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thguar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1초

하악골 충격시 안면 두개골의 응력분산양상에 미치는 구강보호장치의 역할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mouthguard on stress distribution of facial bone and skull under mandibular impacts)

  • 노관태;김일한;노현식;김지연;우이형;권긍록;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2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 충격 시 안면 두개골의 응력분산양상에 미치는 구강보호장치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구강보호장치를 제작하고 사람의 머리부위와 치열의 3차원적 유한요소 모델을 컴퓨터 토모그래피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머리부위의 finite element model은 356,092요소와, 87,099절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skull과 maxillae, mandible, articular disc, teeth, 그리고 구강보호장치로 구성되었다. 경부의 움직임을 묘사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하악골의 충격점은 gnathion, center of inferior border 와 anterior edge of gonial angle이었다. 충격방향은 수직, 경사방향($45^{\circ}$), 그리고 수평이다. 충격량은 0.1초당 800 N이었다. 결과: 수직충격을 가한 경우에는 구강보호장치의 장착여부와 무관하게 비슷한 응력과 분산양상이 나타났다(P>.05). 경사충격($45^{\circ}$)을 가한 경우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한 모델에서는 응력이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었다(P<.05). 수평충격을 가한 경우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한 모델에서는 응력이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었다(P<.05). 구강보호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상악 치아에 응력이 집중되는 반면, 장착한 모델에서는 모든 충격실험에서 계측된 응력이 매우 낮았으며, 전달된 응력이 상악 치아와 안면골 및 두개골로 넓게 분산되었다. 결론: 구강보호장치는 외부충격 시에 하악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는 완충효과가 적었고, $45^{\circ}$경사 충격과 수평 충격에는 발생하는 응력을 안면골과 두개골의 넓은 범위로 분산시키고 응력을 감소시켜 응력의 완충 효과가 있었다.

운동시의 습관적인 이 악물기가 치경부 수복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산하기 위한 마우스가드의 사용 (MOUTHGUARD FOR RELIEF OF REPEATED CLENCHING STRESS TO CERVICAL RESTORATIONS DURING EXERCISES)

  • 윤성영;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20-23
    • /
    • 2010
  • 마우스가드는 19세기 복싱선수들의 구강내 열상과 연조직의 외상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치과영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운동 보호 장치, 미백용 장치물, 교정용 유지 장치, 수술용 가이드 장치, 턱관절 안정 장치물 등에 쓰이고 있다. 습관적인 이 악물기에 의한 반복적인 5급 수복물의 탈락은 우선 이 악물기에 의한 스트레스를 조절한 후 수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장치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마우스가드로 치아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감소시키는 것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마우스가드를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인 탈락을 나타내는 5급 수복물의 유지에 단기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만약 환자 및 치과의사가 이 악물기로 반복적인 탈락을 나타내는 수복물로 고생하고 있다면, 마우스가드의 보조적인 사용이 치경부 수복물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소아환자에 있어서 외상방지를 위한 마우스가드의 치험례 (MOUTHGUARD FOR PREVENTING ORAL INJURIES IN CHILDREN)

  • 김경희;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37-542
    • /
    • 2005
  • 구강악안면 영역의 외상은 치아파절, 탈구, 골절, 연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진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contact sports 일부에서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의무화되어 있으나, 현재 한국에서는 운동 시 마우스가드의 장착을 거의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마우스가드는 크게 ready-made type과 custom-ma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Ready made type의 마우스가드에는 형태가 일정하고 조정이 곤란한 stock mouthguard와 다소 조정이 가능한 mouth formed mouthguard가 있다. Custommade type의 마우스가드는 적합성이 뛰어나며 정확한 교합, 하악위를 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우스가드는 입술과 구강연조직을 치아로부터 보호하고, 치아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파절이나 탈구가능성을 줄여준다. 또한, 악골의 골절과 변위를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치아손상의 30% 정도가 스포츠나 레포츠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이 경우 치아나 잇몸은 물론 성장 중인 치조골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 외상처치는 어려우며, 그 예후 또한 불명확하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의 마우스가드 장착은 외상 예방차원에서 중요하다. 이에 저자는 단국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아에게 ERKODENT$^{(R)}$사의 ERKOFORM-RVE를 이용한 흡입성형 마우스가드(vacuum type mouthguard)를 적용한 임상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다양한 물성을 혼용하여 제작된 구강보호장치가 치아 및 악골에 미치는 영향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mouthguard produced by combination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n teeth and jaw)

