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Direction Estim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Periodogram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에서의 속도 Pairing (Velocity Pairing in Motion Estimation using Periodogram)

  • 장수영;이병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C호
    • /
    • pp.406-412
    • /
    • 2003
  • 움직이는 여러 개 물체의 속도를 추정하능 방법으로 피리오도그램(periodogram)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영상 시퀀스를 프레임별로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투사를 한 후 시간축 FFT를 실행한다. 차원 주파수 도메인에서 원점을 지나는 직선상의 화소들의 에너지를 합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추정하게 된다. 물체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각각의 움직이는 속도에 해당하는 여러 개의 피크 값들을 검출하게 된다. 이 피크 값들을 짝지어 주게 되면 물체 각각의 속도가 나오게 된다. 본 논문의 방법은 기존의 수평, 수직 투사이외에, 투사의 방향을 추가하여 수평 수직 방향 속도 성분을 짝지워줬다. 기존의 논문들에 비해 간단한 계산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짝지울 수 있다.

행동차단을 위한 이동로봇의 추적경로 생성 (Tracking Path Generation of Mobile Robot for Interrupting Human Behavior)

  • 진태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60-465
    • /
    • 2013
  • 본 논문은 실내외 공간에서 인간을 포한함 이동물체의 위치를 인식하고 출입금지 구역으로의 이동에 대해서 보안목적의 이동로봇이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물체 및 인간의 행동 움직임을 인식하고 진입을 제한하는 주행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한 방법은 로봇자체의 DR센서 정보와 레이져스케너에서 얻은 환경정보로부터 로봇의 위치추정방법을 결합 한 것이다. 이동로봇은 인간의 속도벡터를 계산 및 주행할 경로를 계획하고 인간의 진행방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예측된 경로를 따라 주행을 하게 된다. 이때, 인간의 움직임은 포인터 물체로 간주하였으며 로봇의 기구학에 기반하여 인간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본 방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정하기위해 로봇을 이용한 위치추정 및 추적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비젼 카메라와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Vision Camera and Multiple Objects Tracking Method)

  • 양원근;이정호;조익환;진주경;정동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C호
    • /
    • pp.401-41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젼 카메라와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센서 방식의 감시 시스템과 달리 비젼 카메라를 이용해 객체를 개별적으로 분석한다.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은 영상에서 개별 객체를 분리해 내는 방법과, 연속하는 두 프레임간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다수의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실시간 처리를 위해 비모수 예측을 사용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객체를 추출한다. 비모수 예측을 이용하면 연산량을 줄이는 동시에 비교적 정확하게 객체를 추출 할 수 있다. 다중 객체 추적 방법은 개별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및 가속도를 이용해 다음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적을 수행하였다. 또한 추적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외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처리 시간이 짧고 정확하게 다중 객체를 추적할 수 있어 실시간 수질 감시 시스템에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정밀 공작기계 안내면의 평행도 측정 (Parallelism Measurement for Guide Rails of Precision Machine Tools)

  • 황주호;박천홍;;김승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2-795
    • /
    • 2005
  • The guide-ways of precision machine tools are one of important element of machine tools. It has usually a pair of surfaces for constraint of one direction with bearing. In the case of precision machine tools, non-contact bearing such as hydrostatic bearing and aerostatic bearing is adopted usually. In this case, profiles of rails has effect on straightness and the clearance of bearing has effect on stiffness of guide way, which changes to higher if clearance changes to smaller. The clearance is varied along moving table according to relative distance of pair of rails. The relative distance of pair of rail can be divided by three properties. First and second properties are straightness of each pair of rail and bearing pad. And, third is parallelism about pair of rails and pairs of bearing pad.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measuring straightness of each surface such as reversal method, sequential two point method, and way straightness. These straightness measuring methods are always acquiring deviation of profile from eliminating linear fitted inclined line and don't have the information of parallelism. Therefore, to get the small clearance for high stiffness, the straightness of rail and bearing pad and parallelism about pair of rails and pair of bearing pads are measured for correction such as regrinding, reassembling and lapping. In this research, new and easy method for measuring parallelism of pair of rails is suggested. Two displacement probe and sensor stage, which is carry on the displacement sensor, are needed.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 was accomplished about pair of horizontal guide way to confirm the measurement of parallelism. And, the third probe is added to measure the straightness of each rails by sequential two point method. From the estimation of combined these two methods, it is confirmed that the profiles of a pairs of rails can be measured.

  • PDF

실시간 손동작 인식을 위한 동작 평면 추정 (Motion Plane Estimation for Real-Time Hand Motion Recognition)

  • 정승대;장경호;정순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5호
    • /
    • pp.347-358
    • /
    • 2009
  • 손동작을 인식하는 연구가 오랫동안 이뤄져 왔지만 대개의 시스템들이 값비싼 깊이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카메라를 사용해 분석하는 등 그 비용이 크며 작동이 가능한 작업 공간이 지극히 제한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 개의 회전 모터를 사용해 작업 공간을 확대하고 저렴한 일반 카메라를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손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된 카메라의 자세 정보와 이미지상의 2차원적 손가락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궤적을 추정하고 이를 동작 평면으로 투영시켜 의미 있는 선형 동작 패턴으로 복원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주어진 목적에 맞는 정확도를 가지는 작업 영역을 정의한다.

