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characters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의 생태 및 분류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I.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의 서식 환경과 형태적인 특징 (Study on the Ecological and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Zosteraceae) in Korea I. Morp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caespitosa Miki)

  • 이상용;김태진;허승;최청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49-156
    • /
    • 2001
  • 한국산 거머리말속(Zostera, Zosteraceae) 중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의 생태 및 분류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육 환경과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포기거머리말읜 생물지리학적인 분포는 동해연안의 덕산항과 대변, 황해 연안의 백령도 두무진과 남해 연안의 진해에서 종의 실체가 확인되었다. 포기거머리말의 생육지는 만과 항구로 수심 2.5∼5.2 m의 사질과 사니질의 퇴적환경에서 생육하였다. 본 종은 같은 생육지에 생육하는 거머리말 군집보다 깊은 수심에서 군집을 형성하였다. 외부 형태적인 특징은 황해 연안의 개체가 동해 연안의 개체보다 크게 신장하였으며, 생식지가 출현한 시기 의 수온은 6.0∼13.7℃로 1월부터 4월초까지 개화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의 생육지의 수심, 퇴적물의 평균입도와 유기물함량은 개체의 형태적인 형질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엉겅퀴군(국화과)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Cirsium japonicum Complex(Asteraceae) in Korea)

  • 송미장;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292
    • /
    • 2006
  • 이 연구는 다양하게 분류되어온 한국산 엉겅퀴군(Cirsium japonicum complex)을 대상으로 주요 식별형질의 변이 양상에 대한 수리 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그 분류군들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엉겅퀴군의 주요 식별 형질인 잎, 화서, 화관, 총포와 총포편 등 24개의 외부 형태학적 형질과 잎의 경우, 잎의 길이와 폭, 엽두와 엽저의 각, 잎의 털 밀도, 잎의 두께, 가시의 길이 등에 관한 11개의 주요 식별형질들을 측정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개체군과 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개체군들로 구성된 2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주요 식별 형질들의 변이 양상을 고려할 때 좁은잎엉겅퀴(C. japonicum f. nakaianum)의 변이 폭은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의 변이 폭에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산 엉겅퀴군은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 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그리고 가시엉겅퀴의 변이 폭에 포함되지만 꽃이 흰색인 흰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 alba) 등 2변종 1품종으로 정리되었다.

페리칸에서 분리한 Contracaecum rudolphii (Nematoda: Anisakidae)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Contracaecum rudolphii (Nematoda: Anisakidae) from White Pelican)

  • 김현철;김남수;손화영;권보근;허진;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6
    • /
    • 2010
  • 대전동물원에 탄자니아로부터 페리칸이 수입되었고 5일 후에 한 마리가 폐사 하였다. 선위에서 다수의 기생충을 분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3개의 입술이 존재하였고 입술에는 치상돌기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입술 사이에는 순간돌기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순간돌기는 삼각형으로 분기되어 있지 않았다. 수컷은 다수의 전항문 유두 (69-79)가 아복면에 배열되어 있었다. 부총배설강 유두는 대형의 1쌍과 5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형태학적 특징을 기초로 페리칸에서 분리한 기생충을 Contracaecum rudolphii로 분류하였다.

한국산 바위솔속(돌나물과)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Orostachys (Crassulaceae))

  • 이강우;김형덕;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9-371
    • /
    • 2003
  • 한국산 돌나물과 바위솔속 내의 종 내 변이를 조사하고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4종 14집단으로부터 28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집분석 결과, 크게 3개의 유집을 형성하였고, 둥근바위솔, 연화바위솔, 좀바위솔 집단은 가까운 유집을 형성하여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객산리(I)와 가덕도에서 채집된 바위솔은 나머지 바위솔 집단과는 독립된 유집을 형성하여 바위솔 내 형태적 분화가 심하며 이는 기존의 세포학적인 변이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정동진에서 채집된 둥근바위솔 집단은 기존의 동일종 집단과 유집되지 않고, 바위솔 집단에 가깝게 유집되어 형태학적으로 이질적 집단임을 알 수 있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바위솔 집단과 나머지 집단들로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둥근바위솔과 좀바위솔, 연화바위솔 집단은 서로 가깝게 배열되었다.

