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allasa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1초

Disturbance in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tree species on higher altitude forests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the central part of Jeju Island, Korea

  • Kim, Eun-Shik;Lee, Jong-Won;Choi, Im-Joon;Lim, Wontaek;Choi, Junghwan;Oh, Choong Hyeon;Lee, Sung-Hoon;Kim, Young-S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52-164
    • /
    • 2017
  • Background: Natural regeneration of seedlings as well as saplings of Korean fir has been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browsing from the early stages of their development, potentially, by roe deer for the last two to three decades at the study site since late 1980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the disturbance in the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on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Methods: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June and August in 2016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 and understory vegetation by applying systematic sampling to 125 plots of $5m{\times}5m$ quadrat located on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variables quantified from the data sets using the SAS software. Results: No saplings with their diameters at breast heights smaller than 5.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the serious disturbance in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No seedlings with their heights taller than 36.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even more serious disturbance during earlier stage of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A total of 616 individuals of the seedlings of Korean fir were found at 54 out of 125 sampling plots. One hundred thirty-eight seedlings (22.4%) out of 616 individual seedlings have the vestiges for being grazed, potentially, by roe deer. Conclusions: Due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e effects of browsing of the seedlings by roe deer to promote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ultimately to restore Korean fir. It is needed for the managers of the forest to install fences around the forest area. Exclosure experiments as well as enclosure experiments of different densities of browsing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treatmen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Jeju dwarf bamboo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experiment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Jeju Island, Korea.

한라산 영실 지역 구상나무림의 6년간(2011년과 2017년)의 임분구조 변화 (Changes for Stand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at the Yeongsil Area of Mt. Hallasan for Six Years (from 2011 to 2017))

  • 송주현;한상학;이상훈;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한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해 구축된 한라산 영실 구상나무림 1 ha ($100m{\times}100m$)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수간건강상태, 중요치, 종다양도 분석을 통해 6년간(2011~2017)의 임분 구조 및 동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흉고직경급 분포에서 구상나무는 20-25 cm 직경급을 제외하고 모든 직경급에서 개체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총 개체수의 변화도 780개체에서 655개체로 감소하였다. 수간건강상태에서 구상나무의 곧게 서서 생육하는 개체(AS)의 비율이 652개체(66.1 %)에서 546개체(60.2 %)로 감소한 반면에 곧게 서서 고사한 개체(DS)의 비율은 106개체(10.7 %)에서 126개체(13.9 %)로, 쓰러져 고사한 개체(DF)의 비율은 16개체(1.6 %)에서 47개체(5.2 %)로 각각 증가하였다. 구상나무의 중요치는 2011년 45.9 %에서 2017년 43.5 %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의 경우, 2011년 0.513에서 2017년 0.519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서 2017년까지 6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한라산 영실지역에서 구상나무의 세력 약화는 흉고직경급 분포, 수간건강상태, 중요치 등 많은 측면에서 뒷받침 되고 있으며, 앞으로 생태계 변화에 의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식물상과 생활형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Hallasan Natural Reserve, Korea)

  • 김찬수;고정군;문명옥;송관필;현화자;송국만;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57-1269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more knowledge on the flora and their life form spectrum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vascular plants include 83 species 35 genera 12 families of pteridophytes, 5 varieties 5 species 3 families of gymnosperm, 100 taxa in 2 varieties 98 species 58 genera 8 families of monocotyledon and 362 taxa in 3 forma 10 varieties 349 species 186 genera 65 families of dicotyledon in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total of vascular plants is 550 taxa in 3 forma 11 varieties 536 species 284 genera 88 families. Among these, 204 species in total including 19 species of pteridophytes, 2 species of conifers, 45 species of monocotyledon and 138 species of dicotyledon are found only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pteridophyte-quotient is 4.52 and floristic richness is 1.94. In the analysis of life form spectrum, there are 190 species (34.5%) of hemicryptophytes and 122 species (22.2%) of geophytes so that two life forms take large portions, 312 species (56.7%) of the vegetation in Hallasan Natural Reserve. Megaphanerophytes and microphanerophytes take 14.5% including 80 species followed by 83 species (15.1%) of nanophanerophytes, 42 species (7.6%) of chamaephytes, 29 species (5.3%) of therophytes, 24 species (4.4%) of hydrophytes and 18 species (3.3%) of epiphytes. According to the life form spectrum hemicryptophytes dominated high portions, which suggests Hallasan Natural Reserve has hemicryptophytic climate and similar to middle parts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iced by that it has more chamaephytes and less therophytes than that of the Peninsular and parti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rtic or subalpine climate.

