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quito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37초

Examination of $\alpha$-terpinene on Primary Eye Irritancy and Skin Sensitization

  • Park, Byeoung-Soo;Choi, Won-Sik;Lee, Sung-E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1호
    • /
    • pp.68-75
    • /
    • 2007
  • [ $\alpha$ ]-Terpinene has been known as a repellent against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Coquillett based on a human forearm bioassay. $\alpha$-Terpinen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repellency than a commercial formulation, N, N-diethyl-m-methylbenzamide (deet). In this study, skin and eye sensitivity of $\alpha$-terpinene (2%) was examined with bioassays using white New Zealand rabbits. There were somewhat gross and histological changes observed in these treatments. Eye irritancy assays examined gross changes to cornea, iris and conjuctiva, and histological changes to smear of ocular discharge and eye tissue. Treated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cohorts, a saline washed cohort (W) or a non-washed cohort (NW). Opacity of cornea and redness, chemosis and discharge of conjuctiva were observed in both cohorts, but disappeared within 4 and 10 days in W and NW, respectively. Main components of ocular discharges were fibrin, epithelial or epitheloid cells, lymphoid cells, erythrocytes and granulocytes. These abnormal cellular components disappeared within 4 days and 10 days in W and NW, respectively. No permanent histolog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horts. However, severe irritation was determined as 57.2 of I.I.O.I value on the first day after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a spray-type solution containing 2% $\alpha$-terpinene may serve as an alternative mosquito repellent and further studies need to reduce the eye irritation with formulation changes.

소 모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의 Vector 감염률 추정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 (A Sampling Strategy for Estimating Infection Rate in Vector Mosquitoes of Mosquito-borne Bovine Viral Diseases)

  • 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3-67
    • /
    • 2012
  • Mosquitoes are the vectors of a number of viral diseases in cattle, such as Akabane disease, bovine ephemeral fever, Ainovirus infection, Chuzan virus infection, and Ibaraki disease. These diseases are transmitted from an infected animal to a non-infected host via the blood feeding of the vector. In Korea,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responsible for planning, implementation, laboratory investigations and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surveillance program for mosquito-borne bovine diseases (MBD). The surveillance program, which was started in 1993, focused to determine the seroprevalence of each disease in cattle herds in space and time. From the epidemiological point of view, more important component of the surveillance program is to monitor infection rates in vectors for specific pathogens because this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se diseases in a given environment and for determining risk of transmi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methods for estimation of vector infection rates using maximum likelihood (MLE) and minimum infection rate in pooled samples. Factors affecting MLE such as number of pools, pooling size and diagnostic test performance are also discussed, assuming some hypothetical sampling scenarios for MBD.

Chemical Compositions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Eucalyptus urophylla Essential oil Against Culex quinquefasciatus Mosquito

  • Pujiarti, Rini;Kasmudjo, Kasmudj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94-504
    • /
    • 2016
  • Eucalyptus oils are widely used as spices, perfume industrial materials, food flavorings, and medicines. Several types of Eucalyptus oils also have insecticidal activity and as carmina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insecticidal (larvicidal and repellent) activity of E. urophylla oil against filarial mosquito Culex quinquefasciatus. E. urophylla oil was obtained from fresh leaves by water-steam distillation with oil yield 1.08%. E. urophylla oil in this study had no color (clear), has odor (typical eucalyptus), with specific gravity 0.941; refractive index 1.465; miscibility in 70% ethanol 1 : 3; and optical rotation (-) $5.83^{\circ}$. The major compounds of the oil were ${\alpha}$-pinene (11.73%), 1,8-cineole (49.86%), ${\beta}$-ocimene (6.25%), ${\gamma}$-terpinene (9.11%), and ${\alpha}$-terpinyl acetate (7.63%). The result showed the excellent insecticide activity against C. quinquefasciatus. The oil provided larvicidal activity with $LC_{50}$: 80.21 ppm and $LC_{90}$: 210.18 ppm, and repellent activity with $IC_{50}$: 0.82% and $IC_{90}$: 4.88%. The present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E. urophylla as natural insecticide against C. quinquefasciatus, the mosquito vector of filariasis.

