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all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제주도 산딸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Native Cornus kousa Community and Its Habitat in Jeju Island)

  • 안영희;심경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3
  • Fifteen major naturally populated habitats around the Mt. Halla, Jeju province for wild Cornus kousa are mostly located on the southeast side of the mountains at 850-1,550m in altitude at sea level and are in half sunney areas. More than 40.0% of the naturally populated area of Cornus kousa are edge of forest areas and 53.3% populate on the steep slope of the mountain in 0-5℃. The direction of the slop for about 40.0% of total populated areas is southeast. In the naturally populated areas, total of 64 taxa dividing into 42 families, 59 genera 56 species and 8 varieties have been shown, mostly Hydrangea petiolaris, Rubus oldhamii, Ilex crenata, Sasa quelpaertensis, Ligustrum obtusifolium. It is suggested that these areas are secondary forest in a typical deciduous forest in Mt. Halla where the second transition had been progressed after forest damage or environmental stress.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of plant groups in these areas is 1.286-4.238 based on the Shannon-Wiener's method.

속리산(俗離山) 법주사(法住寺) 가람배치(伽藍配置)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ite Layout of Beopjusa(Temple) on Sokrisan(Mt.))

  • 장현석;최효승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77-88
    • /
    • 2005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site layout in Beopjusa which was built on Maitreya faith in the Shill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reconstruction of Beopjusa means a start in Dhamalsama(法相宗) and then it was supposed to be Buddhist temple which was formed by intersecting axis of centering around a wooden pagoda(捌相殿) with a main Buddhist hall and a lecture hall. 2) After the middle of Koryo dynasty, Beopjusa was changed to building layout of intersecting with Yongwabojeon(龍華寶殿) and Daeungbojeon(大雄寶殿) because of harmony with Avatamsaka(華嚴宗) and Dhamalsama centering around Avatamsaka. 3) The buildings of Zen Buddhism was built in the early Chosun dynasty owing to a prevalence of Zen Buddhism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since 17th century, Buddhist halls were each built in their a faith system according to interpenetrated Buddhism(通佛敎). 4) The courtyard type of mountainous district was made on interpenetrate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site layout of Beopjusa is being maintained by centripetal spatial organization through the wooden pagoda as object.

  • PDF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희랑대사상(希朗大師像)의 특징과 제작 의미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Huirang Daesa Sculpture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 정은우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54-77
    • /
    • 2020
  • 희랑대사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상으로 높이 82.4cm, 무릎폭 66.6cm, 앞뒤 최대폭 44cm에 이르는 등신상에 가까운 크기이다. 제작 기법은 승상의 앞면과 뒷면을 건칠과 나무를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동아시아의 유일한 사례로 주목된다. 유사한 기술이 나말여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에 이미 적용된 바 있어 이 시기의 특징으로 이해된다. 희랑대사상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가야산을 여행하면서 쓴 기행문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즉 승상의 가슴에 있는 구멍과 힘줄과 뼈가 울퉁불퉁하다는 등의 독특한 특징은 현재의 희랑대사상과 정확하게 부합된다. 가슴에 있는 구멍은 신통력의 상징으로 3~4세기에 활동한 서역의 승려 불도징(佛圖澄)의 가슴에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당시에는 흑칠 상태였으며, 19세기에 현재와 같이 채색되었음도 알 수 있다. 봉안 전각은 해인사의 해행당(解行堂)과 진상전(眞常殿)이었으며, 이후 조사전과 보장전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승상의 제작과 봉안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문헌 기록에 등장하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매우 드문 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승상의 초상조각은 고려시대의 희랑대사상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제작된 나옹과 의상대사상 등 모두 네 구뿐이다. 이 가운데 희랑대사상은 고려 초기 10세기경에 제작된 상으로서 최고의 제작 기술과 사실적인 재현 그리고 내면의 인품까지 표현한 점에서 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승상을 제작하여 숭배하고 신성시하는 전통은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다만 재료와 제작 기술에 대해서는 나라마다 차이와 특이성을 보이며 발전하였다. 중국은 육신불(肉身佛)이 많은 편이며 일본은 건칠, 나무, 흙 등 시대마다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많은 승상을 제작하였다. 저마다 다른 재료와 기법을 사용했지만 동아시아 각국의 승상 제작은 승려의 참모습과 정신성의 성공적 표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