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development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7초

아동·청소년의 도덕적 사고 왜곡과 또래괴롭힘 피해/가해경험 간의 관계 :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및 사이버 또래괴롭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Physical, Verbal, Relational, and Cyberbullying)

  • 이승은;김은영;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99-1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were administered to 678 students in the 4th, 5th, 7th, 8th, 10th and 11th grad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ile gra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ral cognitive dist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gender did not. On bullying perpetration and bullying victimization, both gender and gra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2) Moral cognitiv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bullying. More specif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affect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bullying perpetration were found to be worst-case-scenario thinking and other-blame thinking, respective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victimization wa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y worst-case-scenario thinking, followed by gender; perpet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worst-case-scenario thin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victimization wa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y other-blame thinking, followed by gender; perpet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other-blame thinking.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A Way to Develop Contents for Officials Ethics Education using Value Clarification)

  • 박균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15-423
    • /
    • 2019
  •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가치명료화 기법은 도덕성의 다양한 측면인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실천력 중에서 도덕적 판단 역량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공직윤리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과 그 평가 방안 등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는 콘텐츠 모형을 제시하는 데 주안을 두기 때문에 자체 검증 결과를 제시하지 하지는 않는다. 향후 연구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유아의 도덕적 및 인습적 규칙에 대한 판단 (Preschool Children's Judgment on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 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9-62
    • /
    • 1996
  •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Korean young children's judgement on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The subjects are 120 children, 30 each at four age levels; age 3(2.8-3.5), age 4(3.7-4.4), age 5(4.8-5.5), and age 6(5.7-6.5) in a day care center in Taegu.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nonpermissi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the moral and the conventional rule transgression between the group of age 3 years and three groups of ages 4, 5, and 6. 2. In terms of serious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omain. Three groups ages 4, 5 and 6 years evaluate moral transgressions to be more serious than conventional transgressions. 3. In terms of rule contingency and generaliz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the moral and conventional transgression between the group of age 3 years and three groups of ages 4, 5 and 6. 4. In terms of punish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omain. Three groups of age 4, 5, and 6 years evaluate moral transgressions to be more punishable than conventional transgressions. 5. Children of age 5 with institutional experience do not make a distinction between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on punishment criterion.

  • PDF

간호학생의 도덕판단과 윤리적 가치관 (A Study on Moral Judgement and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 권영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sources for educational program that identifies moral judgement and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14 nursing students in colleg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orean Form of Moral Development Inventory(Shin, 1997) and Nursing Ethical Values(Lee, 1990) from March 5 to 21. 2002.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stage 5B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other stages. The mean score of P(%) was 39.15.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P(%) and general characteristics. 2. The mean score of the nursing ethical values was 3.38. The nursing students took the position of deontology slightly. In nurse-colleague relationship area(4.22), the subjects should to taking evidently deontological position. 3.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except nurse-patient relationship area among subcategory of ethical values. The mean score of this area by influence person of moral develop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5 level. 4. The trend of subjects in action choices on 4 dilemmas of the DIT showed between-subjects variability. Action choices on 'Heinz and the drug', 'Doctor's dilemma', and 'webster' were 'pro' in most of subjects, whereas 'escaped prisoner' was 'con'. 5. The ethical values in human-life area associated with action choices on 'Heinz and the dru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 And the nursing ethical values, human-life area, and nurse-nursing task relationship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tion choices on 'Doctor's dilemma'. 6. There was found little correlation between action choices on 4 dilemmas of the DIT and moral judgement. Also littl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action choices on 4 dilemmas of the DIT and ethical value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moral judgement and nurse ethical values.

