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sbauer 분광학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4초

사인파속도형 Mossbauer 분광계의 속도눈금 매기기와 Magnetite의 Mossbauer 분광법에 의한 연구 (Velocity Calibration of Sinusoidal Mode for Mossbauer Spectrometer and Mossbauer Study on $Fe_3O_4$)

  • 이충섭;이찬영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232-236
    • /
    • 1997
  • Mossbauer 분광계의 사인파속도 Mode에서 Fe-foil을 사용한 속도눈금매기기를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사인 파속도형 Mossbauer 분광계의 장점은 스프링의 자연진동에 의한 것으로 속도가 안정됨과 정밀함에 있다. Fe$_{3}$O$_{4}$와 U-Fe$_{3}$O$_{4}$(unbalanced Fe$_{3}$O$_{4}$)의 Mossbauer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사인파속도 mode에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철화합물에 대한 뫼스바우어 연구 (Mossbauer studies of Iron Compounds)

  • 김철성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2년도 동계연구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8-19
    • /
    • 2002
  • $^{57}$ Fe화합물에 대한 Mossbauer 분광학 연구로부터 이들 자성물질의 이성핵적이동값, 전기사중극자 분열값 및 초미세자기장의 크기를 결정하였으며 이들값으로부터 Fe의 이온상태, 큐리온도, 각 Site의 점유율, Debye온도, spin wave상수, exchange integral을 계산하였다. $^{57}$ Co감마선을 사용하는 등가속도형 Mossbauer 분광기를 이용하여 4.2 K 부터 900 K 온도영역에서 실험을 하였다. (중략)

  • PDF

Sol-gel 합성에 의한 자성 garnet $Y_{3-x}Bi_xFe_5O_{12}$의 결정학적 및 Mossbauer 분광학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ossbauer Studies of Magnetic Garnet $Y_{3-x}Bi_xFe_5O_{12}$ by a Sol-Gel Method)

  • 엄영란;김철성;이재광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3-209
    • /
    • 1998
  • Single phase garmet Y3-xBixFe5O12(x=0.0, 0.25, 0.5, 0.75, 1.0)을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하여 sol-gel 법으로 합성후 x-ray diffraction, Mossbauer 분광기,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를 이용하여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Y과 Fe의 수화 반응을 통하여 얻은 Y3Fe5O12의 x-ray 회절 분석 결과는 결정구조가 cubic임을 알 수 있었고 Y에 Bi를 치환한 경우 또한 cubic 구조이었으며 Bi의 치환 량이 증가할수록 격자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Bi를 첨가한 Y3-xBixFe5O12 (x=0.0, 0.25, 0.5, 0.75, 1.0)의 단일상의 garnet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80$0^{\circ}C$이고 secound phase (BiFeO3)가 생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x=0.75는 100$0^{\circ}C$이며 x-1.0은 95$0^{\circ}C$였다. Mossbauer 분광 실험과 VSM측정 결과 Birk 치환 될수록 포화 자화 값과 coercivity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uric 온도는 Bi의 치환 양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Mossbauer 분광법을 이용한 $Ni_{0.8}Cd_{0.2}Fe_2O_4$ (A Study on $Ni_{0.8}Cd_{0.2}Fe_2O_4$ by Mossbauer spectroscopy)

  • 백승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11호
    • /
    • pp.1107-1112
    • /
    • 1996
  • Ni를 Cd로 대치시켜 세라믹 소결법으로 합성한 Ni0.8Cd0.2Fe2O4 의 X-ray 회절선을 측정하여 구조를 확인하고, 형성된 결정체의 격자 상수를 조사하였다. 이 시료의 Mossbauer 스펙트럼을 80K-900K의 온도 영역에서 측정 분석하여 Mossbauer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과 Fe 이온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 자료를 토대로 Ni0.8Cd0.2Fe2O4 의 자기 전이 현상과 Curied 온도 Tc와 격자 비열 및 Debye 온도와 같은 물성을 조사하였다.

  • PDF

$^{57}Fe$를 미량 치환한 La-Ca-Mn-O의 초거대자기저항과 Mossbauer분광학연구 (Colossal Magnetoresistance and Mossbauer Studies of La-Ca-Mn-O Compound Doped with $^{57}Fe$)

  • 박승일;김성철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35-340
    • /
    • 1998
  • 거대 자기 저항 La0.67Ca0.33Mn0.9957Fe0.01O3물질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La0.67Ca0.33Mn0.9957Fe0.01O3의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 분석, 리더퍼스 분광 측정, 자화 측정, Mossbauer 분광 측정으로 연구하였다. 단일상 La0.67Ca0.33Mn0.9957Fe0.01O3의 결정구조는 cubic 페롭스카이트 구조이고, 격자상수 a0=3.868$\AA$이었다. 1%철 이온의 치환에 의한 격자상수의 변화는 관측할 수 없겠지만, 큐리온도는 282K에서 270K로, 77K에서의 포화 자화는 84emu/g에서 81emu/g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Mossbauer 분광 측정은 4.2K에서 상온 온도 영역까지 여러 온도 구간에서 측정하였다. Mossbauer 스펙트럼의 분석은 57Fe 이온에 분포에 의한 상호작용 모델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이성질체 이동값에 의해 철 이온은 모든 구간에서 +3가 이었다. La0.67Ca0.33Mn0.9957Fe0.01O3의 반도체-금속 전이온도는 250K이엇으며, 자기 저항비는 33%이었다..

  • PDF

Garnet $Y_{2.5}La_{0.5}Fe_5O_{12}$의 Mossbauer 분광학 연구 (Mossbauer Spectroscopy Studies of Garnet $Y_{2.5}La_{0.5}Fe_5O_{12}$)

  • 염영랑;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4
    • /
    • 1999
  • 자성 garnet Y2.5La0.5Fe5O12의 분말을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이용한 sol-gel방식으로 합성하였다. 시료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기(XRD), 진동시료 자화기(VSM), 그리고 Mossbauer 분광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분말의 경우 100$0^{\circ}C$에서 단일상의 garnet결정을 얻었으며 결정구조는 cubic구조이며 격자상수는 12.415$\AA$이었다. Mossbauer spectrum은 13K부터 700K까지 측정하였으며 Fe는 모두 +3가 상태로 16(a)와 24(d)sit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spin wave 상수는 B3/2=0.32$\pm$0.05, C5/2=0.18$\pm$0.05였으며, Debye 온도는 24(d)site인 경우 382K 그리고 16(a) site인 경우 246K였다. VSM 실험으로부터 상온에서 포화 자화값(Ms)은 25emu/g이었다.

  • PDF

철강산업에 뫼스바우어 분광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Mössbauer Spectroscopy for Steel Industry)

  • 오세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9
    • /
    • 2006
  • 뫼스바우어 분광기법은 철강에 관련한 연구 및 개발을 위하여 중요한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뫼스바우어 분광기법의 가장 큰 장점은 철강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량적 분석은 철강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식생성물의 상들에 대한 구성비율을 비롯하여 노출환경, 철강의 종류, 합금성분, 입자의 크기, 형성 및 상변환등에 관련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철강의 종류와 합금성분에 따른 철강제품의 강도 및 상거동등에 관련한 특성들의 분석까지 정밀하게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