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on Estimation

검색결과 1,812건 처리시간 0.037초

인체 머리부 6 자유도 운동 측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가속도계 감도축의 옵셋(offset) 추정 (Estimation of Sensitivity Axis Offset of an Accelerometer for Accurate Measurement of the 6 DOF Human Head Motion)

  • 이정훈;김광준;장한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9호
    • /
    • pp.905-912
    • /
    • 2008
  • Notion sickness is well known to be caused by long time exposure to the very low frequency motion in the multiple axes of human body Since the vestibular system for the perception of low frequency motion is located in the head, accurate measurement of 6 degree of freedom head motion is of great importance.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system consisting of a safety helmet and 9 translational accelerometers was constructed for the estimation of 3 translational and 3 rotational motions of human head. Since estimation errors of 3 rotational components can be significantly magnified even by small offset of the sensitivity axis from the geometric center of an accelerometer, accurate measurement of sensitivity axis must be preceded. The method for accurate estimation of the offset was proposed, and the effect of offset on the estimation of angular acceleration was investigated.

3D-2D 모션 추정을 위한 LiDAR 정보 보간 알고리즘 (LiDAR Data Interpolation Algorithm for 3D-2D Motion Estimation)

  • 전현호;고윤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865-1873
    • /
    • 2017
  • The feature-based visual SLAM requires 3D positions for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to perform 3D-2D motion estimation. LiDAR can provide reliable and accurate 3D position information with low computational burden, while stereo camera has the problem of the impossibility of stereo matching in simple texture image region, the inaccuracy in depth value due to error contained in intrinsic and extrinsic camera parameter, and the limited number of depth value restricted by permissible stereo disparity. However, the sparsity of LiDAR data may increase the inaccuracy of motion estimation and can even lead to the result of motion estimation failu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ree interpolation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interpolate sparse LiDAR data.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these three methods to a visual odometry algorithm demonstrates that the selective bilinear interpolation shows better performance in the view point of computation speed and accuracy.

주파수 영역에서의 움직임 예측을 위한 8×8 크기의 DCT 스케일링 행렬 정의 (Definition of 8×8 sized DCT Scaling Matrix for Motion Estim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 김혜빈;류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1-27
    • /
    • 2019
  • 동영상 압축 표준은 고해상도의 영상을 위한 처리 기술이 요구되면서 영상의 해상도 증가에 맞춰 부호화 크기를 증가시켰다. 정확한 움직임 예측과 증가된 부호화 크기는 높은 정확도와 압축률을 제공하지만 계산량 증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 행렬을 이용한 DCT 기반 움직임 예측을 사용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영상 부호화기에 사용되는 DCT와 양자화 과정을 주파수 영역의 부호화기에 그대로 적용했을 때 스케일링 과정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CT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케일링 행렬을 추출하여 이를 해결하고, 증가된 부호화 크기를 이용해 움직임 예측의 성능을 높였다.

모바일 환경에서 모션 추정을 위한 빠르고 정확한 알고리즘 (Fast and Accurate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in Mobile Environments)

  • 김준호;오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모션을 추정하기 위하여 특징점을 코너로 선택하고, 기존 코너 검출 알고리즘인 Rosten 알고리즘 보다 모션 추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Rosten 알고리즘은 간단한 덧셈과 뺄셈만으로 코너를 검출함에 따라 처리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지만, 코너를 매칭하면서 모션추정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Normalized Cross Correlation(NCC) 계수를 사용하여 코너를 매칭하고, 두 단계에 걸쳐 부정확한 매칭에 의한 외톨이를 제거한다. 기존의 Rosten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실제 영상에서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고, 실제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Rosten 알고리즘 보다 더 정확한 모션을 추정해 냄을 실험 결과 확인하였고, 실제 모바일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움직임 추정오차의 예측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A fast motion estimation method prediction of motion estimation error)

