithelial cells exfoliation, and an increase in lymphocytes in the lamina propria at 21 days post-infection.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ccurred in the defense response, inflammatory response, and the 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 reactions. Most of them were downregulated significantly at the induction site and upregulated at the effector site. The genes associated with SIgA production were downregulated significantly at the induction site. In contrast, the expression of the Toll-like receptor-related genes was upregulated significantly at the effector site. The frequencies of dendritic cells, B cells, and CD8+T cells were upregulated at the 2 sites. The SIgA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leal mucosa. Conclusions: PCV2 infections can cause damage to the ileum that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immune-related gene expression, immune-related cell subsets, and SIgA production. These findings elucidated the molecular changes in the ileum after a PCV2 inf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stinal mucosal immunity, which provides insights into a further study for PCV2-induced enteritis.

Upregulation of FZD5 in Eosinophilic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by Epigenetic Modification

  • Kim, Jong-Yeup;Cha, Min-Ji;Park, Young-Seon;Kang, Jaeku;Choi, Jong-Joong;In, Seung Min;Kim, Dong-Kyu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4호
    • /
    • pp.345-355
    • /
    • 2019
  • Eosinophilic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CRSwNP)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roblems in clinical rhinology. FZD5 is a receptor for Wnt5A, and its complex with Wnt5A contributes to activating inflammation and tissue modification. Nasal polyps and eosinophil/non-eosinophil counts are reported to be directly correl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FZD5, and the role of eosinophil infiltration and FZD5 in eosinophilic CRSwNP pathogenesis. The prognostic role of eosinophil levels was evaluated in seven patients with CRSwNP. Fifteen patients with CR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ercentage of eosinophils in nasal polyp tissue. Methylated genes were detected using methylCpG-binding domain sequencing, and q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used to detect FZD5 expression in nasal polyp tissue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mRNA expression of FZD5 was upregulated in nasal polyps. FZD5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asal polyp samples from patients with eosinophilic CRSwNP than in those from patients with non-eosinophilic CRSwNP, as indicated by immunohistochemistry. Furthermore,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were higher in eosinophilic CRSwNP-derived epithelial cells than in normal tissues. In conclusion, FZD5 expression in nasal mucosal epithelial cells is correlated with inflammatory cells and might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eosinophilic CRSwNP.

족삼리 장기 자극이 흰쥐 위점막의 내분비세포 및 점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Acupuncture on the Endocrine Cells and Mucus of Gastric Mucosa In Rats)

  • 장경훈;김명동;이창현;유윤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76-1280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at Zushanli (ST 36) in this study, gastric endocrine cells (G cell) by avidin-biotinylated complex (ABC) technique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HE; periodic acid schiff, PAS; alcian blue stain) of the stomach were perfomed at 1, 3, 6 weeks in normal rats. In other groups, omeprazole were fed for 1, 3, 6 weeks to compare with acupuncture effect. Acupuncture applied to the ST 36 acupoint and the administration of omeprazole increased G cell significantly at 1, 3, 6 weeks in time dependant manner. Furthermore, acupuncture applied to the other acupoint on GB 34 did not produce significant effect. When the common peronial nerve was dissected, acupuncture of ST 36 acupoint produced change of G cell. These data suggest that acupuncture at ST 36 increased G cell in point specific way and that effect was not related with surrounding nerve.