In Silico 분자결합 분석방법을 활용한 MOP와 베타아사론의 열대집모기 후각단백질 활성 부위에 대한 결합 친화도 비교 분석 (In Silico Analysis and Molecular Docking Comparison of Mosquito Oviposition Pheromone and Beta-asarone on the Mosquito Odorant Binding Protein-1)

  • 김동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5-200
    • /
    • 2018
  • 베타아사론은 널리 알려진 석창포의 주요 효능 성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기의 oviposition 페로몬 성분인 MOP와 석창포 효능성분 베타아사론의 열대집모기 후각 단백질 CquiOBP1 활성 부위에 대한 친화도 분석 실험을 컴퓨터 분자결합 분석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CquiOBP1 후각 단백질의 3차원 구조 정보는 PDB database (PDB ID: 3OGN)를 활용하였다. In silico 결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PyRx, Autodock Vina, Discovery Studio Version 4.5, and NX-QuickPharm 프로그램을 각 분석 조건에 따라 활용하였다. CquiOBP1 후각단백질 활성 부위에 대한 베타아사론의 결합친화도는 -6.40 kcal/mol으로 나왔으며 이는 -6.00 kcal/mol으로 나온 MOP의 결합친화도 보다 훨씬 더 높고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리간드와 상호작용 하는 CquiOBP1단백질 활성 부위의 아미노산들 가운데 TRP114가 공히 MOP와 베타아사론과 결합 하였다. CquiOBP1 단백질 활성부위의 아미노산들을 전혀 다른 전기적 성질을 지닌 아미노산으로 치환 시킨 후 분자결합 분석을 해 본 결과 리간드들의 X,Y,Z Grid 값에 현격한 변화가 유도되었으며 결합 친화도 또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베타아사론은 CquiOBP1 단백질 활성을 조절하는 리간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석창포 추출물 또는 베타아사론은 곤충기피제 신물질 연구 개발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티플러스 살충제의 모기 방제 효과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Mosquito Control Efficacy of a BtPlus Insecticide and Its Safety Assessment to Aquatic Environment)

  • 박영진;유성민;권보원;박찬;김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8
    • /
    • 2016
  • 비티플러스는 Bacillus thurigiensis와 면역억제가 혼합된 생물농약의 총칭이다. 본 연구는 모기류에 살충력이 높은 새로운 비티플러스 생물농약에 대해서 야외포장 조건에서 약효와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관해 수행되었다. 모기 유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를 위해 두 가지 살포 처리에 따라 비티플러스의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티플러스의 공중살포 ($3.3m^2$ 당 100 mL)에 따른 수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서는 최소 50%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가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논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의 간이모형 조건에서 비티플러스를 수중살포한 경우 모기유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방제효과는 0.1%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나타냈고, 0.2% 처리에서는 완전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충에 비해서는 다소 낮지만 10% 설탕물에 포함된 0.1%의 비티플러스는 성충에 대해서도 4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서는 잉어 (Cyprinus carpio), 큰물벼룩(Daphnia magna), 꿀벌(Apis mellifera)을 대상으로 비티플러스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급성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생태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방제에 비티플러스의 수중살포 처리가 유효한 방제 처리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매개모기의 서식환경과 토지이용 구조가 말라리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말라리아 고위험지역을 대상으로 (The Impact of Land Use Structure and Vector Habitat Conditions on the Incidence of Malaria-A Case Study in High-Incidence Areas)

  • 김주혜;박선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24
    • /
    • 2013
  • 1980년대에 근절된 것으로 여겨졌던 말라리아는 재출현 이후 지난 10년간 증감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휴전선에 인접한 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될 만큼 지역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휴전선 부근 시 군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말라리아 발생률에서 차이가 있으며, 질병 발생의 중심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펼쳐져 있는 자연 및 거주지 환경에 영향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에 의해 병원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 과정은 특정 기후 및 인문환경 시스템 속에서 발현된다. 기후 요소는 매개모기와 병원체에 매우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며 기온은 가장 대표적인 환경요인이다. 또한 매개모기와 인간과의 접촉 빈도와 접촉 거리는 말라리아 발생률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국지적인 기후조건, 매개모기의 산란 및 서식환경의 비중, 매개모기와 거주지 간의 거리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기상자료, 인공위성 기반의 토지피복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피제의 효과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Mosquito Repellents against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 강신호;장선아;한종빈;서동규;송치훈;김민기;김영림;최선희;김인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49
    • /
    • 2005
  •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흰줄숲모기에 대한 5종 식물추출물의 기피효능 평가 (Repellent Activity of Five Different Plant Extracts Against Aedes albopictus)

