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Jiri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9초

A Comparative Study on the Habitat of Abies koreana WILSON between Mt. Jiri and Mt. Ha1la

  • Ihm, Byung-Sun;Lee, Jeom-Sook;Kim, Moon-Hong;Kim, Ha-S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제7차 국제 심포지움(생약자원개발에 관한연구)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60-64
    • /
    • 2000
  • This examination of vegetation is conducted from lune to Oct. 1999 through on the spot survey, centering on the habitat of Abies koreana around Imgeolryeong, langteomok, and Jeseokbong in Mt Jiri and Yeongsil path and Seongpanak path in Mt. Halla. Species composition table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y by altitude and slope in Mt. Jiri and Mt. Halla are made based on the community composition tables examined in quadrat. The Abies koreana-Saso quelpaertensis community in a west slope of Mt. Halla is found that Abies koreana of 4-6m in height forms subtree layer and that of 8-9m in height the tree layer and it reflects a difference between community structure by slope and main composition species. While the tree layer of Abies koreana community is 12-14 in height around the area of 1, 290-1, 560m above the sea of Imgeolryong and path from Baekmudong to Jangteomok, it is 8-12m in height in the area of 1, 680-1, 780m above the sea of path from Jangteomok to Jeseokbong. It means that community structure depends on area and attitude. This study finds out that commonly appearing composition species similar to coverage and presence are Lepisorus thunberianus, Quercus mongolica, So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Ligularia fischeri, Carex lanceolata, Clintonia udensis, Magnolia sieboldii, Betula ermani, Acer Pseudo-sieboldianum, As soil environment of surveyed area, pH of surveyed spots is similar in Mt. Jiri and Mt. Halla, electrical conductvity is higher in Mt Jiri,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is relatively higher in a west slope of Mt. Jiri and Mt. Halla and lower in their south and west slopes.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show that the area of 1, 550m above the sea in a west slope of Mt. Halla is some higher. For pH and contents of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Mt. Halla is higher than Mt. Jiri but for electrical conductivity , Mt. Jiri is relatively higher than Mt. Halla.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Habitat of Abies koreana Wilson between Mt. Jiri and Mt. Halla

  • lhm, Byung-Sun;Lee, Jeom-sook;Kim, Moon-Hong;Kim, Ha-Song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38-147
    • /
    • 2000
  • This examination of vegetation is conducted from June to Oct. 1999 through on the spot survey, centering on the habitat of Abies koreana around Imgeolryeong, Jangteomok, and Jeseokbong in Mt Jiri and Yeongsil path and Seongpanak path in Mt. Halla. Species composition table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y by altitude and slope in Mt. Jiri and Mt. Halla are made based on the community composition tables examined in quadrat. The Abies koreana-Saso quelpaertensis community in a west slope of Mt. Halla is found that Abies koreana of 4-6m in height forms subtree layer and that of 8-9m in height the tree layer and it reflects a difference between community structure by slope and main composition species. While the tree layer of Abies koreana community is 12-14 in height around the area of 1,290-1,560m above the sea of Imgeolryong and path from Baekmudong to Jangteomok, it is 8-12m in height in the area of 1,680-1,780m above the sea of path from Jangteomok to Jeseokbong. It means that community structure depends on area and attitude. This study finds out that commonly appearing composition species similar to coverage and presence are Lepisorus thunberianus, Quercus mongolica,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Ligularia fischeri, Carex lanceolata, Clintonia udensis, Magnolia sieboldii, Betula ermani, Acer pseudo-sieboldianum. As soil environment of surveyed area, pH of surveyed spots is similar in Mt. Jiri and Mt. Halla, electrical conductivity is higher in Mt Jiri,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is relatively higher in a west slope of Mt. Jiri and Mt. Halla and lower in their south and west slopes.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show that the area of 1,550m above the sea in a west slope of Mt. Halla is some higher. For pH and contents of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Mt. Halla is higher than Mt. Jiri but for electrical conductivity, Mt. Jiri is relatively higher than Mt. Halla.

  • PDF

아고산 지역의 구상나무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 김남신;이희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9-57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change of distribution and habitat location environment of Korean Fir which is typically vulnerable species by the climate change in Mt. Jiri and Halla. Korean Fir was decreased 18% during 27 year since year 1981, Mt. Halla was 34% during 15 years since year 1988. In the same periods, Temperature change was increased from 8.56 to $9.36^{\circ}C$, from 11.2 to $12.1^{\circ}C$. Distribution changes by the elevation showed higher change ratio 1,400~1,600m in Mt. Jiri and 1,200~1,900m in Mt. Halla. Changes of Korean Fir each slope aspects was high $180{\sim}360^{\circ}$ in Mt. Jiri, $45^{\circ}$ in Mt. Halla. In slope was $30^{\circ}$ in Mt. Jiri and $20^{\circ}$ in Mt. Halla. Changes by reliefs was 12 in Mt. Jiri, 0 or 15 in Mt. Halla, and Sites of Korean Fir was convex slopes both of two areas. Changes by soils was in the good drainage textures.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리산 여행 연구 (A Study on the Literati's Travels to Mt. Jiri in the Joseon Dynasty)

  • 정치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0-281
    • /
    • 2009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저술된 유산기를 기초자료로, 당시 사람들이 지리산을 무슨 목적을 가지고 어떻게 여행하였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 조선시대 사람들의 금강산 청량산 여행과 비교하여, 지리산을 찾은 여행자의 성격, 여행 동기, 여정, 그리고 여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리산 여행자들은 거주지, 성격, 취미 등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것이 반영되어 지리산 여행에는 금강산 청량산 여행과 구분되는 여행 동기와 여정이 나타났다. 여행 방식은 여행 시기, 준비물, 동반자, 교통수단, 식사 및 숙박, 여행 중 활동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금강산 청량산 여행과 큰 차이가 없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행 방식 가운데 관행화된 것이 많았다는 증거이다.

