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e analysis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6초

영화 <휴고>의 공간서사 분석 (Analysis on the Spatial Narrative of the Movie Hugo)

  • 진호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9
    • /
    • 2019
  • 시간과 공간은 모든 서사의 기초가 되고. 공간은 서사의 대상과 내용으로서 영화 서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응용으로 영화 공간의 표현력이 크게 강화되면서, 공간 서사는 점점 더 감독과 비평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영화 서사 형식으로서, 공간서사는 서사구조, 서사효과, 창작기법, 관객수용 등에서 큰 우세를 갖고 있어 영화 서사의 창작에 돌파구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문서는 영화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화 <휴고>의 공간표현방식 분석, 그리고 서사공간의 추진요소, 구조적 요인, 상징적 의미와 심리적 요인 등 몇 가지 측면에서 미국 영화 <휴고>의 공간서사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짚어본다. 영화 서사공간에 담긴 매력을 발굴하여 영화 서사의 표현에 참고와 귀감을 조금이라도 제공하였으면 한다.

영화 리뷰 감성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감성 분류기 구축 (A Study on Analyzing Sentiments on Movie Reviews by Multi-Level Sentiment Classifier)

  • 김유영;송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71-89
    • /
    • 2016
  • 누구나 본인이 사용한 제품이나,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후기를 자유롭게 인터넷에 작성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양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감성분석은 사용자가 생성한 온라인 텍스트 속에 내포된 감성 및 감정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데이터 도메인 중 영화 리뷰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영화 리뷰를 이용한 기존 연구에서는 종종 리뷰 평점을 관객의 감성으로 동일시하여 감성분석에 이용한다. 그러나 리뷰 내용과 평점의 실제적 극성 정도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구의 정확성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감성 분류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리뷰의 감성점수를 산출하여 리뷰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수치화를 목표로 한다. 나아가 산출된 감성점수를 이용하여 리뷰와 영화 흥행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감성분석 모델은 지지벡터 분류기와 신경망을 이용해 구축되었고, 총 1만 건의 영화 리뷰를 학습용 데이터로 하였다. 감성분석은 총 175편의 영화에 대한 1,258,538개의 리뷰에 적용하였다. 리뷰의 평점과 흥행, 그리고 감성점수와 흥행과의 연관성은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t-검정으로 두 지표의 평균차를 비교하여 감성점수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 구축 방법은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로 구축한 모델보다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상관분석 결과로는, 영화의 주간 평균 평점과 관객 수 간의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감성점수와 관객 수 간의 상관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두 지표간의 평균을 이용한 t-검정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감성점수를 리뷰 평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나아가 검증된 결론을 근거로, 트위터에서 영화를 언급한 트윗을 수집하여 감성분석을 적용한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감성분석 모델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체적 실험 및 검증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감성분석 연구에 있어 개선된 감성 분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였고, 이러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관심 고취를 위한 공상과학영화 교육매체의 활용 (Uses of Science Fiction Movie Education Materials for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to Enhance Their Interests in Science)

  • 김말진;심숙이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21-229
    • /
    • 2011
  • 여학생들의 이공계 분야의 진출을 돕기 위해 다각적으로 많은 여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여학생 친화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방학 중에 실시되는 과학캠프와 정규 학기 중에 학교를 방문하여 여학생들에게 멀티미디어 교육매체의 하나로서 공상과학 영화를 보여주고 과학적인 관심도에 대한 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여학생의 과학적 관심도 변화를 측정 분석하는 선행 연구적 성격의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일반중학교 남녀학생에게 같은 설문을 하여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반응차이를 비교하여 보았으며,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영화매체를 이용한 프로그램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들에게 과학적인 관심과 학습 유도의 효과가 대체로 조금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영화내용의 과학적 지식에 대한 사전교육과 사후 토론 및 검토 등이 영화매체를 이용한 여학생들의 과학 친화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이 보여졌다.

  • PDF

영화(映畵) "Emma" 이미지의 의상(衣裳) 디자인 연구(硏究) (A Study on Fashion Design of the Movie, Emma's Image - Focusing on the Jane Austen's Emma -)

  • 박상영;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2호
    • /
    • pp.59-6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costume and symbolism of the English novelist Jane Austen's novel "Emma" which was produced as a movie in 1996. The novel "Emma" 's periodical background is from 1814 to 1815 in neo-classical age of costume. The English woman's costumes in 1810 were high-waisted empire style dress and redingote, pelisse, spencer jacket for going out. Man's costumes were frock coat, tail coat, shirts, vest and bottoms were breeches, pantaloons and trousers. In this literature, Harriet's naive and immature image was shown in the name of 'pretty'. Elegant and graceful way of talking and attitude was expressed in the 'beauty' of Emma. The costume is symbolically expressing the character's personality ; white is for Emma's intelligent and elegant image, pastor Elton's black suit symbolized his profession and ambitions for success. The analysis of the costumes from the movie "Emma" is following ; women wore empire dress and outer garment, redingote and spencer jacket. The fabrics were muslin, gauze, satin, lace and velvet. Men's costume were frock coat, tail coat with the shirts, vest, and pantaloons. The fabric was brown, black and dark color of wool. With an analysis of the movie "Emma", I would like to present '99 S/S collection, targeted for 21-25 aged woman by use of Emma's elegant and Harriet's pretty image as a main subject. As a second subject, I have chosen neo romantic memory, sophisticate feminine and pretty Harriet.

