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la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6초

돼지 단위발생란의 체외발육시 6탄당의 영향 (Effects of Hexoses on In Vitro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s in the Pigs)

  • 윤선영;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3-12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hexoses (glucose, mannose, galactose and fructose) on in vitro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s in the pigs. When the parthnogenetic embryos were cultured in medium with concentrations of 5mM glucose or 1mM galactose, the rates of embyos developed to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nother culture conditions (P<0.05).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lactose inhibited development to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Addition of hexoses at early stage of porcine parthenogenetic embryos were effective for in vitro development. Especially, the embryos cultured in medium with glucose at early stage were effective for development to 2-cell $(72\%)$ and blastocyst $(19\%)$ stages compared with embryo cultured without glucose. From the present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genetic embryos can improve in medium with 5mM glucose. The concentration of 1mM galactose was also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genetic embryos. It also show that parthenogenetic embryos cultured with glucose at early stage can improve in vitro development.

한우 수정란의 동결보존 및 쌍자생산에 관한 연구 II. 이분 수정란의 이식과 쌍자 생산 (Studies on Embryo Cryopreservation and Twinning by Embryo Transfer of Korean Native Cattle II. Transfer of Bisected Embryos and Production of Twin Calves)

  • 손동수;김일화;이동원;안병석;이광선;신형두;박노웅;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102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and establish the techniques for producing the twin calves. Bisected embryos without zona pellucida which were divided by simple method not using holding pipette or whole two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The pedigrees of monozygotic twin calves produced by transfer of bisected pair embryo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average successful bisection rate was 89.16%. The embryos of blastocyst stage (91.66%) were bisected successfully at significantly (P<0.05) higher rate, compared with the morula stage embryos (86.66%).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bisected embryos following 24 hours culture was 59.02%. The survival rate of morula stage embryos (62.50%)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blastocyst stage embryos (55.5%). For the production of monozygotic twin calves, ten pairs of flesh or frozen demi-em- lymphocytes antigen, the twin calves produced by transfer of bisected pair embryos of Korean Native cattle were identified in pedigrees and confirmed as monozygotes.

  • PDF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 항산화제의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Porcine IVM/IVF Embryos)

  • 장현용;오진영;김종택;박춘근;정희태;김정익;이학교;최강덕;양부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77-82
    • /
    • 2004
  • 5% $CO^2와 5% O^2$ 농도 조건 하에서 NCSU23 배양액에 aesculetin을 0, 1, 5 및 10 $\mug/ml$를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배양 성적은 10 $\mu$ g 첨가구(35.7%)가 여타구(0 $\mu$g, 30.2% ; 1$\mu$g, 29.5% ; 5$\mu$g, 29.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얻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taurine을 0, 2.5 및 5.0 mM을 첨가,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은 각각 2.8%, 2.2% 및 7.0%였으며, 상실배이상의 체외 발육성적은 26.1%, 26.9% 및 31.7%로서 taurine 5.0 mM 첨가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 성적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NCSU 23 배앙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 성적에서는 melatonin 1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한편 배반포기 수정란의 세포수 조사에서는 melatonin 10 mM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 첨가 효과 (The Effects of Melatonin and Sodium Nitroprusside (SNP) on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장현용;오진영;김종택;박춘근;정희태;김정익;이학교;최강덕;양부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83-87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의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배양액에 항산화제인 melatonin의 첨가 및 melatonin과 sodium nitroprusside(SNP)의 첨가배양이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NCSU 23 배양액에 melatonin을 0, 1, 5 및 10nM을 첨가하여 체외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17.8%, 26.1%, 20.0% 및 16.3%로서 melatonin 1nM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기 이상 발육 성적에서도 melatonin 1 nM 첨가구가 39.1%로서 대조구 33.3%, 5 nM 첨가구의 33.3% 및 10 nM 첨가구의 27.9%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SNP를 0, 50 및 100 $\muM을 첨가하여 체외 배양한 결과, 상실배 이상 발육성적은 각각 41.9%, 25.6% 및 28.4%로서 SNP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P<0.05). NCSU 23 배양액에 대조구, SNP 50 $\muM, SNP 50 $\muM에 melatonin 1, 5 및 10nM을 혼합첨가하여 체외 발육율을 조사한 결과, 배반포기 발육율은 각각 2.5%, 1.2%, 9.9%, 5.1% 및 3.7%로서 SNP 50$\mu$M + Mel. 1nM 첨가구가 여타구 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 이상 체외 발육율은 31.3%, 34.1%, 39.5%, 29.4% 및 39.5%로서 SNP 50 $\mu M + Mel. 1 nM 첨가구와 SNP 50 $\muM + Mel. 10 nM 첨가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구에서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생쥐의 착상전 배아의 발생과 Glucose Transporter 1 (Glut1) 발현에 대한 포도당과 IGF-I의 영향 (Effects of Glucose and IGF-I on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1 (Glut1) and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