  • 박성익;박정주;김단비;문나영;신지윤;차성경;김사라;김종식;손동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69-3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기기피 효과 실험을 진행하고 누드 쥐를 모델로 하여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피제의 유효용량 및 유효시간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휘발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용량은 개박하가 10, 50, 100, 200 ㎍/mL에서 72.9, 83.7, 86.4, 97.3%의 효율로 가장 높았다. 누드 쥐를 대상으로 한 유효시간 연구에서는 5가지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 중 개박하, 개다래 및 개똥쑥이 90.5%로, 30분까지만 지속하였다. 각 식물의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애플민트 28개 성분, 개다래 19개 성분, 개똥쑥 27개 성분, 개박하 26개 성분, 민들레 19개 성분이 확인 되었다. 특히 모기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 알려진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이 개박하의 휘발성분 중 한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27.95 mg/Kg).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휘발성분을 함유한 식물을 이용한 모기기피제 재료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국내 주요 모기유충과 천적어류의 Abate 와 Abate-S 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Medically Important Mosquito Larvae and Larvivorous Fishes to Abate and Abate-S in Korea)

  • 이동규;유효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5-169
    • /
    • 1999
  • 1998년 9월에 경남 일원에서 채집한 5종의 모기(Anopheles sinensis, Aedes dorsalis, Culex inatomii, Cx. pipiens, Cx. tritaeniorhynchus)의 3령기 유충과 모기천적어류인 미꾸라지(Misgurnus muzolepis) 및 붕어 (Carassius carassius)를 대상으로 Abate 와 Abate-S 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Cx. pipiens pallens에 대한 Abate 와 Abate-S 의 ${LC}_{50}$는 모두 0.006ppm이었다. 이들의 ${LC}_{95}$는 각각 0.070ppm과 0.035ppm으로 이들에 대한 WHO의 제시사용농도인 1.0ppm에 비하여 매우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x. tritaeniorhynchus의 유충에 대한 Abate-S 의 ${LC}_{50}$${LC}_{95}$는 각각 0.048ppm과 0.808ppm을 보인 반면, Cx. inatomii와 Ae. dorsalis는 Abate-S 에 감수성이 매우 높아서 ${LC}_{50}$은 각각 1.9$\times$${10}^{-7}$과 1.1$\times$${10}^{-7}$ppm이었으며 ${LC}_{95}$는 각각 5.2$\times$${10}^{-6}$ppm과 1.4$\times$${10}^{-5}$ppm이었다. An. sinensis에 대한 Abate-S ${LC}_{50}$ 0.009ppm였으며 ${LC}_{95}$는 0.025ppm이었다. 이 두 살충제는 모기유충에 비하여 미꾸라지와 붕어에 현저히 낮은 독성을 나타내어 미꾸라지에 대한 ${LC}_{1}$은 Abate 에서 24.145ppm, Abate-S 에서 10.750ppm이었으며 ${LC}_{1}$는 Abate 에서 27.567ppm, Abate-S 에서 14.775ppm이었다. 붕어의 경우에, ${LC}_{1}$은 Abate 에서 7.914ppm 그리고 Abate-S 에서 6.480ppm으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bate 와 Abate-S 의 붕어에 대한 ${LC}_{50}$는 각각 19.898ppm과 8.568ppm으로 모기유충에 비하여 감수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미꾸라지와 붕어에 안전한 Abate 와 Abate-S 의 최대농도는 모기 유충의 95.0%치사농도의 8배 이상으로 나타나서 다른 수석 무척추동물에 안전하다면 이들 천적어류와 살충제를 동시에 이용한 특정 수역에서 모기의 종합적 방제(Integrated Control)를 수행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