  • PDF

디지털케이블TV에서 영화의 선행창구 성과, 장르,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mber of Running Screens and Viewers in the Theaters, Genres, Holdback Period on the Number of Purchases of Movie VOD in the Digital Cable TV Subscribers)

  • 박선규;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50-962
    • /
    • 2015
  • 본 논문은 디지털케이블TV에서 2013년 3분기동안 편성한 169편의 유료영화 VOD를 대상으로, 영화의 선행창구성과인 누적관객수, 스크린 수, 그리고 장르와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편당 VOD 평균 구매건수는 2,540건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 선행창구성과인 스크린 수와 홀드백 기간이 영화 VOD 구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누적관객 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장르별로 보면 SF/판타지 8,401건>드라마 4,011건>코미디 2,011건>액션 1,798건>애니메이션 1,138건>애정/멜로 1,119건>공포/스릴러 770건>에로 636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트위터를 활용한 감성 기반의 영화 유사도 측정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Movies Based on Sentiment of Tweets)

  • 김경민;김동윤;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92-297
    • /
    • 2014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이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의견이나 감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감성분석 연구가 다양한 분야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영화 관련 연구의 경우, 대부분이 영화평에 대해 단순 긍/부정으로 감성분석을 하여, 영화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 그쳤다. 사람의 감성은 단순 긍/부정이 아닌 다양한 감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반해, 이분법적 감성분석은 영화의 평점 정보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선호도와 유사한 분석을 하는데 그친다. 따라서 영화의 평점보다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영화 리뷰를 세분화된 감성으로 분석하여 영화에 대해 느낀 감성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Thayer 모델을 기반으로 감성 분류 기준을 세우고, 수집한 영화 관련 트윗을 이용하여 각 영화에 대해 대중이 느끼는 감성을 분석한다. 분석된 영화에 대한 감성 비율을 유클리드거리, 코사인유사도,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영화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IMDB에서 제공하는 유사 영화 정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영화 <시드와 낸시 (Sid and Nancy, 1986)>의 영화의상 연구 -펑크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mes in the Movie -Focused on Punk Style-)

  • 김예진;김혜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1호
    • /
    • pp.150-164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punk style shown in the movie Sid and Nancy (1986), based on a true 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at the styles of the main characters had some discriminatory mode as an anti-fashion with not only the value system of the subculture but also the diverse cultural codes applied, revealing their identity.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ed the 1970s when Sid died while a member of the Sex Pistols, but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f Sid and Nancy's costumes. A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specialty books, movie-related sites and their postings, and on-line news reports. To analyze the movie costumes, relevant scenes on the DVD were captured, and thereby, the scenes were categorized per character and style but a performance scene was categorized Sid and Nancy as same punky wedding style because of intention spirituality to marriage by director, and thereupon, 17-cut imag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main characters' styles. Sid's style consisted primarily of black leather jackets, symbolic T-shirts, and jeans, whereas Nancy's style implied a punk style with added fetish styles. Even in the same punk style, their identities were symbolized through bricolage. Through this, subculture styles, were able to confirm that in addition to the value system of subculture, discriminatory modes as anti-fashion with various cultural codes played a role in revealing their identity.

CJ CGV의 VRIO 모델을 통한 핵심역량분석 (An Analysis on the Core Competence Through the VRIO Model of CJ CGV)

  • 김은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3-3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멀티플렉스 영화산업에 관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경영전략관점에서 CJ CGV만의 혁신적인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컬쳐플렉스의 확대과정을 바탕으로 주요 성공요소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핵심역량 전략인 VRIO(Value, Rareness, Inimitability, Organization)모델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J CGV의 차별화된 가치로는 영화관의 문화놀이터인 컬쳐플렉스이고, 희소성에서는 영화관의 기술적 혁신을 통한 종합생활문화공간으로의 변신이며, 모방불가능성에는 사회공헌으로써 CGV의 사회적 브랜드파워 확립하였으며, 조직화하는데 전 세계의 CGV 글러벌화 등이 CJ CGV의 핵심역량으로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기존 영화관의 활용도를 넓혀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개발에 앞장서 CJ CGV는 문화 체험영화관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CJ CGV는 끊임없는 경쟁 지배력을 높여 CGV만의 핵심역량 기업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는 것이다.

기계학습 기반의 영화흥행예측 방법 비교: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나무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Predicting Movie Success betwee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 권신혜;박경우;장병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산업의 가치사슬단계에 따라 각 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변인을 활용하여 제작/투자, 배급, 상영단계별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회귀분석으로 유의미한 변인을 도출하여 모형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주어진 변인을 바탕으로 기계학습 분석방법인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방법 간의 예측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투자 모형과 배급 모형에서 모든 변인을 투입했을 때는 인공신경망의 정확도가 의사결정나무보다 높았으나, 회귀분석결과에 따라 선정된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는 의사결정나무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상영 모형에서는 회귀분석결과의 반영여부와 관계없이 인공신경망의 정확도가 의사결정나무의 정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영화흥행 예측연구에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예측성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를 기계학습기법에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선형적 분석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한글 음소 단위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감성분석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Phoneme-level Korean)

  • 이재준;권순범;안성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9
    • /
    • 2018
  • Sentiment analysis is a technique of text mining that extracts feelings of the person who wrote the sentence like movie review. The preliminary researches of sentiment analysis identify sentiments by using the dictionary which contains negative and positive words collected in advance. As researches on deep learning are actively carried out,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model with morpheme or word unit has been done. However, this model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word dictionary varies according to the domain and the number of morphemes or words get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phonemes. Therefore, the size of the dictionary becomes large and the complexity of the model increases accordingly. We construct a sentiment analysis model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by dividing input data into phoneme-level which is smaller than morpheme-level. To verify the performance, we use 30,000 movie reviews from the Korean biggest portal, Naver. Morpheme-level sentiment analysis model is also implemented and compared. As a result, the phoneme-level sentiment analysis model is superior to that of the morpheme-level, and in particular, the phoneme-level model using LSTM performs better than that of using GRU model. It is expected that Korean text processing based on a phoneme-level model can be applied to various text mining and languag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