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sal DNA Vaccin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Production of the polyclonal subunit C protein antibody against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cytolethal distending toxin

  • Lee, Su-Jeong;Park, So-Young;Ko, Sun-Young;Ryu, So-Hyun;Kim, Hyung-Seop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sup2호
    • /
    • pp.335-342
    • /
    • 2008
  • Purpose: Cytolethal distending toxin (CDT) considered as a key factor of loc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endocarditis, meningitis, and osteomyelitis is composed of five open reading frames (ORFs). Among of them, the individual role of CdtA and CdtC is not clear; several reports presents that CDT is an AB2 toxin and they enters the host cell via clathrin-coated pits o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GM3 ganglioside. So, CdtA, CdtC, or both seem to be required for the delivery of the CdtB protein into the host cell. Moreover, recombinant CDT was suggested as good vaccine material and antibody against CDT can be used for neutralization or for a detection kit. Materials and Methods: We constructed the pET28a-cdtC plasmid from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Y4 by genomic DNA PCR and expressed in BL21 (DE3) Escherichia coli system. We obtained the antibody against the recombinant CdtC in mice system. Using the anti-CdtC antibody, we test the native CdtC detection by ELISA and Western Blotting and confirm the expression time of native CdtC protein during the growth phase of A. actinomycetemcomitans. Results: In this study we reconstructed CdtC subunit of A. actinomycetemcomitans Y4 and generated the anti CdtC antibody against recombinant CdtC subunit expressed in E. coli system. Our anti CdtC antibody can be interacting with recombinant CdtC and native CDT in ELISA and Western system. Also, CDT holotoxin existed at 24h but not at 48h meaning that CDT holotoxin was assembled at specific time during the bacterial growth. Conclusion: In conclusion, we thought that our anti CdtC antibody could be used mucosal adjuvant or detection kit development, because it could interact with native CDT holotoxin.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의 위점막에서 Lewis 항원의 발현 (Expression of lewis antigen in gastric mucosa of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정주영;임성직;한태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97-103
    • /
    • 2007
  • 목 적 : Lewis b($Le^b$) 항원과 BabA 단백은 H. pylori가 위점막에 부착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위점막의 면역 반응은 성인에서의 반응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Le 항원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 소아 H. pylori 양성 환자의 위점막에서 Le 항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상 때문에 소아과를 방문하여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전정부에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조직 검체를 생검하여 CLO 검사와 조직 특수 염색(Warthin-starry)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모두 양성인 경우에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H. pylori 양성 35명과 H. pylori 음성 19명의 위점막 파라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cagA, babA2 특이 시발체를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위점막 생검 조직을 대상으로 $Le^a$, $Le^b$, $Le^x$$Le^y$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다음 각각의 Le 항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H. pylori 양성 환자에서 $Le^a$ 항원은 60%(21명/35명), $Le^b$ 항원 97%(34명/35명), $Le^x$ 항원 88%, $Le^y$ 항원은 100%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H. pylori 음성 환아군에서는 $Le^a$, $Le^b$, $Le^x$$Le^y$ 항원이 각각 52%, 100%, 89%, 100%에서 발현되었다. H. pylori 양성 유무에 따른 $Le^b$ 항원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CagA 및 babA2 유전자는 H. pylori 양성 환자군 중 각각 65.7%(23명/35명), 25.6%(8명/35명)에서 확인되었다. Lewis 항원들의 발현에 따른 H. pylori 감염, cagA 양성 및 babA2 양성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국내 소아의 위점막에서 높은 $Le^x$$Le^y$ 항원의 발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 pylori 감염 및 babA2의 양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Lewis 항원 이외의 다른 점막 수용체들과 세균 독소들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