조선시대 지리산 유람록(遊覽錄)에 나타난 경관자원 연구 (A Study on Scenic Resources in Mt. Jiri Documented in the Joseon Era Travelling Records)

  • 이창훈;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62
    • /
    • 2014
  • 인간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자연경승지에 주목하고, 그 자연대상지에 의미를 부여하며 가치를 매기는 행위를 통해 명승(名勝)으로 인식해왔다. 자연이 어떻게 명승으로 인식되어 가는가 하는 것은 자연풍토, 사회, 문화, 시대흐름 등에 의해 달라지기 마련이다. 지리산(智異山)은 남한 내륙에서 가장 높고, 가장 넓은 산인만큼 옛 선조들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수려한 풍광을 배경으로 학문을 수양하거나 학식을 나눌 수 있는 유람처(遊覽處)의 성격으로 지리산을 자주 거론하였다. 조선시대에 지리산을 찾은 문인 학자들의 수는 헤아릴 수 없으며, 이 중에 일부는 자신의 여정을 유람록(遊覽錄)으로 남겼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산 유람을 즐기며 기록되었던 유람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산 천왕봉 유람경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당시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각에 보여졌던 경관자원의 가치를 알아보자 하였다. 지리산의 경관자원은 산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동기나 욕구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이러한 변화는 더이상 선인들이 다녔던 길의 답습의 개념이 아닌 새로운 탐방로의 개척과 편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 사람들이 생각하는 명승의 개념은, 이용하려는 동기와 목적에서 차이를 보이더라도 넓은 의미의 명승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유람경로와 경관자원 중 인물사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문인의 경로는 '선현(先賢)들의 발자취 개념'을 응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 및 경제적 자립도 향상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산림토양의 절지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una of the Soil Microarthropods in Forest Floor)

  • 우건석;추호렬;정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3-138
    • /
    • 1987
  • 1. 본 실험은 토양절지 동물의 분포, 우점도 및 다양도를 알기 위하여 수원근교 및 지리산지역에서 1986년 10월부터 1987년 4월까지 실시되었다. 2. 위 기간중 채집된 2,989개체를 동정한 결과 3목(目), 20과, 19종이 확인 되었다. 3. 우점도지수는 수원군집의 것이 지리산군집의 것보다 낮았으나 계절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우점도지수의 변이는 지리산 군집에서 작았고 수원군집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지리산 개서어나무림에서의 12년간 지역기후의 변화에 따른 연간 종자생산량의 변동 (Twelve Years Changes in Local climate Factors and Annual fluctuations of Seed Production of the Carpinus tschonoskii Forest in Mt. jiri in Southern Korea)

  • 임영득;홍선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809-814
    • /
    • 1998
  • Changes of annual seed produc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studied for 12 years in Piagol, a riparian valley in Mt. Jiri. Sixty-four seed traps (sized 0.5 ${\times}$ 0.5 $m^{2}$) were set up on the forest floor of surveyed area. Seeds were collected from these traps at an interval of 15 days from September to November since 1984.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as mainly consisted of the naturally regenerated Carpinus tschonoskii in the tree layer. Acer mono,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Symplocos chinensis also appeared in the same layer. Maximum production occurred in 1984 and 1994. As a result of comparing seed production with local climate factors for 12 years, seed productivity and the year of maximum production of Carpinus forest were merely related with precipitation, air temperature and duration of sunshine among local climate factors. Duration of sunshine was, however, not contributed to periodically high productivity of seed of riparian valley carpinus forest.

  • PDF

지리산의 균류의 발생분포에 관한 연구(II) (2. 생태적 균류 자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al Distribution on Fungi in Mt.Jiri Areas(II) (2. On ecological resources of Fung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9
    • /
    • 1999
  • 1996년 4월1일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지리산의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였다. 그것들을 생태적 자원면에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귀 균류는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을 포함하여 15종이고 변형균문에서는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 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2종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용가능한 균류는 135종, 재배 가능한 버섯은 16종, 독버섯은 35종, 항암버섯(약용포함)은 68종, 균근형성균은 51종, 목재부후균(낙엽분해균포함)은 177종이었다.

  • PDF

계방산, 오대산 및 지리산 야생 표고균주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Wil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in Three Mountains of Korea)

  • 김둘이;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9-103
    • /
    • 2001
  • RAPD 검정법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야생 표고균주의 지역간 유전변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사용된 야생 표고균주는 계방산 수집 10개, 오대산 수집 11개, 지리산 수집 11개의 야생 표고 총 32균주를 사용하였다. Genomic DNA를 추출하여 10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PCR 증폭시킨 후 전기영동 한 결과 170개의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그중 다형성 밴드는 161개가 검출되었다. 이들 전기영동 상에 나타난 밴드의 유무(1,0)로 cluster 분석을 한 결과, 계방산과 오대산 표고균주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나머지 지리산 표고균주들이 다른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AMOVA 분석결과 세 지역의 집단간 유전적인 차이는 12.5%를 나타내었고, 각 균주들 간에는 87.5%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계방산과 오대산 균주들은 그룹 내 분화가 큰 것이 주요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며, 반면, 지리산 균주들은 계방산과 오대산과는 유전적 격리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