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e of SN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SNS 광고속성이 광고호감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이용동기 및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 비교 (The Impact of SNS Advertising Attribute on Advertising Like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Use Motive and Use Intensity of SNS)

  • 김화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5-163
    • /
    • 2020
  • 본 연구는 SNS 광고에 있어 SNS 이용동기 및 이용강도에 따라 광고속성 요인들이 광고호감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SNS 이용동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인간관계 관리의 이용동기 이용자에서는 광고내용의 신뢰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광고의 흥미적 요소인 오락성도 중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심사 정보공유의 이용동기 이용자에서는 SNS 이용에 대한 광고의 방해성이 가장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광고의 정보제공력을 나타내는 정보성이 긍정적인 중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이용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높은 이용강도의 이용자에서는 광고내용의 신뢰성과 정보성이 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낮은 이용강도의 이용자에서는 광고의 방해성이 가장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 요인들은 작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SNS의 이용행태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SNS 광고의 중요 요소를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조규영;김윤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38-11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to develop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63 university students in B & K cities from 2 to 19 September, 2013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of SNS addiction were average using time daily in weekend(${\beta}=.116$, p=.003), SNS using time per connect(${\beta}=.156$, p=<.001), communication motive(${\beta}=.214$, p<.001), non-loneliness motive(${\beta}=.114$, p=.010), social capital(${\beta}=.127$, p=.001), psychological problems(${\beta}=.381$,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4.2% of the variance in SNS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NS addiction for health pro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청년층 직장인의 SNS 이용동기에 따른 사용시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Determinants of SNS Use Time Depending on SNS Motive in Youth Workers)

  • 옥지호;박용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47-158
    • /
    • 2017
  • SNS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SNS의 이용동기가 복수임을 밝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SNS 이용동기를 결정하는 선행 변수를 규명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의 10차년도 조사(2013년)부터 12차년도 조사(2015)를 통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SNS 이용동기를 정보 교류, 친목/인맥 관리, 재미 추구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결정요인으로 이용자의 직장관련 요인, 인구통계적 요인, 건강 및 심리상태, 성격 요인 등을 구분하여 탐색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용동기가 정보 교류일 때, 성별, 건강 상태, 성격 중 외향성과 성실성이 영향을 주었다. 이용동기가 인맥 관리일 때, 직장 규모, 교육, 건강생태, 주관적 행복, 직무만족도, 신경성, 친화성이 영향을 주었다. 이용동기가 재미 추구일 때, 외국계 기업 여부, 자녀 유무,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 직장인들의 SNS 이용패턴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확장하여 관련 연구 및 유관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The Affective/Cognitiv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age Motiva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21-39
    • /
    • 2012
  • 본 연구는 이용-충족이론의 관점에서 SNS 이용동기에 관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이용동기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이용과정을 통해 형성된 관여도가 만족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간의 이용동기, 감정적/인지적 관여, 만족의 형성구조를 비교하여 성별 차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방적식모형을 설정하고 SNS 이용경험이 있는 306명의 데이터를 Lisrel로 분석하였다.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가 감정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에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기위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는 정보추구동기, 오락적동기, 자아표현동기가 높은 경우에 감정적 관여가 높아지며, 오락적동기가 높은 경우만 인지적 관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적동기와 오락적동기가 감정적 관여와 인지적 관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으로 이어졌고,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는 감정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SNS 선물하기에서 친교욕구의 형성 및 그 영향력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Impact of Online Friendship Desire in SNS Gifting)

  • 이주영;이소현;김희웅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7-128
    • /
    • 2014
  • From old times, companies have created profits by developing business models utilizing their friendship with customers, so the relationships can be connected to the activity giving a gift. This activity of giving a gift is developed as the service of giving gifts via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s the use of SNS and smart phones is recently increased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set the online friendship desire and the SNS gift convenience as the intrinsic motive and the extrinsic motive of the SNS gift behavior, respectively.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interactivity's sub factors influenced on the online friendship desire/SNS gift convenience by reorganizing the interactivity's sub factors in the mobile contex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edness, the synchronicity and play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online friendship desire for the SNS gift convenience, the only connectedness positively influenced on it.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SNS gift convenience and the online friendship desi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SNS gift intention.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by focusing on the friendship desire in relation to the SNS gift. Besid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nline friendship desire and the SNS gift convenience will have to be considered as providing any SNS gift service, and that is expected to create knowledge for SNS business model to companies.