  • 전한식;계명찬;김종월;강춘빈;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205-212
    • /
    • 1998
  • $Na^{+}$이온 비의존적으로 작동하는 포도당 수송체 (glucose transporter 1, Glut1)는 생쥐 배아의 세포막을 경계로 포도당을 수송하는 주요통로이다. 성장인자 가운데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은 생쥐배아에서 포도당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이러한 효과가 IGF-I 의한 Glut1의 전사조절 효과에 기인한 것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포도당과 IGF-I 생쥐의 착상전 배아 발생과 Glut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에 의한 배발생 조절기작을 이해하고자 시행하였다. 2-세포기 배아는 배양액내 pyruvate 존재하에 포도당의 유무와 관계없이 포배로 발생하였다. IGF-I은 2-세포기에서 체외 발생한 중기포배내 할구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2-세포기부터 체외발생한 상실배의 Glut1 전사체의 양에는 배양액내 포도당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IGF-I은 포도당과 무관하게 Glut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에서 상실기 생쥐배아의 경우 단순히 포도당의 결핍에 의해 Glut1의 발현이 전사수준에서 촉진되지 않으며, Glut1 발현의 증가는 IGF-I에 의한 배발생 촉진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면역형광측정법에 의한 우수정란의 성 판별 (Immunofluorescent Detection of H-Y Antigen on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 고광두;양부근;박연수;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3-120
    • /
    • 1989
  • In order to determine the sex of preimplantation embryos prior to transfer in cattl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45 Holstein donor cows to examine the ovarian response on the gonadotropin and PGF2${\alpha}$, and the morphology of fresh embryos or frozen/thawed embryos after deep freezing at -196$^{\circ}C$. The sexing of embryos treated with the medium containing H-Y antiserum(10%, v/v) and FITC anti-mouse IgG(10%, v/v) were analysed by chromosomal analysis, and the sex of the embryos which survived were ascertain after delivering the pup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number of developed follicle and corpus luteum per cow were 13.5 and 8.1, and the ovalation rate was 60.1%. 2. Of 220-ova recovered, 75(34.1%) were morula and 91(41.4%) were blastocyst, and the morphological normal and abnormal rate of ova recovered were 75.5% and 24.5%, respectively. 3. Of 39 frozen/thawed embryos, the scores of normal morula and blastocyst, after thawing were 79.2%(19/24) and 73.3%(11/15). The average rate of frozen/thawed embryos which appeared morphologically normal post thawing was 76.9%(30/39). 4. The sex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embryos treated with immunofluorescence assa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developmental stage, sex ratio of morula stage embryo was 42.2%(19/45) fluorescing and 57.8%(26/45) non-fluoresc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switched to 46.8%(29/62) fluorescing and 53.2%(33/62) non-fluorescing embryo in blastocyst stage. The sex ratio was also measured between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fresh and frozen/thawed treated embryos were indicated 45.8%(38/83) fluorescing, 54.2%(45/83) non-fluorescing and 41.7%(10/24) fluorescing, 58.3%(14/24) non-fluorescing. This trend indicated the approximal sex ratio was 1 : 1. 5. The result of karyotype test showed the successful rate of sexing embryo is fluorescing and non-fluorescing was 21.2%(7/33) and 29.6%(8/27). The female to male ratio within 33 fluorescing was 28.6 : 71.4, and the ratio of 27 non-fluorescing embryos was 87.7 : 12.5. 6. Of the embryo transferred after assignment of H-Y phenotype, five of the fluorescing embryos survived to term, all was males. Whereas six non-fluorescing embryos also survived to term and the sexes of the calves were 1 male 5 female.

  • PDF

체외성숙 돼지난포란의 체외수정과 배발달에 관한 연구 II. 각종 배양액, 돼지난구세포 및 생쥐태아간세포와의 공동배양이 체외수정 돼지 난포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orcine Follicular Oocytes I. Effect of Various Media and Co-culture with Porcine Cumulus Cellsor Mouse Fetal Fibroblast Cells on In Vitro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Oocytes)

  • 정형민;엄상준;승경록;이상준;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0
    • /
    • 1993
  • 본 연구는 제외생산된 돼지 수정란의 처1외발생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각종 배양액파 돼지난구세포 혹은 생 쥐태아간세포와의 공동배양 효과플 조사하였다 m-KRB, BECM 및 TCM-HEPES 배양액을 공시하 여 제외수정란을 배양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달하는 비율은 전처리구에서 0~1.0%로써 극히 저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수정란은 4-세포기 단계에서 발달이 정지되었다. 한편, 단층세포가 유도된 돼지 난구세포나 생쥐 태아간세포와 함께 제외수정란을 공동배양한 결파 2, 4-, 8~16-, 32-세포기, 상실배가 빛 배반포로 받달하는 비율은 각각 61.1~67.0%, 59.0~58.0%, 42.5~43.1%, 28.4~30.2% 및 20.4~21.0%였다 이러한 결파는 단순배양액에서 체외배양한 수정란의 발탄 성적 보다유의하게 높은 것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세포기 수정란을 체외에서 배양할때 체세포와의 공동배양은 수정란의 체외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NA 미세주입 돼지 체외수정란의 발달능력과 유전자 발현 (Developmental Ability and Transgene Experssion of IVM/IVF Derived Porcine Embryos after DNA Microinjection)