  • 강현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C호
    • /
    • pp.1323-1329
    • /
    • 2004
  • 본 논문은 고속 전역탐색법 중의 하나인 MSEA(multi level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를 개선한 방식으로서, MSEA의 단계에 따른 norm의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단계의 SAD를 예측함으로써 더 이상의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단계의 계산을 생략함으로써 계산 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단계별 SAD의 예측을 위해 norm에 대한 이론적 분석이 이루어지며 실험을 통해 분석내용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한다.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저전력 VLSI 구조 (A low-power motion-estimation VLSI architecture)

  • 김현호;김영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511-51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저전력 VLSI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systolic 구조에서 전처리 연산을 하여 불필요한 블락 정합 위치를 예측한다. 따라서 그 위치의 블락 정합을 하지 않음으로써 연산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 PDF

Motion Estimation using new blocks based on the Frame Difference for Frame Rate-up Conversion

  • Kwak, Tong-Ill;Yun, Jong-Ho;Cho, Hwa-Hyun;Choi, Myung-Ryul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43-1046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tion Estimation (ME) using new blocks based on the Frame Difference (FD) between two adjacent frames for Frame Rate-up Conversion (FRC). The proposed algorithm decides the shape of blocks by the F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methods.

  • PDF

Observer Based Estimation of Driving Resistance Load for Vehicle Longitudinal Motion Control

  • Kim, Duk-Ho;Shin, Byung-Kwan;Kyongsu Yi;Lee, Kyo-I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9년도 제14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85-188
    • /
    • 1999
  • An estimation algorithm for vehicle driving load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Driving load is an important factor in a vehicle's longitudinal motion control. An approach using an observer is introduced to estimate driving load based on inexpensive RPM sensors currently being used in production vehicles. Also, a torque estimation technique using nonlinear characteristic functions has been incorporated in this estimation algorithm. Using a nonlinear full vehicle simulation model, we study the effect of the driving load on longitudinal vehicle mo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estimation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The proposed estimation algorithm has good performance and robustness over uncertainties in the system parameters. An accurate estimate of the driving load can be very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dvance vehicle control systems such as intelligent cruise control systems, CW/CA systems and smooth shift control systems.

  • PDF

누적 일괄추정 기법을 이용한 수동 선배열 소나 방위 주파수 - 표적기동분석 연구 (Study on Bearing and Frequency Target Motion Analysis for Passive Line Array SONAR Using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 김인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88-796
    • /
    • 2016
  • Bearing and frequency measurements of TMA (Target Motion Analysis) in passive line array SONAR have lower bearing rate and frequency doppler, and are not detected or tracked continuously because of various ocean environments. This is a main reason to effect the TMA performanc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get TMA solutions. We propose the bearing and frequency TMA(BFTMA) using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to solve the TMA problem of line array passive SONAR. The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structure is based on 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ut used accumulative measurements. The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is applied for the BFTMA with nonlinear Kalman filter to estimate the target range, speed and course. Simulation and sea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s.

H.264/AVC용 가변 블록 크기를 지원하는 움직임 추정 부호기의 연구 (A Study on Motion Estimation Encoder Supporting Variable Block Size for H.264/AVC)

  • 김원삼;손승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845-1852
    • /
    • 2008
  • 인터 예측의 핵심 요소는 ME와 MC이다. ME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와 같은 정합기준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트스트림의 최종 비트수에 따라서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찾는다. 인터 예측부호화는 고화질의 실시간 비디오 응용에 있어서 언제나 주된 병목을 초래한다. 따라서 실시간 비디오 응용에서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고속의 전용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H.264/AVC의 움직임 추정기를 연구하였다. 설계된 움직임 추정기는 2-D 시스토릭 배열 기반으로 기본 처리기 요소를 병렬로 연결하여 SAD 값을 빠르게 계산한다. 참조데이터를 상위영역과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연결선을 두고 입력 시퀀스를 조절하여 파이프라인 중지 없이 연속적인 연산을 수행한다. 데이터 재사용 기법을 통하여 메모리 엑세스를 줄였고 특별한 지연 없이 최소의 SAD를 갖는 파티션을 찾아내어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게 하였다. 설계된 움직임 추정기는 가변 블록 크기를 지원하며 하나의 매크로블록의 연산을 하는데 328 사이클이 소요된다. 논문 [6]이 로컬메모리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본 논문은 로컬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