산지형 하천의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량 산정 (Estim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in Mountainous Stream)

  • 고재욱;양성기;양원석;정우열;박철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9-608
    • /
    • 2013
  • Jeju island, which is located along the moving path of typhoon, suffers from flooding and overflow by torrential rain. So abrupt runoff occurring, damages of downstream farm field and shore culturing farms are increasing. In this study, Oaedo stream, one of the mountainous streams on Jeju island, was selected as the basin of study subject and was classified into 3 sub-basins, and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basin, the soil erosion amount and the sediment delivery of the stream by land usage distribution were estimated with the use of SATEEC ArcView GIS, the sediment yield amount of 2000 and 2005 was analyzed comparatively.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ediment yield amount of 2000, the three sub-basins were respectively 12,572.7, 14,080 and 157,761 tons/year. and sediment yield amounts were estimated as 35,172.9, 5,266 and 258,535 tons/year respectively in 2005. The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amount of 2005 using single storm rainfall were estimated high compared with 2000, but for sub-basin 2, the values rather decreased due to changes in land use, and the land coverage of 2005, since there are many classifications of land usage compared with 2000, enabling to reflect more accurate land usage condition, could deduce appropriat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such study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propose a direction to predict the amount of sediment yield that causes secondary flooding damage and deteriorates water quality within detention pond and grit chamber, and take action against damages in the downstream farm field and shore culturing farms.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핸드오버 방법 (A Handover Metho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 이종찬;이문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A호
    • /
    • pp.385-392
    • /
    • 2006
  •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초고속의 다양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 이러한 초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려면 셀의 크기를 더욱 즐여서 무선 자원의 재사용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이런 환경에서는 핸드오버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해 허용 가능한 핸드오버 처리 지연 시간을 감소시켜 결국 패킷 손실과 핸드오버 실패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패킷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재전송이 필요하게 되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이음매 없는(seamless)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이동 단말기의 셀 내 위치와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퍼지 기법에 의해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핸드오버 요구 전에 핸드오버 설정 절차를 미리 수행하는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에 의해 성능을 분석한다.

좌우분리 역빔형성 기법에 의한 센서 축방향의 방위탐지 성능 향상 (Enhancement of Bearing Estimation Performance at Endfire Using Cardioid Inverse Beamforming)

  • 강성현;김의준;윤원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29
    • /
    • 2001
  • 실제 해양에서 선배열 센서에 수신되는 표적신호의 좌·우 구분된 도래방위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역빔형성 (Inverse beamforming)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이론적 고찰 및 모사에 의한 방위탐지 성능분석을 수행하고, 고전적인 좌우분리 빔형성 (Cardioid beamforming) 기법에 역빔형성 알고리즘을 적용한 좌우분리 역빔형성 기법을 고안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적인 조건하에서 선배열 역빔형성기는 고전 빔형성기에 비해 배열이득이 3dB 이상 향상되고, 빔폭도 고전빔형성기에 의한 빔폭의 0.68배 정도로 성능이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좌우분리 역빔형성 기법은 고전 알고리즘에 의한 탐지성능에 비해 탐지의 정확도, 분해능의 탐지성능이 우세함을 모사에 의해 입증하였고, 특히, 표적 기동시 센서 축방향에 대한 탐지성능이 고전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관정 데이터와 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하수면 분포 추정 (Estimation of Ground Water Table Using Well Data and GIS Digital Map)

  • 이처경;문추연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3-139
    • /
    • 1999
  • 지하수 자원의 분포 파악과 효과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지하 환경 탐사의 통계적 방법 Kriging을 이용하여 경북 포항시 북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로(농어촌진흥공사. 1997)부터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와 지하수면의 해발 고도 분포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GIS 사업중 해당 지역의 1:5000 수치 지도(국립지리원)를 이용하였다. 지하수면 깊이는 대체로 7-9.5 m를 나타내며 산봉우리와 농업 용수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서는 9.5 m를 상회하여 나타난다. 지하수면의 고도 분포는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최대 변화율은 동서로 6 km 당 90 m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점에서는 지하수가 하루에 수 m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물리치료사 인력의 수급전망과 정책방향 (A Prospect for Supply and Demand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Through 2030)

  • 오영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49-169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modeling future workforce projections to serve as a basis for analyzing annual supply of and demand for physical therapists across the South Korea into 2030. Methods : In-and-out movement model was used to project the supply of physical therapists. The demand was projected according to the demand-based method which consists of four-stages such as estimation of the utilization rate of the base year, forecasting of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target years, forecasting of the requirements of clinical physical therapists and non-clinical physical therapists based on the projected physical therapists. Results : Based on the current productivity standards, there will be oversupply of 39,007 to 40,875 physical therapists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average rate in 2030, undersupply of 44,663 to 49,885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logistic model, oversupply of 16,378 to 19,100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logarithm, and oversupply of 18,185 to 20,839 under the demand scenario of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IMA) model in 2030.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projection suggests that the direction and degree of supply of and demand for physical therapists varied depending on physical therapists productivity and utilization growth scenarios. However, the need for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system and the need to provide long-term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are actively being discussed in entering the aging society. If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elderly are activated, the demand of physical therapists will increase, especially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healthcare policy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rehabilitation service infrastructure suitable for an aging society, providing high-quality physical therapy services,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