  • 소웅섭;이현종;최우진;홍성진;류경희;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4-332
    • /
    • 2011
  • 연구 목적: 다양한 물성의 층으로 제작된 마우스가드를 장착하였을 때 치아와 악골에 가해지는 힘의 유한요소 분석을 시행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의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한 뒤 Signature Mouthguard System (Dreve dentamid GmbH., Unna, Germany)을 이용하여 맞춤형 구강보호장치를 제작하여 장착한 후 두정부에서 경추까지 1.0 mm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영상을 Cantibio BIONI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생성한 뒤 HyperMesh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연질(Bioplast)(SG) 2. 경질(Duran)(HG) 3. 중질(Drufomat)(MG) 4. 연질+중질(SG + HG) 5. 경질 + 연질(HG + SG) 6. 연질 + 경질 + 연질(SG + HG + SG) 7. 경질 + 연질 + 경질(HG + SG + HG) 하중위치는 하악골의 전방 이부(F1), 하악 좌측 제1대구치 하방의 하악체 중앙(F2), 하악각의 전연(F3) 세점으로 하였고 FH Plane에 45도 방향으로 800N, 0.1초의 힘을 가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반복분산분석과 사후분석(다중비교분석(Multiple comparison test) DUNCAN test)을 이용하였다. SPSS 소프트웨어 (Ver.13,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치아와 상악골에서의 응력분포는 모든 하중위치에 대하여 연질층이 하악 치아에 접촉하는 구강보호장치가 적은 응력값을 나타냈으며, 과두에서의 응력분포는 모든 하중위치에 대하여 경질층이 하악 치아에 접촉하는 구강보호장치가 적은 응력값을 나타내었다. 두 연질층 사이에 경질층이 개재된 세층의 구강보호장치가 하중 시 상대적으로 고르게 응력이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하악 치아에는 연질층이 접촉하고 두 연질층 사이에 경질층을 삽입하는 형태의 구강보호장치가 악안면 외상 시 상대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데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치과의사 맞춤형 마우스가드의 제작방법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Eating-Swallowing Disorder)

  • 노관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6호
    • /
    • pp.333-338
    • /
    • 2018
  • The mouth guard is a device with elasticity to be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It has a function to reduce the trauma in the oral cavity and to protect the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from trauma. The purpose of mouth guard is to prevent trauma and concussion. It is mandatory to wear a mouthguard in sports where there is a lot of contact and the possibility of trauma or concussion in the mouth area is high. The mouse guard is divided into a stock type, a mouth formed type, and a custom made typ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custom made type is made on the individual dentition model and has excellent retention because of its excellent fit. Also, the effect of trauma prevention is excellent.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adjust by the dentist and reduce the complaint the athlete has about the mouthguard. In this article, the process of making a dentist-customized mouthguard was described.

