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on in Depth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36초

가변 블록크기의 신축 움직임 추정 방법 (Zoom Motion Estimation Method Using Variable Block-Size)

  • 권순각;장원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16-924
    • /
    • 2014
  • 가변 블록크기를 적용하면 영상의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신축 움직임 추정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 블록크기로 신축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깊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깊이 정보로부터 영상의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고, 객체에 대해서만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신축을 적용하며, 배경은 신축을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객체영역에는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와 발생되는 움직임 벡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변블록 크기 모드가 선택된다. 모의실험을 바탕으로 제안된 방법의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와 움직임 벡터수를 측정하였으며, 기존 신축 움직임 추정 방법에 비하여 동일한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움직임 벡터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Depth layer partition을 이용한 2D 동영상의 3D 변환 기법 (3D conversion of 2D video using depth layer partition)

  • 김수동;유지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4-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depth layer partition을 이용한 2D 동영상의 자동 3D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먼저 2D 동영상의 장면 전환점을 검출하여 각각의 프레임 그룹을 설정하여 움직임 연산 과정에서의 오류 확산을 방지하여 깊이맵(depth map) 생성과 정에서 오차를 줄여준다. 깊이정보는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되는데 하나는 영역 분할과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맵을 추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edge directional histogram)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는 depth layer partition 과정을 수행한 후 생성된 두 개의 깊이맵을 원 영상에 최적이 되도록 병합하게 된다. 제안된 기법으로 신뢰도 높은 깊이맵과 결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다양한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효율적인 컴퓨터 비전 시스템을 위한 깊이 영상 안정화 방법의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Depth Image Stabilization Method for Efficient Computer Vision System)

  • 김근준;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05-1810
    • /
    • 2015
  • 깊이 영상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깊이 센서를 활용하고 있다. 컴퓨터 비전의 모션인식 분야에서도 깊이 영상을 이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모션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깊이 센서는 노이즈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이즈는 모션 인식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노이즈를 억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깊이 센서에서 입력되는 깊이 영상에 시간 영역과 공간 영역에서 안정화를 수행함으로써 깊이 영상을 안정화하는 하드웨어를 제안한다. 바닥 제거 알고리즘에 깊이 영상 안정화를 적용하여 노이즈를 억제한 깊이 영상 안정화가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구현한 하드웨어를 FPGA와 APU를 이용해 실시간 동작을 확인하였으며 설계한 하드웨어는 최대 202.184M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방법 (Motion Estimation Method by Using Depth Camera)

  • 권순각;김성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76-683
    • /
    • 2012
  • 동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은 구현 복잡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카메라와 색상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의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깊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로 동영상내 객체 정보를 얻고, 비슷한 거리에 있는 화소들을 그룹화하여 동일한 객체로 라벨링을 수행한다. 라벨링된 현재 및 참조 화면내에서 움직임 추정 블록을 세부분(배경, 객체내부, 경계)의 탐색영역으로 구분하여 적응적으로 판단한다. 현재 블록이 객체내부영역이면 참조 화면에서 객체내부영역에만 움직임 추정을 탐색하고, 배경영역이면 블록은 참조 화면에서 배경영역에만 탐색한다. 모의실험을 바탕으로 전역탐색방법에 비하여 제안된 방법은 움직임 추정 차신호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탐색 복잡도가 크게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다.

유한수심(有限水深)의 해상(海上)에서 규칙파(規則波)에 놓인 구(球)의 운동특성(運動特性) (On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a Freely-Floating Sphere in a Water of Finite Depth)

  • 최항순;이성균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1982
  • Herein the motion of a freely-floating sphere in a water of finite depth is analysed within the framework of a linear potential theory. A velocity potential describing fluid motion is generated by distributing pulsating sources and dipoles on the immersed surface of the sphere, without introducing an inner flow model. The potential becomes the solution of an integral equation of Fredholm's second type. In the light of the vertical axisymmetry of the flow, surface integrals reduce to line integrals, which are approximated by summation of the products of the integrand and the length of segments along the contour. Following this computational scheme the diffraction potential and the radiation potential are determined from the same algorithm of solving a set of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Upon knowing values of the potentials hydrodynamic forces such as added mass, hydrodynamic damping and wave exciting forces are evaluated by the integrating pressure over the immersed surface of the sphere. It is found in the case of finite water depth that the hydrodynamic forces are much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ones in deep water. Accordingly motion response of the sphere in a water of finite depth displays a particular behavior both in a amplitude and phase.