  • PDF

SNS 이용동기와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Addiction and Usage Motiva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Tie)

  • 노미진;장성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99-122
    • /
    • 2016
  •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의 활성화로 정보공유나 의사소통이 활발해지면서 SN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SNS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새로운 매체의 이용 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인 이용과 충족이론을 기반으로 SNS 이용 동기를 살펴본다. SNS 이용 동기를 감정적 동기와 인지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용 동기와 SNS 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감정적 동기는 SNS에 대한 오락성과 환상으로 구분하고 인지적 동기는 SNS에서의 정보 부담과 시스템 사용 부담으로 살펴한다. SNS 중독은 시간적 내성, 금단 불안, 중단 실패, 생활 장애로 구분하였으며 SNS 중독과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SNS 특성인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다.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8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결과를 보면, 감정적 동기인 오락성과 환상은 SNS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동기인 정보 부담과 시스템 사용 부담도 SNS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SNS 중독은 주관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대감에 따라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사용자와 SNS 관련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actors affecting social commerce acceptance - Perceived risk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se -

  • Park, Hansil;Babicheva, Eva;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4호
    • /
    • pp.547-562
    • /
    • 2018
  • As social media penetrates more deeply into people's everyday lives, social commerce (a type of commerce that combines SNS features and possibility for commercial transactions) has enjoyed unprecedented growth. Shopping on Facebook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ocial commerce platform that allows consumers to interact with other users, exchange information and purchase products without leaving a Facebook page. Social commerce presents great opportunities for marketers in terms of leveraging social aspects of shopping experience. It also offers a large potential for Korean companies to reach various target markets, as well as establish their presence abroad. Yet, acceptance of social commerce as a legitimate shopping channel has been slow, and consumers are still hesitant to shop via Facebook. This study draws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d the concept of perceived risk to examine how different motives for SNS use and the associated types of perceived risks can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n the platform. Empirical data from 288 young users of Facebook were analyzed. Findings identified two main motives for SNS use: information-related motive and communication-related motive. Information-related moti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shop on Facebook, whereas communication-related motiv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Risks associated with shopping via Facebook included delivery risk, security risk, social risk and economic risk. Overall, consumers perceived a higher level of security and social risk associated with shopping on Facebook. However, only social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Awareness and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via social commerce platform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외식소비자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활용 동기에 관한 연구 (Motiv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age of Restaurant Customers)

  • 신서영;차성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8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SNS 활용 동기 요인이 외식 관련 SNS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표본은 인터넷 사용인구분포를 고려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 지역에 대해 할당표집하였고 총 273명의 자료를 PASW Statistics 18.0, AMOS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지수는 ${\chi}^2$=287.558(df=155) p<.000, CMIN/df=1.855 GFI=0.905 NFI=0.887, IFI=0.944, TLI=0.931, CFI=0.943, RMSEA=0.056, RMR=0.025 으로 최적모형이 도출되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 소비자의 SNS 활용 동기 중 기능적 동기와 오락적 동기는 SNS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에 대한 태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 소비자의 경우 SNS의 정보 제공 기능과 오락적 특성은 SNS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이는 외식 관련 SNS를 계속 사용하게 하는 요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식기업에서 소비자에게 효용을 주는 SNS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NS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NS Flow on Sociality)

  • 이승호;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45
    • /
    • 2018
  •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 online service called SNS(social network service) has emerged, and a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began to use SNS,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NS. SNS is an important factor for adolescents who are developing social skills that help them to adapt to the society, and for adults who are stepping into the socie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self-disclosure, interaction, and playfulness, all of which are motivational factors for SNS use, on flow in SN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degree of these variables influence according to flow in SNS and individual's personal nature(extrovert, introver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search, self-disclosure, interaction, and playful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low in SNS, and flow in SN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kills. The degree of influence vari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ersonal nature(extrovert, introvert). These findings may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researchers studying SNS, SNS managers, and company officials using SNS.

A Customer Value Theory Approach to the Engagement with a Brand: The Case of KakaoTalk Plus in Korea

  • So-Hyun Lee;ji-eun Lee;Hee-Woong K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8권1호
    • /
    • pp.36-60
    • /
    • 2018
  • A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gained access to social network services (SNS), organizations started to use SNS as a channel for marketing and promotional purposes. The online advertising market has significant growth potential. Brand engagement is a key motive for online advertising, but how SNS users engage with brand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organizations, i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uses customer value theory to examine brand engagement of users in terms of promoting companies in the context of Korean SNS market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antecedents of brand engagement based on customer value theory. Our findings show the significance of three factors of SNS marketing, namely, price discount, relationship support, and convenience, on brand engagement. We further show the consequences of brand engagement, namely, purchase decisions and word-of-mouth activities. These findings help advance customer value theory and offer practical insights into the use of information systems and marketing in the context of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