B형 트리코테센 곰팡이 독소 데옥시니발레놀에 의한 인체 장관 상피세포 염증성 인터루킨 8유도에서의 PKR과 EGR-1의 상호 역할 규명 (Role of PKR and EGR-1 in Induction of Interleukin-S by Type B Trichothecene Mycotoxin Deoxynivalenol in the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박성환;양현;최혜진;박영민;안순철;김관회;이수형;안정훈;정덕화;문유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49-955
    • /
    • 2009
  • 점막 상피는 외부 인자를 감지하는 최전선의 인식부위로서 외부스트레스 자극을 하부의 반응 신호로 전달하는 주요 세포이다. 리보솜독성 반응을 유발하는 데옥시니발레놀 (DON) 및 그 관련 곰팡이 독소는 푸자륨 곰팡이 오염에 의한 식중독성 소화기 염증성 질환과의 연관성이 알려 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ON이 상피세포 감지 신호 전달 분자로서 PKR과 EGR-1이 관련 되고 이들이 상피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가인 인터루킨 8의 생성에 관련 된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를 수행 하였다. PKR 발현의 세포내 작용 억제는 DON에 의해 유도되는 인터루킨 8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DON에 의한 IL-8 전사 활성화는 PKR 억제에 의하여 장관 상피세포에서 감소하였다. PKR 저해제의 처리는 EGR-1 promoter 활성, mRNA, 단백질 유도 등을 감소를 유발하였으며 MAP kinase (ERK1/2, p38, JNK)는 변화가 적거나 오히려 PKR 저해제의 전처리에 의하여 항진 되었다. 결론적으로 DON에 의해 자극된 감지신호인 EGR-1은 자체적으로 또는 PKR 신호를 경유하여 인터루킨8의 생산을 항진하는데 주요한 기능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리보솜 독성 반응과 관련된 소화기 염증유발의 주요한 기전을 제공하고 있다.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의 염증성 질환에서 E-cadherin의 발현 (E-cadherin Expression in Colonic Epithelium of Various Colitis in Children)

  • 이나영;박도윤;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77-182
    • /
    • 2009
  • 목 적: 소아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대장염에서 점막의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 접합에 다양한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되어 세포 간의 결합을 유지하는 E-cadherin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하부 위장관 내시경술과 대장점막 조직 검사를 통해 대장염으로 진단된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파라핀 블록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E-cadherin의 세포 내 발현을 조사하였다. 주변의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E-cadherin의 발현이 동일한 강도와 양상을 가진 세포가 50% 이상인 경우를 정상으로 판정하였고, 발현이 정상인 세포가 50% 미만이거나 염색 분포의 이상이 있거나 전혀 염색되지 않은 경우를 이상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1) 본 연구에서 비특이성 대장염 15예(38.5%), 크론병 7예(17.9%), 감염성 대장염 5예(12.8%), 음식 단백 과민성 직결장염 5예(12.8%), 궤양성 대장염 3예(7.7%), Henoch-Schonlein purpura 대장염 2예(5.1%), 그외 베체트병, 허혈성 대장염 1예가 포함되었다. 2) 모든 종류의 대장염에서 상피세포 E-cadherin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77%의 대상 표본에서 E-cadherin 발현감소가 있었다. 3) 활동성 염증이 심한 부위에서 Ecadherin 발현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병변부에서 떨어진 상피세포에서는 정상 발현을, 궤양 주위나 재생 상피가 있는 부위는 심한 발현 감소를 보였다. 결 론: 모든 종류의 염증성 대장 질환에서 E-cadherin 발현 감소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염증과 궤양이 있는 부위에서 상피세포 접합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피세포의 재생을 위한 세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용이라고 판단된다.

  • PDF

Bacillus Calmette-Guerin (BCG) 투여가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 샘창자 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cillus Calmette-Guerin (BCG) on the DNA Synthesis of Mouse Duodenal Mucosal Epithelial Cells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 고정식;김흥노;박경호;박대균;김덕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193-200
    • /
    • 2010
  • 이 실험은 Ehrlich 종양세포를 샅부위에 이식한 후 고농도의 BCG(Bacillus Calmette-Guerin)를 피부밑조직에 반복 투여하였을 때, 샘창자점막의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DNA합성지수를 비교 연구하고자 3H-thymidine을 투여한 후 자기방사법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g 내외의 ICR 흰생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의 동물에는 샅부위 피부밑조직에 각각 $1{\times}10^7$의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하였다. BCG투여군은 종양세포이식 다음날부터 농축 건조된 BCG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다음, 일정량을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다. 종양대조군은 종양세포이식 후에 생리식염수를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종양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동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군에는 5마리씩의 동물을 배정하였다. 자기방사법적 관찰을 위하여는 약제를 마지막으로 주사한 다음날 3H-thymidine $0.7{\mu}Ci$/gm를 꼬리에 한차례 정맥주사하고, 70분 후 도살하여 샘창자조직을 떼어내어 10% 포르마린으로 고정하였다. 관찰은 샘창자조직이 세로로 잘 절단된 창자움 부위를 택하여 점막근육판을 따라 점막길이 3.5mm의 창자샘상피에 분포하는 3H-thymidine 표지세포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일반조직 관찰을 위해서는 hematoxylineosin (H-E)염색을 시행하였다. 일반조직관찰에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샘창자 점막 고유판에 림프구와 호산성백혈구가 다수 관찰된 것 이외에는 형태적으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자기방사법적 연구에서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투여군은 점막길이 3.5 mm 당 출현하는 표지세포수가 각각 632.3 (${\pm}14.47$), 761.7 (${\pm}27.65$) 및 505.0 (${\pm}17.09$)개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BCG를 반복 투여하면 샘창자 점막상피세포의 DNA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면서도 형태적인 변화가 경미하였으므로 BCG는 항암치료시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약제라고 생각된다.