  • PDF

신경윤리와 기독교교육 (Neuroethics and Christian Education)

  • 유재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145-171
    • /
    • 2020
  • 오래 전부터 기독교 신앙공동체는 교회의 윤리적 규범과 행동양식을 성찰 대상으로 삼은 채 어떤 형태의 도덕 판단이 적절하고, 올바른 기독교적 행동양식이 무엇인지 규명하려고 노력해왔다. 기독교교육 역시 피아제와 콜벅의 심리적 합리주의에서 근거를 찾으려고 했으나 이성 중심의 구조발달주의는 해답을 제시하지 못했다. 실제로 도덕 판단 과정에서 정서를 배제한 채 인지 또는 이성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한편, 무엇보다 자율성을 중시했던 구조발달주의는 기대했던 것과 달리 도덕적 상대주의를 초래하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도덕 추론과 행위 사이의 간극을 적절하게 해명하지 못했을 뿐더러 도덕성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과도하게 해석하려고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구조발달주의의 한계는 도덕 판단 능력이 뇌에 물리적으로 배선되어 있고, 피질과 번연계 간의 네트워크를 상당 부분 의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신경윤리, 특히 도덕 심리 이론에 의해 최근에 재해석되고 있다. 이 논문은 새롭게 등장한 신경윤리의 연구주제 가운데 일부를 검토하고 나서 도덕성을 신경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주요 이론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학이 향후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거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일부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 (Level of Moral Development in Pre-dental Professionals)

  • 곽정숙;문상은;김윤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0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파악하고 윤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 10월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2개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450명을 대상으로 간편형 도덕 판단력 검사지(DIT)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대학생의 P(%)점수는 43.10이었고, 치위생과학생의 P(%)점수는 41.21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190). 2.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 단계별 점수는 5A단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3, 4, 6, 5B, 2단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5B단계(p=0.014)와 6단계(p=0.010)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도덕성 발달 단계별 점수는 치과대학생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6단계, p=0.003). 치위생과학생의 경우 종교(5B단계, p=0.044), 출생 순위(2단계, p=0.027), 성장지역(4단계, p=0.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P(%)점수와 각 도덕성 발달 단계간의 상관관계는 2, 3, 4, 5B단계와는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5A, 6단계와는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반 대학생에 비해 낮은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과계 현실에 맞는 윤리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체계적인 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도덕 판단력 변화와 윤리교육 효과측정 방법 (Changes in Nursing Students' Moral Judgment and Ways to Evaluate the Effect of Ethics Education)

  • 이미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1-36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changes in nursing students' moral judgment throughout their professional education, and to identify more suitable ways to evaluate ethics education by using P (%) scores only and P (%) scores with 4th score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urveys as well as a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Gyeongju,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06 to October 31, 2009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Defining Issues Test. Results: In the cross-sectional 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sing students' moral judgment scores according to their school grades. In the longitudinal survey, nursing students' moral judgment sco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he duration of their education. I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study,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was identified by P (%) scores only. Conclusion: The evidence indicates that nursing professional education does no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moral judgment, and using P (%) scores only seems to be a better way compared to other way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 진태원;김사준;이흥표;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163-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군, 행동장애군,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SM-III-R 기준에 따라 선별된 행동장애군 47명과 소년원군 173명 및 남녀 중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설문과 주제정의검사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은 한국판 가정환경척도(신윤오와 조수철 1994)를 사용하였고 도덕발달단계는 Rest의 주제정의검사(문용린 1986)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환경과 도덕발달의 행동장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cheffe test에 의한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1) 소년원군의 교육수준은 중학교 2, 3학년이 많았던 데 비하여 행동장애군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이 가장 많았다. 세 집단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이라고 지각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신체적 학대에 대한 지각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년원군에서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가 가장 많았으며 행동장애군에서도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특히 소년원군의 경우에는 영유아기와 초등학교의 어린 시기에 부모의 이혼과 별거를 경험하였다. 2) 가정환경요인의 비교결과 표현성, 독립성, 지적-문화적 추구, 도덕적-종교적 강조, 조직화 및 조절성 등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족내 응집력은 정상군이 소년원군보다 높았으며 가족갈등은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또한 성취 지향성이 소년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능동적 여가활용성에서는 정상군이 월등하게 낮았다. 3) 도덕적 발달단계를 비교한 결과,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하위 도덕발달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년원군의 반체제 지향성이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이 체벌이나 사회경제적 변인보다 부모의 이혼과 별거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붕괴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혼과 별거의 조기발생이 높을수록 비행에 일찍 노출될 가능성이 많았다. 또한 가족구성원간의 정서적 응집력과 가족구성원들의 충동 및 감정통제능력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행동장애군과 소년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학업부담과 성취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유희와 즉각적 욕구만족을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고, 대개 도덕발달 수준이 낮았으며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성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 PDF