  • PDF

유한수심(有限水深)의 해상(海上)에서 규칙파(規則波)에 놓인 구(球)에 작용(作用)하는 표류력(漂流力)(I) -운동량(運動量) 이론(理論) 방법(方法)- (Drift Forces on a Freely-Floating Sphere in Water of Finite Depth(I) -Momentum Theorem Method-)

  • 최항순;오태명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40
    • /
    • 1983
  • The drift force acting on a freely-floating sphere in water of finite depth is studied within the framework of a linear potential theory. A velocity potential describing fluid motion is determined by distribution pulsating sources and dipoles on the immersed surface of the sphere. Upon knowing values of the potential, hydrodynamic forces are evaluated by integrating pressures over the immersed surface of the sphere. The motion response of the sphere in water of finite depth is obtained by solving the equation of motion. From these results, the drift force on the sphere is evaluated by the momentum theorem, in which a far-field velocity potential is utilized in forms of Kochin function. The drift force coefficient Cdr of a fixed sphere increases monotononically with non-dimensional wave frequency ${\sigma}a$. On the other hand, in freely-floating case, the Cdr has a peak value at ${\sigma}a$ of heave resonance. The magnitude of the drift force coefficient Cdr in the case of finite depth is different form that for deep water, but the general tendency seems to be similar in both cases. It is to note that Cdr is greater than 1.0 when non-dimensional water depth d/a is 1.5 in the case of freely-floating sphere.

  • PDF

컬러, 움직임 정보 및 깊이 카메라 초기 깊이를 이용한 분할 영역 추출 및 스테레오 정합 기법 (A Novel Segment Extraction and Stereo Matching Technique using Color, Motion and Initial Depth from Depth Camera)

  • 엄기문;박지민;방건;정원식;허남호;김진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2C호
    • /
    • pp.1147-115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분할 영역기반 스테레오 정합에 있어서 분할 영역 추출시 컬러 외에 깊이 카메라의 초기 깊이, 프레임 간 분할 영역의 움직임 정보를 같이 이용한 분할 영역기반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깊이 카메라의 초기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영상의 객체/배경 분리를 먼저 수행하고, 분리된 객체/배경별로 컬러 영상 분할을 수행하여 분할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분할 영역기반 깊이 정보 추출에 있어 프레임 간 깊이 정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객체/배경 분리 정보, 분할 영역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다. 실험결과에서, 제안한 기법은 컬러 정보만을 이용한 기존의 분할 영역 추출 및 분할 영역 기반 스테레오 정합 기법에 비해 정적배경 영역에서 특히 분할 영역 추출과 깊이 정확도가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거리 측정 센서의 위치와 각도에 따른 깊이 영상 왜곡 보정 방법 및 하드웨어 구현 (Depth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ngle of Depth Sensor and Its Hardware Implementation)

  • 장경훈;조호상;김근준;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03-1109
    • /
    • 2014
  • 디지털 영상 처리 분야에서 사람의 동작 인식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깊이 영상을 이용한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깊이 측정 센서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깊이 영상에서의 객체 크기나 형태가 왜곡되므로 사물 및 사람의 인식 과정에서 인식률이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뛰어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측정 센서에 의한 왜곡 보정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 인식 시스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깊이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깊이 정보를 실제 공간 (Real World)으로 변환하여 왜곡 보정을 수행한 후 투영 공간 (Projective World)으로 변환한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시스템을 OpenCV와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Kinect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또한, Verilog-HDL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Xilinx Zynq-7000 FPGA Board에 탑재하여 검증하였다.

인체 깊이 정보를 이용한 댄스 학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ance Learning System Using Human Depth Information)

  • 김예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27-1633
    • /
    • 2017
  • 인체의 댄스 학습은 실제로 수업을 참여하지 않고는 복잡하고 연속적인 신체 움직임으로 이루어진 전문가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따라 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 깊이 정보를 이용한 댄스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마커 프리 동작 갭쳐를 활용하여 댄스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예제 동작들을 갭쳐하고, 온라인 댄스 레슨에 사용하기 위해 동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학생은 타블렛이나 키오스크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고, 학습한 후 자신의 동작을 온라인 피드백을 받기 위해 강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학습 과정에서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학생과 강사가 효율적으로 동작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빠르게 동작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과 다중 모드 화면을 제공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학생들의 댄스 스킬을 주어진 시간 안에 향상시킬 수 있다.

CALOS : 주행계 추정을 위한 카메라와 레이저 융합 (CALOS : Camera And Laser for Odometry Sensing)

  • 복윤수;황영배;권인소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80-187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new sensor system, CALOS, for motion estimation and 3D reconstruction. The 2D laser sensor provides accurate depth information of a plane, not the whole 3D structure. On the contrary, the CCD cameras provide the projected image of whole 3D scene, not the depth of the scen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e combine these two types of sensors, the laser sensor and the CCD cameras. We develop a motion estimation scheme appropriate for this sensor system. In the proposed scheme, the motion between two frames is estimated by using three points among the scan data and their corresponding image points, and refined by non-linear optimization. We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by 3D reconstruction using real imag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 practical solution for motion estimation as well as for 3D recon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