A new record of Lyssa zampa (Butler) from Korea

  • Jeong, Heon-Cheon;Kim, Min-Jee;Kim, Iksoo;Choi, Sei-Wo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220-222
    • /
    • 2016
  • An Uraniidae moth, Lyssa zampa (Butler, 1869) is newly discovered from southern Korea. One male specimen was collected at a valley of south aspect of Mt. Hallasan, Jejudo in July, 2014. This species is briefly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 DNA barcoding sequence (Genbank KU160388) for the species was provid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and Simula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Chejudo Island, Korea

  • Kim, Eun-Shik;Kim, Young-S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17-123
    • /
    • 2000
  • Changing patterns and the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in the area of Cheiudo island, the southernmost Island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dai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observed at the Chei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from May 1923 to December 1998. A hydrologic simulation model "BROOK" was us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dynamics of daily soil moisture content and soil moisture deficit by applying the daily weather data. During the period, significantly increasing pattern was observed in temperature data of both annual and monthly basis, while no significantly changing pattern was observed in precipitation data. During the last 76 years. mean annual temperature was observed to have risen about 1.4$^{\circ}C$, which may show the Possibility of the initiation of climate change on the island whose validity should be tested in future studies after long-term studies on temperature. Based on the simulation, due to increased temperature, significant increase was predicted in evapotranspiration. while no significant decrease was detected in simulated soil moisture content during the period. Changing pattern of annual soil moisture content was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of precipitation. In some dominant trees, negative effects of the drought of the late season for the previous year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adial growth of the tree for the current year. As annual variation of radial growth of trees is mainly affected by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 information on the dynamics of soil moisture deficit possibly provides u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tree growth decline on the mountain. mountain.

  • PDF

A New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opepod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Alpine Wetlands at Jeju Island, Kore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3호
    • /
    • pp.219-229
    • /
    • 2016
  • Material of a Bryocamptus species, formerly reported as B. umiatensis Wilson, 1958 from Sakhalin and South Korea, is here recognized as a distinct new species. Specimens of both sexes were recently obtained from an alpine wetland, Sumeunmulbaengdui, located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and newly registered as a Ramsar Wetland in 2015. The new species, B. jejuensis n. sp., differs from the type population of B. umiatensis from Alaska by the smooth margin of the anal operculum in both sexes, the peculiarly modified terminal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3, the sword-like spinous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4, and the presence of a setule row on the inner distal margin of the caudal rami in the female. Both sexes of the new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male characters. A revised key to the seven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happuis, 1929 occurring in Korean waters is provided.

멸종위기야생식물II급 한라송이풀 자생지의 환경특성 및 식물상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loristic Study of Endangered Pedicularis hallaisanensis Habitats)

  • 김임규;최성대;추갑철;황부영;강근혜;소순구;박은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163-173
    • /
    • 2018
  •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II급이자 한반도 고유종인 한라송이풀의 자생지 환경특성과 식물상을 조사하여 자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야산 자생지는 해발 1,400m의 남서사면, 한라산 자생지는 해발 1,500m의 남동사면에서 출현하였으며, 두 자생지 모두 상층식생이 전무한 초지대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결과 토양 pH는 4.93-6.48, 토양유기물함량은 4.4-8.1%로 나타났다. 조사구 내 출현식물은 총 27과 40속 43종 8변종 4품종 등 총 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가야산은 25분류군, 한라산은 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라송이풀은 한반도 내 아고산지역에 잔존하는 북방계성 식물로 현재의 자생지는 주변식물의 피압에 의해 경쟁에서 지속적으로 밀려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광도, 온도, 집단의 유전적 평가 등 다양한 인자를 포함한 종합적인 보전생물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al Attribute of Naturalized Plants on the Roadsides in Hallasan National Park)

  • 김현철;김찬수;송창길;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8-289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내 1100도로와 5 16도로변의 식물상 및 식생을 조사하여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2과 145속 총 197분류군이었으며, 이중 귀화식물은 11과 29속 37분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변 식생구조는 1100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으로 대부분 이루어졌으며, 이 군집은 붉은토끼풀-창질경이 아군집과 제주조릿대-풀고사리 아군집으로 구분되었다. 5 16 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과 주름조개풀-양지꽃 군집 및 돼지풀-고마리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1년생 식물이 전체 51.4%를 차지하였으며, 유럽원산이 70.3%로 가장 높은 구성율을 보였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되거나 목초용으로 유입된 경우가 각각 35.1%, 21.6%로 나타나 다른 도입경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는 귀화식물인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이 대부분의 도로변에서 형성되어 있고 다양한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 개설이나 확장, 정비 등에 따른 훼손지역 녹화용으로 큰김의털과 오리새 등이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10년(2006~2015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fir Forest in Mt. Hallasan for the Past 10 Years(2006, 2015))

  • 김종갑;고정군;임형택;김동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9-556
    • /
    • 2017
  • 최근 10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6년과 2015년의 분포면적, 수관밀도를 조사하고 해발고도, 방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 구상나무림의 전체 면적은 626.0ha로 조사되었는데, 2006년 738.3ha에 비해 10년 동안 15.2%에 해당되는 112.3h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수관밀도가 41~70%에 해당되는 중밀도의 면적은 10년 동안 72.6ha가 감소하였고, 71% 이상의 조밀한 구상나무림도 21.3ha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1,510~1,600m 구간에서 전체 감소면적의 32.6%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방위별로는 남동쪽이 23.4ha가 감소하였으며, 동쪽을 중심으로 남동과 북동의 면적 변화가 전체 면적의 55.5%인 62.3ha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구상나무림의 분포 변화는 진달래밭에서 정상에 이르는 지역이 전체 감소면적인 117.9ha중 71.8%에 해당되는 84.6ha가 감소하였으며, 영실등산로일대가 21.5%인 25.3ha, 큰두레왓일대는 6.8%인 8.0ha가 줄어든 반면 방애오름일대는 5.6ha가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구상나무림의 면적 감소는 해발고도, 방위 및 지역별 변화 상황을 고려하면 태풍, 가뭄 등의 이상기후의 증가가 주요 요인이 되어 한라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