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eme Analysi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6초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특성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 김수영;배소영
    •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77-91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substantive morphemes and connective endings) of Korean speak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 (LI). Participants were two children (ages 5;11 and 6;2) with SLI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wo LD (language delay) children (ages 6;3 and 6;5) with 70-84 range on a performance-IQ test, and two children (ages 5;7 and 6;1) with ND (normal development).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were elicited by play activities and story generation. A total of 8,059 (M=I,343, ranged 966-1,659) intelligible and nonimitative utterances were analyzed by the KCLA 2.0 (Korean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2.0) program for substantive morphemes and connective e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Korean speaking children with LI including SLI demonstrated less uses of grammatical morphemes than ND children. (2) Few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LI and ND children in the use of the grammatical morpheme types. (3) LI childre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grammatical morpheme errors in spontaneous speech than ND children. (4) Few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LI and LD children in degrees of the use and the error of grammatical morphemes.

  • PDF

워드 임베딩과 CNN을 사용하여 영화 리뷰에 대한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 on Movie Reviews Using Word Embedding and CNN)

  • 주명길;윤성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7-97
    • /
    • 2019
  • Reaction of people is importantly considered about specific case as a social network service grows. In the previous research on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they predicted tendency of interesting topic by giving scores to sentences written by user. Based on previous study we proceeded research of sentiment analysis for social network service's sentences, which predict the result as positive or negative for movie reviews. In this study, we used movie review to get high accuracy. We classify the movie review into positive or negative based on the score for learning. Also, we performed embedding and morpheme analysis on movie review. We could predict learning result as positive or negative with a number 0 and 1 by applying the model based on learning result to social network service. Experimental result show accuracy of about 80% in predicting sentence as positive or negative.

KNE: An Automatic Dictionary Expansion Method Using Use-cases for Morphological Analysis

  • Nam, Chung-Hyeon;Jang, Kyung-Si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191-197
    • /
    • 2019
  • Morphological analysis is used for searching sentences and understanding context. As most morpheme analysis methods are based on predefined dictionaries, the problem of a target word not being registered in the given morpheme dictionary, the so-called unregistered word problem, can be a major cause of reduced performance. The current practical solution of such unregistered word problem is to add them by hand-write into the given dictionary. This method is a limitation that restricts the scalability and expandability of dictionarie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automatically expand a dictionary by means of use-case analysis, which checks the validity of the unregistered word by exploring the use-cases through web craw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 feasible one in terms of the accuracy of the validation process, the expandability of the dictionary and, after registration, the fast extraction time of morphemes.

형태소 및 구문 모호성 축소를 위한 구문단위 형태소의 이용 (Using Syntactic Unit of Morpheme for Reducing Morphological and Syntactic Ambiguity)

  • 황이규;이현영;이용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7호
    • /
    • pp.784-793
    • /
    • 2000
  • 기존의 한국어 형태소 해석은 한국어의 교착어 특성상 다양한 형태론적 모호성을 가진다. 이러한 형태론적 모호성은 많은 구문 모호성을 만들어 내어 올바른 의미를 가지는 파스트리의 선택을 어렵게 한다. 한국어에서 이런 형태론적 모호성의 대부분이 보조용언이나 의존 명사와 관련이 있다. 보조용언이나 의존명사는 주위의 형태소들과 강한 결합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자립성이 없는 기능형태소이다. 결합된 형태소들은 문장 내에서 하나의 기능적 역할이나 구문적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품사 태깅된 20 만 어절 크기의 말뭉치로부터 이 형태소열을 찾아 이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를 구문 형태소로 정의하고 구문 형태소를 구문 분석의 기본 입력 단위로 간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형태소가 아래와 같은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1) 형태소 해석의 축소, 2) 구문 해석 도중 불필요한 부분 파스트리의 배제, 3) 구문 모호성의 축소.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구문단위 형태소가 형태소 및 구문 모호성을 축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을 보인다.

  • PDF

한글 형태소 및 키워드 분석에 기반한 웹 문서 분류 (Web Document Classification Based on Hangeul Morpheme and Keyword Analyses)

  • 박단호;최원식;김홍조;이석룡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4호
    • /
    • pp.263-270
    • /
    • 2012
  • 최근 초고속 인터넷과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발전으로 웹 문서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문서의 주제별 자동 분류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형태소 및 키워드 분석에 기초한 문서 특성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같은 비구조적 문서의 주제를 예측하여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문서 특성 추출을 위하여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여 용어를 선별하고, 각 용어의 빈도와 주제 분별력을 기초로 주제 분별 용어인 키워드 집합을 생성한 후, 각 키워드에 대하여 주제 분별력에 따라 점수화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문서 특성을 기초로 상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의사 결정 트리, 신경망 및 SVM의 세 가지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특성 추출 방법을 이용한 문서 분류는 의사 결정 트리 모델의 경우 평균 Precision 0.90 및 Recall 0.84 로 상당한 정도의 분류 성능을 보여 주었다.