치성낭종 상피세포의 증식, 분화 및 세포능동사망현상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THE EPITHELIAL CELLS OF THE ODONTOGENIC CYSTS)

  • 정성훈;박영욱;주재용;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5호
    • /
    • pp.470-480
    • /
    • 2000
  • The epithelium of odontogenic cyst seems to be in a specific status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cytodifferent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of various genes, which play essential roles in the specific stages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cellular conditions of odontogenic cyst epithelium need to be reevaluated.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degree of proliferating, differentiating and apoptotic activities of odontogenic cyst epithelium using antisera of PCNA, Ki-67, MPM-2, transglutaminase C, heat shock protein 70 and $ApopTag$^{(R)}$. method in 19 cases of odontogenic cysts. Cellular changes of the cyst epithelium were measured by intensity of eac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liferating activity of the cyst epithelium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oral mucosal epithelium, with the use of primary antibodies against PCNA, Ki-67, and MPM-2. And the proliferating activity of the epithelium in OKC group was even higher than that of the epithelium in non-OKC group. 2. The odontogenic cysts showed weakly positive reaction with transglutaminase C, but strongly positive reaction with HSP 70. 3. Occasionally, only a few apoptotic cell was observed in the superficial keratin layer of OKC. 4. The hyperplastic cyst epithelium infiltrated with mild inflammatory cells showed diffusely positive reaction with different proliferating factors. From the above results, we presumed that the endogenous proliferating and differentiating activity of the cyst epithelium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oral mucosal epithelium, and also supposed that the cyst epithelium could be reactivated for the further proliferation by the exogenous factors, such as inflammatory reaction and any chemicophysical irritations.

  • PDF

알러지성 비염에 대한 청연산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ongyeonsan for Allergic Rhinitis)

  • 김정원;안상현;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2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eongyeonsan for allergic rhinitis. Methods First, the GS/M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heongyeonsan by measuring inflammatory markers. Second, 3 groups of 10 6-week-old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Ctrl (no treatment), ARE (allergic rhinitis-induced without treatment), and CRT (allergic rhinitis-induced after Cheongyeonsan treatment) groups. Ovalbumin (OVA) was used as an antigen to induce allergic rhinitis and sensitization was perform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0.1% OVA solution 21, 14, and 7 days before the onset of allergic rhinitis.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by dropping OVA solution on the nasal cavity of each mouse for 5 days after the last sensitization. Seven days after the first induction, second induction was introduced by the same method. After making the section, MMP-9, substance P, $TNF-{\alpha}$, $NF-{\kappa}B$ p65, COX-2, iNOS and Nrf, apoptotic cells were observed by Masson trichrome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UNEL of nasal mucosal tissues of each group. Results GC/MS results showed undecanoic acid. Masson trichrome results showed that the CRT group had less respiratory epithelial damag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showed CRT group had 58% decrease in MMP-9, 61% decrease in substance P, 55% decrease in $TNF-{\alpha}$, 38% decrease in $NF-{\kappa}B$ p65, 53% decrease in COX-2, 54% decrease in iNOS, 87% increase in Nrf compared to those of the ARE group. TUNEL showed a positive reaction of 84% increase in apoptotic cells greater than that of the ARE group. Conclusions Cheongyeonsan alleviates nasal mucosal damage and reduces inflammatory mediators from allergic rhinitis-induced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