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 Putu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Ferrying to the Other Shore: Silla Seafarers and Avalokiteśvara Faith in the East Asian Maritime World

  • Erika Erzsebet VOROS
    • Acta Via Serica
    • /
    • 제8권2호
    • /
    • pp.125-154
    • /
    • 2023
  • Historically, commer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which is especially manifest in the cult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conographic and textual evidence testifies that maritime trade on the Indian Ocean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the formation of Avalokiteśvara worship. The sea was also a major conduit through which elements of the Avalokiteśvara faith were transmitted from India through China to Korea and Japan, the easternmost ends of the Silk Road. These elements include Avalokiteśvara's role as a maritime savior, oceanic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the bodhisattva's worldly abode, Potalaka. Cultic sites dedicated to maritime safety were established at important transport hubs in East Asia. Due to China's strategic location on the Silk Road, as well as its cultural influence, the most important cultic sites were founded in China, first on the Shandong Peninsula, then in the southern Jiangnan region, in present-day Zhejiang Province. Especially notable is the role that Korean seafarers played in this process by assisting monks in search of the Dharma, establishing temples, and transmitting religious beliefs across the ocean.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role that maritime figures played in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examined through Avalokiteśvara faith. By this, it aims to demonstrate how Korean seafarers inherited and continued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merce and Buddhism, while extending the Maritime Silk Road to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당·송대 항주지역의 관음신앙 (Guanyin Faith in the Hangzhou Area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 김성순
    • 대순사상논총
    • /
    • 제46집
    • /
    • pp.123-152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관음신앙이 중국불교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항주지역 불교계를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관련된 교의와 실천을 구조화하고, 이를 수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항주지역은 운하를 활용한 상업과 해상무역으로 축적된 부로 인해 불교교단들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송대에 이르러 선종교단이 왕성했다. 항주 천태교단의 지의(天台智顗)는 관음 관련 경전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청관음경소(請觀音經疏)』를 저술하고, 천태교학과 관음사상을 융합하여 '청관음참법(請觀音懺法)'을 체계화했다. 또한 자운준식(慈雲遵式)은 관음참법을 대중들의 수준에 맞게 일상의 의례로 재생산한 '청관음참(請觀音懺)'을 정비했다. 북송대 항주지역의 선종 교단인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는 그의 저술 『지각선사자행록(智覺禪師自行錄)』을 통해 관음신앙을 '108事'라는 일상의 작은 수행 안에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국불교에서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승려를 보살의 화신으로 숭배하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십일면관음보살로 믿어졌던 남조 제량(濟涼)의 보지(寶誌)화상이 바로 그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항주지역의 천태교단과 선종교단의 승려들은 이러한 신이승(神異僧)의 관음화현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대중들에게 인기 있는 관음신앙을 통해 신도들을 흡수하려 했던 송대 불교의 일면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