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immune cells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36초

SOCS3 Attenuates Dexamethasone-Induced M2 Polarization by Down-Regulation of GILZ via ROS- and p38 MAPK-Dependent Pathways

  • Hana Jeong;Hyeyoung Yoon;Yerin Lee;Jun Tae Kim;Moses Yang;Gayoung Kim;Bom Jung;Seok Hee Park;Choong-Eun Lee
    • IMMUNE NETWORK
    • /
    • 제22권4호
    • /
    • pp.33.1-33.17
    • /
    • 2022
  • Suppressors of cytokine signaling (SOCS) have emerged as potential regulators of macrophage function. We have investigated mechanisms of SOCS3 action on type 2 macrophage (M2) differentiation induced by glucocorticoid using human monocytic cell lines and mous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Treatment of THP1 monocytic cells with dexamethasone (Dex) induced ROS generation and M2 polarization promoting IL-10 and TGF-β production, while suppressing IL-1β, TNF-α and IL-6 production. SOCS3 over-expression reduced, whereas SOCS3 ablation enhanced IL-10 and TGF-β induction with concomitant regulation of ROS. As a mediator of M2 differentiation, glucocorticoid-induced leucine zipper (GILZ) was down-regulated by SOCS3 and up-regulated by shSOCS3. The induction of GILZ and IL-10 by Dex was dependent on ROS and p38 MAPK activity. Importantly, GILZ ablation led to the inhibition of ROS generation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induction by Dex. Moreover, GILZ knock-down negated the up-regulation of IL-10 production induced by shSOCS3 transduction. Our data suggest that SOCS3 targets ROS- and p38-dependent GILZ expression to suppress Dex-induced M2 polarization.

Obesity Exacerbates Coxsackievirus Infection via Lipid-Induced Mitochondrial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 Seong-Ryeol Kim;Jae-Hyoung Song;Jae-Hee Ahn;Myeong Seon Jeong;Yoon Mee Yang;Jaewon Cho;Jae-Hyeon Jeong;Younggil Cha;Kil-Nam Kim;Hong Pyo Kim;Sun-Young Chang;Hyun-Jeong Ko
    • IMMUNE NETWORK
    • /
    • 제22권2호
    • /
    • pp.19.1-19.20
    • /
    • 2022
  • Coxsackievirus B3 (CVB3) infection causes acute pancreatitis and myocarditis. However, it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is unclear. Here, we investigated how lipid metabolism is associated with exacerbation of CVB3 pathology using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with 1×106 pfu/mouse of CVB3 after being fed a control or HFD to induce obesity. Mice were treated with mitoquinone (MitoQ) to reduce the level of mitochondrial ROS (mtROS). In obese mice, lipotoxicity of white adipose tissue-induced inflammation caused increased replication of CVB3 and mortality. The coxsackievirus adenovirus receptor increased under obese conditions, facilitating CVB3 replication in vitro. However, lipid-treated cells with receptor-specific inhibitors did not reduce CVB3 replication. In addition, lipid treatment increased mitochondria-derived vesicle formation and the number of multivesicular bodies. Alternatively, we found that inhibition of lipid-induced mtROS decreased viral replication. Notably, HFD-fed mice were more susceptible to CVB3-induced mortality in association with increased levels of CVB3 replication in adipose tissue, which was ameliorated by administration of the mtROS inhibitor, MitoQ.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ROS inhibitors can be used as potential treatments for CVB3 infection.

활성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및 자외선 유도 마우스 피부손상의 개선에 대한 새송이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 against inflammation in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mice)

  • 조병옥;윤홍화;이현서;추정임;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6
    • /
    • 2017
  • 본 연구는 먼저 새송이버섯 추출물인 PEE가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PEE를 처리했을 때 5과 15 mg/mL 등 높은 농도에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가 유도하는 $IL-1{\beta}$와 IL-6는 5 mg/mL 농도에서는 억제 없었으나, 15 mg/mL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은 UVB가 유도하는 C57BL/6 마우스 피부손상에 대한 PEE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EE를 7일간 경구투여한 후 7일, 10, 13일 등 3일 간격으로 하루에 1회씩 UVB ($250mJ/cm^2$)로 마우스 등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UVB 조사 후부터는 PEE를 경구투여와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PEE가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E 투여군은 UVB로 유도되는 표피두께, 홍반지수 및 멜라닌 지수가 참고약물로 사용한 비타민 C(AA) 투여군과 유사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PEE 투여군은 UVB가 유도하는 비만세포를 비롯한 염중세포 침윤이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PEE는 항염증 효과와 더불어 UVB가 유도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이 LPS가 유도된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김창현;이미애;김태운;장자영;김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45-1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은 다양한 농도의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다양한 농도에서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생성양 역시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각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기작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수행과 활성물질의 동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대식세포 유래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성 매개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방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수은의 세포면역독성과 이에 대한 아연의 방어효과 및 기전 (A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and Its Mechanism of Zinc against Immuno-cytotoxicity of Methylmercury)