옥수수 이삭썩음병에 관여하는 Fusarium속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Corn Ear Rot)

  • 최효원;김정미;김진희;홍성기;김완규;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1-129
    • /
    • 2009
  • In 2007, a total of 77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ear rot symptoms of corns collected from 5 locations in Gangwon Province, Korea.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Out of the isolates, fifteen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usarium verticillioides which formed microconidia in long chains on monophialides. Four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subglutinans which formed microconida only on false heads. Six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graminearum which produced red pigment in PDA culture. Besides these Fusarium species, F. napiform, F. nygamai, and F. oxysporum were identified from the rest isolates. To assess for genetic diversity of the isolates, 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technique was carried out using URP primers. The results from the RAPD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s from corn were divided into 6 groups. These RAPD groups of the Fusarium species corresponded to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sarium species.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most isolates by DNA sequencing of EF-1$\alpha$ gene corresponded to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sarium species. The results of pathogenicity tests by two inoculation methods revealed that F. verticillioides, F. graminearum and F. subglutinans are strongly pathogenic to corn stalks.

A new species of Bangiopsis: B. franklynottii sp. nov. (Stylonematophyceae, Rhodophyta) from Australia and India and comments on the genus

  • West, John A.;de Goer, Susan Loiseaux;Zuccarello, Giuseppe C.
    • ALGAE
    • /
    • 제29권2호
    • /
    • pp.101-109
    • /
    • 2014
  • Small red algae, especially those previously referred to as 'primitive' are often overlooked, but can be quite abundant. These 'primitive' red algae are now placed in several classes distinct from the Florideophyceae, for example the Stylonematophyceae. A brownish-red filamentous alga was collected from a sandy tide pool at Cape Tribulation, Queensland, Australia. Cultured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Bangiopsis and conformed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genus (multicellular base, erect filaments branched or unbranched, uniseriate to multiseriate-tubular, single multilobed purple-red to red-brown plastid with central pyrenoid, vegetative cells released directly as spores). Molecular data of two plastid genes (rbcL, psbA) support placement of the Australian isolate and isolates from India in Bangiopsis. The genetic variation between these isolates and isolates from Puerto Rico previously attributed to B. subsimplex indicates that these should be considered as a separate species. As the type locality is in the Atlantic Ocean, French Guiana, and not far from Puerto Rico, and the Puerto Rican isolate has been used often in phylogenetic analyses, we propose that the Indian and Pacific Ocean isolates be designated a new species, B. franklynottii, to acknowledge Ott's many years of research on inconspicuous freshwater and marine red algae. Our research also highlights the lack of careful descriptions in many of the records of this genus and the lack of morphological characters to distinguish species. Especially within the morphologically simple red algae, morphological distinctness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evolutionary divergences.

형태학적 분계분석에 의한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 (Systematics of Korean Thalictrum L. based on a morphological cladistic analysis)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9-99
    • /
    • 2009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의 계통 및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39개의 형태 형질을 바탕으로 Maximum parsimony와 Neighbor-joining을 분석하였다. 식물재료는 한국 고유종을 포함해 내군 21분류군과 외군 1분류군이 사용되었다. 좀꿩의다리절과 금꿩의다리절은 각각 100% 부트츠랩 값과 83% 부트츠랩 값으로 단계통군을 형성하였고, 금꿩의다리절은 좀꿩의다리절의 자매군으로 나타났다. 꽃꿩의다리절과 산꿩의다리절은 측계통군을 형성하였다. 그늘꿩의다리를 제외한 산꿩의다리절은 방사상분지로 나타났다. 꿩의다리절과 발톱꿩의다리절은 각각 독립적인 분계군를 형성하였다. 꿩의다리속 식물에서 주요한 형질인 수술의 모양은 곤봉형이 가장 원시적이며, 원시적인 곤봉형에서 봉형, 그리고 실형으로 파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의 형태는 수분방법(충매, 풍매), 개화시 꽃받침의 존재유무 등 꿩의다리속 식물의 꽃 진화에도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Genetic Resources