  • PDF

Lesch-Nyhan 증후군 환아의 자해 예방을 위한 보존적 접근 : 증례보고 (A PRESERVATIVE APPROACH TO PREVENTION OF SELF-MUTILATION IN PATIENT WITH LESCH-NYHAN SYNDROME ; A CASE REPORT)

  • 강동균;김태완;김영진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52
    • /
    • 2006
  • 자해 행동으로 인하여 하순이 심하게 손상된 Lesch-Nyhan 증후군 환아를 대상으로 소아 정신과와의 협진을 통한 약물 요법과 soft mouthguard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단기간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Lesch-Nyhan 증후군 환아의 자해를 예방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발치나 교정적 수술 등의 침습적인 방법 이전에 약물치료와 장치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한 접근이 먼저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보존적 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신과 전문의와의 협진이 요구되며 환자에 대한 보호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구강 위생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 PDF

드롭 착지동작 시 마우스가드 착용이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Biomechanical Effects of Wearing Mouthguards during Drop Landing)

  • 채원식;이규복;정재광;이행섭;김동수;정재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7-35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iomechanical effect of wearing the mouthguard on the lower limb during drop landing. Nine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no musculoskeletal disorder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Linear velocity, angular velocity, vertical GRF, loading rate, joint moment,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were determined for each subject. For each dependent variab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test if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with mouthguard (WM) and without mouthguard (WOM) conditions (p<.05). The results showed that linear velocity, angular velocity, vertical GRF and loading rat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version moment of the ankle joint was increased in WM compared to WOM. Average IEMG values from BF, TA, and LG in W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rresponding values in WOM during IP phase. This indicates that wearing mouthguard played a vital role in muscle tuning for maintaining joint stability of the lower limb and preventing injury.

맞춤형 마우스가드의 효능과 실제 (Effect and Value of Custom-made Mouthguard in Athletic Performance)

  • 이성복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9호
    • /
    • pp.602-609
    • /
    • 2015
  • The aim of this document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bite balance on physical fitness and motor capacity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occlusal stability as a possible action mechanism of occlusal appliance including mouthguards on physical performances. We all remember that day when the prominent athlete was in the news wearing a mouthguard to improve human athletic performance. I once had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athletic performance in all sorts of sports. Most of the studies had over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lack of evidence to support the information. However, I discovered great expectations for new possibility in this field and settled for a more academic approach to this intriguing subject. The followings are some examples of the subject 1. Archers who wore occlusal appliances to increase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y 2~3mm increased their ability to focus and to maintain good sense of balance. Their accuracy rate has been improved. The appliance was made of acrylic resin (a type of plastic). 2. Canoe players who wore occlusal appliances to increase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y 5mm surpassed longtime competitor and won the race with 10 seconds gap. 3. A cycle rider who wore an occlusal appliance to treat his malocclusion surpassed his old record from 10.8 seconds to 10.3 seconds. His muscle reflexes (anaerobic exercise) and endurance (aerobic exercise) has been enhanced. 4. Occlusal appliances had a good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in most sports such as swimming, diving, and weightlifting. As for the clenching on dentition, people clench their teeth when they push their physical and mental limits during sports activities. Clenching can be induced by physical exertion when maximum muscle strength is retained and this is similarly found in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In addition, restraint of respiratory function is observed. Therefore, creating a occlusal balance with occlusal appliance or mouthguard promoted a favorable influence when an athlete clenches.

수종의 마우스가드에 대한 파절방지효과 비교 (Experimental Study on Fracture Protect Effect in Mouthguards)

  • 김남중;김소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38
    • /
    • 2009
  • In recent year, the population for sports has been increased and lots of wounded patients at the oral & facial portion were troubled with the accidents. So, it was needed to protect them from the sports accident, by the use of the mouthguard appliance. This study was done as ae guide for selection of the mouthguard materials. Such mouthguards classified as E.V.A., PE, silicone as material, Scheu(Germany), Tru-Tain(U.S.A.), Dreve(Germany) as companies, 1.5mm, 3.0mm, and 4.0mm as thickness and single sheet, soft double sheet, hard double sheet method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to compare the fracture protect test.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All types of mouthguards, whatever differences there are in material, production company, procedure and the thickness, were effective for fracture protect effect. 2. The most effective one for fracture protection was recommended as E.V.A. in material, and Tru-Tain in company. 3. More thick, and soft & hard multi sheets productions were more effective for fracture prot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