  • 고대하;염정호;오경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2-91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protective effect of zinc chloride(ZnCl$_2$) and its mechanism against the immuno-cytotoxicity of methylmercury chloide($CH_3$HgCl). This study was observed in the culture of EMT-6 cells which are originated from mammary adenocarcinoma of Balb/c mouse. Cytotoxicity of metals was measured by cell viability and NO$_2$$^{[-10]}$ , and mitochondrial function was evaluated by adenosine triphosohate (ATP) production. $CH_3$HgC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ythesis of nitric oxide(NO), ATP and glutathione(GSH) in a dose-dependent manner. ZnCl$_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ynthesis of GSH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synthesis of NO and ATP were not changed. The immuno-cytotoxicity of $CH_3$HgCl was not fully protected when combined addition of ZnCl$_2$, whereas ZnCl$_2$ prior to addition of $CH_3$HgCl completly protected the Hg-induced immuno-cytotoxicity. Similarly,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mercury significantly decreased by ZnCl$_2$. Degree of diminution of intracellular mercury was larger in ZnCl$_2$ prior to addition of $CH_3$HgCl than in combined addition of ZnCl$_2$ and $CH_3$HgCl.. Dithiothreitol(DTT) or buthionine sulfoximine(BSO) addition at 50$\mu$M or less, which was not toxic to the cells, did not affect synthesis of NO and ATP. DTT increased intracellular GSH level and DTT pretreatment protected toxicity induced by $CH_3$HgCl as shown complete recover in the NO and ATP values. BSO decreased intracellular GSH level and BSO pretreatment exaggerated toxicity induced by $CH_3$HgCl as shown synergistic reduction in the NO and ATP valu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zinc against immuno-cytotoxicity of methylmercury associated with increasing cellular level of GSH. Increased intracellular GSH transports methylmercury to out of cells. In accordance with intracellular level of mercury decreased, immuno-cytotoxicity of methylmercury decreased. These result also suggest that the protective mechanism of zinc against the mercury toxicity would be exerted in the immune system in vivo.

  • PDF

A Novel Therapeutic Effect of a New Variant of CTLA4-Ig with Four Antennas That Are Terminally Capped with Sialic Acid in the CTLA4 Region

  • Piao, Yongwei;Yun, So Yoon;Kim, Hee Soo;Park, Bo Kyung;Ha, Hae Chan;Fu, Zhicheng;Jang, Ji Min;Back, Moon Jung;Shin, In Chul;Won, Jong Hoon;Kim, Dae Ky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6호
    • /
    • pp.529-539
    • /
    • 2022
  •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multifactorial immune-mediated disease, the pathogenesis of which involves different cell types. T-cell ac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 Therefore, inhibiting T-cell activation is one of the current therapeutic strategies. Cytotoxic T-lymphocyte antigen 4-immunoglobulin (CTLA4-Ig), also known as abatacept, reduces cytokine secretion by inhibiting T-cell activation. To achieve a homeostatic therapeutic effect, CTLA4-Ig has to be administered repeatedly over several weeks, which limits its applicability in RA treatmen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increased the number of sialic acid-capped antennas by genetically engineering the CTLA4 region to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of CTLA4-Ig. N-acetylglucosaminyltransferase (GnT) and α2,6-sialyltransferase (α2,6-ST) were co-overexpressed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to generate a highly sialylated CTLA4-Ig fusion protein, named ST6. The therapeutic and immunogenic effects of ST6 and CTLA4-Ig were compared. ST6 dose-dependently decreased paw edema in a mouse model of collagen-induced arthritis and reduced cytokine levels in a co-culture cell assay in a similar manner to CTLA4-Ig. ST6- and CTLA4-Ig-induced T cell-derived cytokines were examined in CD4 T cells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fter cell killing through irradiation followed by flow- and magnetic-bead-assisted separation. Interestingly, compared to CTLA4-Ig, ST6 was substantially less immunogenic and more stable and durable. Our data suggest that ST6 can serve as a novel, less immunogenic therapeutic strategy for patients with RA.