  • 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Jin Hwang;Bich-Saem Kim;Jae-Eu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20
  • Safflower, a draught and salt tolerant oil seed crop of Compositae family, has been cultivated around the world mainly as source of edible oils and dyes, where India, the USA, Mexico, Australia, and Ethiopia contributing about 85% of the production altogether. In this study we have characterized some selecte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safflower plant and determined th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237 genetic resources. All the seed coats were white colored while the petals had red, yellow and white pigments. The yellow was the predominant petal color being recorded in 182 accessions followed by red occurring in 49 accessions. The petal color of 47 of the accessions changed with development while the 190 accession showed no change of color. The leaves are ovate to obovate, mostly with dentate (21 moderate and 205 weak) and few smooth (11) margins. The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ranged between 65.7 and 160.8 cm, 14.3 and 37.0 cm, and 3.3 and 12.1 cm, respectively. The TPC was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TPC content ranged from 23.71 to 132.72 µgGAE/mg dried extract (DE). The seeds of safflower genetic resources accounted an average crude fat content of 26.25% (14.84 to 41.70%). The total fatty acid is mainly comprised of 71.72% linoleic acid (18:2) and 20.08% oleic acid (18:1) on average, the remaining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linolenic acid (18:3) contributing 5.84, 2.23 and 0.15 %,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afflower seeds has shown great variability, where oleic and linoleic acid have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9.23 to 83.35% and from 10.46 to 82.62%, respectively

  • PDF

β-Carotene, Cucumisin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Melon (Cucumis melo) Germplasm Collection

  • Hyungjun Noh;Ae-Jin Hwang;Jae-Jong Noh;Bum-Soo Hahn;On-Sook Hur;Na-Young Ro;Jae-Eun Lee;Bit-Sam Kim;Ju-hee Rhee;Jung Yoon Lee;Ji Hyun Kim;Awraris Debie Assefa;Tania Afroz;Myung-kon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ing quality and nutritional traits of melon genetic resources. It could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in breeding for increased β-Carotene, cucumisin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melon.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some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β-Carotene, cucumisin content of 163 genetic resourc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recorded on the field and inside laboratory and nutritional contents for β-carotene, cucumisin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rtic and HPLC methods. Melon fruits have shown a diverse morphological characters. Green and white is dominant for fruit skin color and round and oval-shape is dominant for form in the entire collections. The β-carotene content varied between 0.5 and 233.6mg/kg, 0.7 and 226.5mg/kg, 0.4 and 189.0 mg/kg using UV-Vis and microplated reader instruments, HPLC respectively. The high β-carotene contents were characterized five melon fruit originated from South Africa, Uzbekistan, Albania, France. The cucumisin content varied between 0.3 and 33.5 unit/mg, 0.29 and 32.1unit/mg using UV-Vis and microplated reader instruments, respectively.

  • PDF

『산해경·오장산경』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related Characters in Sanhae-gyeong and Ojang Samgyeong)

  • 무은붕;임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62
    • /
    • 2023
  •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성향이나 역할에 따라 상징적인 의미가 다르다. 『산해경』은 B.C. 3~4세기경에 지어진 판타지 소설로 중국의 고대 소설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유형에 따라 재해를 비롯한 재물, 질환 등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인이 생각하는 동물의 상징성과 판타지 소설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상징성, 그리고 형태적인 분석은 중국의 캐릭터 개발 및 영화 산업에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 고전 판타지 소설 『산해경』,『산해경도상전체』, 『산해경도』와 청나라시대의 『산해경존』, 『산해경도록』을 중심으로 캐릭터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삽화 이미지에서 캐릭터의 형태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산해경의 453개의 캐릭터 중 수해와 관련된 캐릭터는 8개로 '장우', '합유', '화사', '영령', '부제', '승우', '만만', '나어'로 출현만으로도 홍수 및 장마와 같은 수해를 일으키는 캐릭터로 묘사되어 있다. 셋째, 현실 동물과 산해경 캐릭터에 등장하는 캐릭터의상징적인 의미와는 별도로 사물과 동식물이 결합된 창작 캐릭터임을 알 수 있다. 산해경의 지속적인 캐릭터 분석은 영화산업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