퇴계와 율곡의 인심도심설 - 주자 심론의 한국적 전개 - (Toegye and Yulgok's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 The Korean Development of Chutzu's Theory of Mind)

  • 전현희
    • 한국철학논집
    • /
    • 제41호
    • /
    • pp.93-127
    • /
    • 2014
  • 퇴계와 율곡은 모두 현실 감정으로부터 선의 지평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퇴계는 선의 지평이 이치에 의해 마련된다고 보았으며, 율곡은 그것이 기운에 의해 마련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치에 의해 마련한 선의 지평으로서의 사단은 인간의 주체성을 위협할 수 있었으며, 기운에 의해 확보된 선의 지평으로서의 중절한 감정은 그 중절의 여부가 자체로 증명되지 않았다. 그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심도심설을 통해 풀어간다. 퇴계에게 도심은 인간을 도덕적 주체로 서게 하는 것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율곡에게 도심은 중절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반면 주자 인심도심설에 의하면 인심도심은 지각하는 마음으로서, 미발과 이발을 주재하여 중화中和를 이루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이발에 한정되는 마음이 아니다. 그렇다면 퇴계와 율곡의 인심도심설은 그들 고유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통해 새롭게 전개된 결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퇴계와 율곡의 인심도심설은 의지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마음의 선을 실질적 선행으로 이끄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아울러 인간을 도덕적 주체로 서게 하기 위한 공부론의 토대를 경험 가능한 심리적 층차에 마련했다는 점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마음이론을 완성했다는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간호윤리 교육이 간호학생의 도덕적 사고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Moral Reasoning and Ethical Decision Making for Student Nurses)

  • 한성숙;안성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68-284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NEE) on moral reasoning and ethical decision making of subjects. This NEE that was teached for 10 hours course was composed of these : Nurses' ethical code, moral responsibility, Moral value and professional accountability, Respect for human life, General ethics, Theory and Norms of biomedical ethics, Ethical decision making model and Discussion about hypothetical ethical dilemmas Twenty-five senior student nurses were sampled from four year college of nursing from Nov. 3rd, 1993 to Nov. 24th, 199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ed two kinds of tests. Rest's Defining Issues Test was adopted to measure the stage of moral development, which was classified with the stage 2 (instrumental relativist orientation), the stage 3 (interpersonal concordance), the stage 4 (law and order), the stage 5A (societal consensus), and the stage 5B (intuitional humanism), the stage 6 (universal ethical practice). In particular, the level of principled thinking (P) was measured by summing these scores of the stages 5A, 5B, and 6. The possible range of P is 0 to 95. As for measuring the levels of morality and nursing dilemma, Crisham's Nursing Dilemma Test was adopted. This test generated the morality score(MS) and the dilemma score (D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Mc Nemar'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the Moral Reasoning both before and after NEE, The Mean score of the stage 5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tages.(P=0.0001) Before NEE, the mean score of the stage 4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tage 2, 3, 5A, and after NEE, different from stage 2, 5B,6. 2. The analysis of change of moral development level revealed that the score of stage 4 increased after NEE.(P=0.0004) 3. The Effect of NEE for the mean score of 5A, 6, P after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birth place. 4. With regard to the five dilemmas postulated such as forcing medication performing cardiac pulmonary resuscitation, reporting a medication error, informing diagnosis to terminally ill adult, and providing new-nurse orientation, the mean score of the MS and the D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Effect of NEE morality score and dilemma score after educ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5. A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moral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the score of the stage 2, 5A, 6, 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before and after.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the scores of stage 2 and stage 4, stage 3 and 6.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stage 2 and of stage 4 and of stage 5A. The score of the stage 5A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sge 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