톨트라주릴 합성유도체,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근육 주사에 따른 넙치의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활성 검사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toltrazuril derivative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 박상협;김정의;도정완;김아란;김이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12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 주사 투여에 따른 넙치 비장의 NK cell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20, 150, 200 mg/kg 용량으로 설정하고 3일에 1회, 30일 동안 총 10회의 주사를 투여하였다. 표적세포(Target cell)로는 쥐의 임파종 세포인 YAC-1 cell과 넙치의 HINAE cell을 사용하였고, 넙치 비장의 NK cell과의 공배양 시간은 4시간과 18시간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YAC-1 cell을 사용하여 실험의 경우 4시간과 18시간 공배양 실험 모두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대조군 대비 최대 3.06배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HINAE cell을 사용한 실험의 경우 4시간 공배양한 실험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YAC-1 cell과 마찬가지로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보여 대조군 대비 2.3배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넙치의 두신 조직에서 IL-12b의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 실험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 200 mg/kg 용량 구간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을 보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6.62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N-(4-(4-Fluorophenoxy)-3-methylphenyl) acetamide가 넙치의 NK cell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존된 동종동맥편 조직의 면역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Immunogenicity of Preserved Aortic Allograft)

  • 전예지;박영훈;강영선;최희숙;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173-1181
    • /
    • 1996
  • 동종동맥판의 보존기법이 발전하면서 상당한 정도의 생육성이 보존되며, 특히 면역반응의 주된 요인인 내피세포 생육성이 약 50%이상 보존되기 때문에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 내피세포의 면역능력을 평가하는것이 동종동맥판의 임상적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필요할 것이다. 실험은 200~250gm의 Sprague-Dawley Rat를 사용하였다. Rat로부터 적출한 동맥벽을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장보존법과 냉동보존법을 사용하여 2주일간 보존하였으며 보존처리전(No treat)과 멸균처리후(sterile),냉장 보존후 1(1day), 2(2day), 7(7day), 14일째(14day), 2주간의 냉동보존후(cryo)에 표본을 채취하여 보존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면역표현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혈관조직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분리한 뒤 면역조직화학검사(Immunohistochemical study)를 하였다. 혈관내피세포의 항원 표현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anti-MHC class I antibody(MRC OX-18)과 anti-MHC class II antibody(MRC OX-6), anti-ICAM antibody를 사용하였다. 처리된 내피세포를 Flow cytomwtry로 분석하여 항체가 부착된 내피세포의 비율을 알아냄으로써 내피세포의 항원성(antigenic expression)을 조사하였다. 또한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에 의한 생체내에서의 면역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존처리전(No treat), 멸균처리 후 2일 보존후(2 day), 7일 보존후(7 day), 14일 보존 후(14 day), 냉동보존(cryo)된 동종동맥판을 Mouse에 이식한 후 일정기간(1, 2, 3, 4, 6, 8주)이 경과된 시점에서 혈중의 CD4$^{+}$, CD8$^{+}$ T cell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Mouse의 미정맥에서 채취한 혈액에 monoclonal antibody를 처리한 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lymphocyte중의 CD4$^{+}$, CD8$^{+}$ T cell 비율을 측정하였다. 내피세포의 MHC Class 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23.95%였고, sterile에서 48.08%로 증가한 뒤 14day 까지 36.02%로, cryo에서도 35.53% 로 증가되어 있었다(p=0.0183). MHC Class I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9.72%, sterile에서 10.13%이였고 14day 에서 10.27%, cryo 에서 13.39% 였다(P=0.1599). ICAM-1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15.02%, sterile에서 19.85%였고, 14day에서 35.33%, cryo에서 34.67% 로 증가하였다(P=0.001). 정상 Mouse에서 CD4$^{+}$, CD8$^{+}$ T-cell분포는 각각 42.13%, 25.57% 였고 CD4$^{+}$/CD8$^{+}$ ratio는 1.64였다. 동종동맥을 이식받은 Mouse의 정맥혈중 CD4$^{+}$ T-cell분포는 No treat군에서 1주에서 8주사이에 49.23% 에서 36.8%사이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p=0.955), 2 day군에서는 30.36%로 감소하였고(p=0.0001), 7day군에서는 32.8%로 감소하였고(p=0.008), 14 day 군은 26.92%로 감소(p=0.0001), cryo군은 29.56%로 감소하였다(p=0.0018). CD8$^{+}$T-cell은 모든 군에서 1주에서 8주 사이에 42.32%에서 58.92%사이로 증가하였다(p=0.0001~0.0002). CD4$^{+}$/CD8$^{+}$ ratio는 모든 군에서 1주에 1.22 에서 2.28 사이에 있었으나 8주후에는 모든 군에서 0.47에서 0.95 사이로 감소하였다(p=0.0001). 즉,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의 내피세포는 보존처리과정의 초기에는 MHC class I과 II항원효과를 동시에 보이고, 보존기간이 길어지면서 MHC class II항원효과는 변함이 없으나 MHC class I 항원효과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CD4$^{+}$ T-cell은 보존처리 기간 중 소폭의 변환를 보임에 반하여 CD8$^{+}$ T-cell은 보존처리된 기간에 관계없이 이식된 후 8주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4$^{\circ}C$에 냉장보존한 군과 냉동보존한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볼 때 동종동맥판을 체내에 이식할 경우 내피세포에 의한 MHC class I 항원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PDF