  • 구덕본;임준교;이상민;장원경;김남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26
    • /
    • 1996
  • 본 연구는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수정란에 외래유전자를 미세주입후 체외 배 발달과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외수정후 18∼20 시간 사이에 LacZ 유전자와 산양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미세주입하였으며, 체외 배 발달율과 유전자 발현은 미세주입후 9일간 체외배양을 실시한 다음 조사하였다. 돼지수정란을 원심분리하여 전핵을 관찰한 결과 60.3%의 난자에서 전핵이 가시화되었다. 또한 유전자가 미세주입된 수정란중 상실배와 배반포까지 발달한 비율은 각각 8.6, 9.1%로 대조구의 발달율 19.0, 20.8%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NCSU23 배양액에 4일간 배양후 E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배양한 결과, 배반포 및 부화배반포까지 높은 발달율(19.4%)을 나타내었다. X-gal 염색의 결과로서, LacZ의 발현을 나타낸 수정란의 비율은 상살배, 배반포 단계에서 40.0, 42.9%로 나타났으나, 이들 형질전환 수정란의 대부분은 mosaic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PCR 부분에서, gGH 유전자가 도입된 수정란의 비율은 상실배, 배반포단계에서 45.0, 44.4%로 X-gal 염색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수정란은 미세주입후에도 배반포 및 부화배반포까지 성공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체외성숙, 수정된 돼지수정란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돼지 생산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한정 배양액에서 포유동물 수정란의 체외 발생에 인, 아미노산 및 BSA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ate, Amino Acid, and BSA on in vitro Development of Mammalian Embryo in Chemically Defined Culture Medium)

  • 김종흥;김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4-212
    • /
    • 1996
  • 본 연구는 포유동물 수정란의 체외발생에 인, 아미노산과 BSA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된 소의 수정란을 한정 무단백 배양액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포함된 인의 농도를 0.00, 0.10. 0.35, 1.05와 2.10mM로 조정하였을 때 0.00부터 1.05mM 농도에서는 수정후 48시간 까지 수정란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정후 96시간과 114에서의 8세포기와 상실배 발생이 0.35mM에서 유의적(P<0.05)으로 붕가하였다. 19종 아미노산의 첨가는 수정후 96, 144, 192시간에 각각8세포기(49-50%), 상실배(38-40%), 배반포(29-32%)발생을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나, glutamine단독 첨가는 영향이 없었다. BSA첨가는 첨가시간에 관계없이 수정후 48, 96, 144, 192시간에서 각각 2세포기, 8세포기, 상실배와 배반포의 발생을 증가시켰다.

  • PDF

Amino Acids Supplemented with Culture Medium Stimulated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 Lee, Y.S.;S.H. Song;Lee, S.N.;K.H. Chung;Park, C.S.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0-80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a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s supplemented with culture medium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cultured in vitro.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were cultured in the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hormones (0.5$\mu\textrm{g}$/$m\ell$ LH, 0.5$\mu\textrm{g}$/$m\ell$ FSH and 1$\mu\textrm{g}$/$m\ell$ estradiol-17${\beta}$) for 20-22 h at 39$^{\circ}C$ in an atmosphere of 5% CO$_2$in air. Subsequently, COCs were cultured in hormone-free maturation medium for 20-22 h. After maturation for 40-44h, oocytes were removed cumulus cells by pipetting and cultured with epididymal sperm for 5 h in the mTBM. Embryos obtained were divided in 4 groups (1)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o blastocyst stage(Control), (2) essential amino acids (EA), (3) non-essential amino acids (NA), (4)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EA+NA). All treated groups(2-4) were used a glucose free NCSU 23 medium supplemented with pyruvate (0.33 mM), lactate (4.5 mM) to morula stage. From morula to blastocyst stage embryos of all treated groups were cultured in NCSU 23 containing 0.4% BSA. The rates of cleaved oocytes at 48 h after IVF were from 82% to 88% in the groups of control, EA, NA and EA+NA, respectively. The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into blastocysts in the groups of EA and EA+NA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control (35.1, 35.4 vs. 19.4%,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P<0.05) between control and NA. In conclusion, supplemented with essential amino acid or mixture of essential and non essential amino acid in the culture medium at morula stage increased the rate of development to blastocyst on in 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