부분어절 조건부확률 기반 동형이의어 태깅 모델 (Korean Homograph Tagging Model based on Sub-Word Conditional Probability)

  • 신준철;옥철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0호
    • /
    • pp.407-420
    • /
    • 2014
  •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태깅은 크게 2가지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단계는 어절을 분석하여 후보들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러 의미를 가진 어절은 이 단계에서 다양한 후보들이 생성된다. 두 번째는 문맥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중에 가장 적절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흔히 태깅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이하 HMM)을 자주 사용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부분어절 조건부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우선적으로 인접 어절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처리 중인 어절의 의미를 결정하고, 예외적으로 용언이 인접한 경우에만 후보 정보의 극히 일부분을 이용한다. 실험 결과 정확률은 HMM의 96.49%보다 0.07% 낮았지만, 처리 소요 시간을 약 53% 감소시켰다.

우리말 중 한자차용 실태 고찰 - 중국어의 한자차용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Study on Chinese Character Borrowing in Korean Language)

  • 박석홍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359-384
    • /
    • 2013
  • There is linguistic phenomenon that Korean syllable, morpheme and word are substituted with Chinese Character. These phenomenon is called Chinese Character Borrowing, the Chinese character used here is called Borrowed Chinese Character. Whereas borrowing Chinese character in Chinese is used for borrowing only sound for different word, borrowing Chinese character in Korean is used for assigning new meaning. Hence, by borrowing Chinese character in Korean, a syllable which had no meaning originally get new meaning, morpheme and word meaning has changed. At advertisement and campaign, Chinese Character Borrowing has lots of linguistical advantage such as visual immediacy, effectiveness of meaning expression. However, there are number of cases found that violate grammar rule and word constitution practice by Chinese Character Borrowing. For this reason, Chinese Character Borrowing has the problem polluting Korean along with another foreign words. Thus, this paper focus on study Chinese Character Borrowing phenomenon in Korean, and analysis its effectiveness and impact in Korean. In addition, analysis the problem of Borrowed chinese Character, and suggestion several alternative for right use of Korean is followed.

좌최장일치법과 HMM을 결합한 경량화된 한국어 형태소 분석 (Light Weight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Using Left-longest-match-preference model and Hidden Markov Model)

  • 강상우;양재철;서정연
    • 인지과학
    • /
    • 제24권2호
    • /
    • pp.95-10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는 기기에 적합한 경량화된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 방법을 제안한다. 관련된 초기 연구로는 규칙에 기반을 둔 방법들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통계에 기반을 둔 방법들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계산 처리 능력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제한되는 환경에서는 규칙에 기반을 둔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통계에 기반을 둔 방법을 사용하여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규칙에 기반을 둔 형태소 분석 방법인 좌최장일치법을 개선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적인 방법인 hidden Markov model을 축소하여 형태소 품사 부착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한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을 보여주며 소량의 메모리 사용과 월등히 빠른 속도로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형태소 분석 기반 전자책 수화 번역 프로그램 (E-book to sign-language translation program based on morpheme analysis)

  • 한솔이;김세아;황경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61-467
    • /
    • 2017
  • 인터넷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산으로 e-book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청각 손실로 정확한 언어를 배우기 어려운 청각장애인은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e-book 서비스를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e-book의 문장을 읽어 수화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e-book의 한국어 문장을 수화 언어로 번역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수화 표현을 위한 문장 요소 제거, 2단계는 수화 표현의 변환 및 시제 표현, 3단계는 수화 높임말 용어 변경 및 위치 이동이다. 또한 수화 번역 품질에 대한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100개의 기준 문장에 대해 제안한 알고리즘을 통한 번역 결과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Out-of-Vocabulary 단어에 강건한 병렬 Tri-LSTM 문장 임베딩을 이용한 감정분석 (Sentiment Analysis using Robust Parallel Tri-LSTM Sentence Embedding in Out-of-Vocabulary Word)

  • 이현영;강승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16-24
    • /
    • 2021
  • word2vec 등 기존의 단어 임베딩 기법은 원시 말뭉치에 출현한 단어들만을 대상으로 각 단어를 다차원 실수 벡터 공간에 고정된 길이의 벡터로 표현하기 때문에 형태론적으로 풍부한 표현체계를 가진 언어에 대한 단어 임베딩 기법에서는 말뭉치에 출현하지 않은 단어들에 대한 단어 벡터를 표현할 때 OOV(out-of-vocabulary)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 벡터들로부터 문장 벡터를 구성하는 문장 임베딩의 경우에도 OOV 단어가 포함되었을 때 문장 벡터를 정교하게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착어인 한국어는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가 결합되는 형태론적 특성 때문에 미등록어의 임베딩 기법은 성능 향상의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어의 형태학적인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문장 수준으로 확장하고 OOV 단어 문제에 강건한 병렬 Tri-LSTM 문장 임베딩을 제안한다. 한국어 감정 분석 말뭉치에 대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한국어 문장 임베딩을 위한 임베딩 단위는 형태소 단위보다 문자 단위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병렬 양방향 Tri-LSTM 문장 인코더는 86.17%의 감정 분석 정확도를 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