당귀음자(當歸飮子)와 삼황세제가미방(三黃洗齊加味方) 병용이 NC/Nga 아토피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ggwieumja Administration along with Samhwangseje-gamibang on NC/Nga Atopic Mice)

  • 송성필;손대범;황치환;송승현;황충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210-1218
    • /
    • 2007
  • Recently Atopic Dermatitis(AD) is increasing along with allergic disease. At present, there is no infallible cure for AD. Then AD patients undergo great suffering.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ee whether or not the administering Danggwieumja(DG) along with Samhwangseje-gamibang(SG} as a medicine for external aplication, is effective in treating atopic dermatit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bove prescription, the author made an observation of diverse immune responses. through the model of NC/Nga atopic mice. Results provided evidence that the DG administration along with SG can be used as a treatment means to atopic dermatit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tent of Clinical skin severities in 13 and 16 week old NC/Nga mice treated with DG and SG, were reduced by 50.9%, 53.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NC/Nga mice with no drug treatment. IgE, IL-4, IL-5, IL-6, IgM and IgG1 levels in the serum of the NC/Nga mice treated with DG and S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mice. In contrary, to the $IFN-{\gamma}$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leen weight of the NC/Nga mice treated with DG and SG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mice. CCR3 gene expression in the skin tissue of NC/Nga mice treated with DG and SG were highly decreased, and the IL-6 ex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IFN-{\gamma}$ gene expression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mic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ear and dorsal skin tissue of the NC/Nga mice treated with DG and SG, showed that the extents of inflammation and infiltrated immune cells in the epidermal tissue and dermis, were highly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mice. In the model inducing COX-2 activity in RAW 264.7 cell, the denser DG became, the more COX-2 activity was inhibit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IL-1{\beta}$, and $TNF-{\alpha}$, IL-6 gene expression in RAW 264.7 cell with DG,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ssessment of cell toxicity in L929 cell, the rate of cell multiplication increased by 3% in consistency to 100ppm of DG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nd in more than the 200 ppm consistency, cell toxicity was occurred.

간흡충 항원에 의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아형 특성 (Flow Cytometric Characteriza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Mice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 Yong-Suk Ryang;In-Soon Shin;Yung-Kyum Ah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0
    • /
    • 1996
  • 최근 세포 표면의 다양한 항원들이 발견되고T세포 아형에 대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세포성 면역기전의 규명과 이해에 획기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다. T세포 아형의 phenotype은 실험 동물의 모델(model)이나 종(species)에 따라서 다양하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아직도 80만명 이상의 국민이 간 흡충에 감염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제의 기생충이며 감염상태가 만성적일 때에는 간 경화나 간암으로까지 진행되는 흡충으로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간 흡충의 면역에 대한 연구는 체액성 면역에 대한 연구는 많은 규명과 진전이 있어 왔으나 세포성 면역에 대한 기전이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마우스를 실험 모델로 할 때에 요구되는 참고 자료와 기본 정보를 구하고자 하였다. 즉, 간흡충에 대한 세포 면역학적인 일부의 특성을 알아 보았으며,특히 비장 림프구 아형에 대한 phenotype의 특성을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복강 투여한 후 기간 별로 비장 림프구의 아형 특성을 flow cytometry로 측정한 결과, CD2, CD5 그리고 CD8는 투여 초기에는 감소하다가 투여 7주 후에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CD4의 경우 투여 초기에는 약간 증가하다가 투여 7주 후에 다시 증가하는 성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