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Pur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나는 순수했다!: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과 친사회적 행동 (Autobiographical Memory of Childhood and Prosocial Behaviors)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73-90
    • /
    • 2021
  •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이 한 개인의 자기개념에 영향을 끼침을 보고하였다. 반면, 아동기 경험의 회상방식이 성인기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해석수준에 따라 분석하려 한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또는 최근 일상의 경험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기화가 달라지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아동기 경험을 추상적 또는 구체적으로 회상하는 방식이 해석수준의 차이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아동기의 경험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가자들은 아동기의 경험을 회상하는 조건에서 최근 일상을 회상하는 조건보다 자신의 도덕적 순수함에 대해 더 높게 평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아동기의 도움행동을 구체적으로 회상하는 조건에서 아동기의 경험을 추상적으로 회상하는 조건보다 향후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가 감소됨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아동기의 경험에 대한 해석수준(추상적 vs. 구체적)과 도덕적 면허의 감정이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 개인의 친사회적 행동과 연관된 인지과정의 변인을 탐색하여 선행연구를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Functionalism Expressed in the Art to Wear

  • Seo, Seung-Mi;Yang, Sook-Hi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5권2호
    • /
    • pp.1-14
    • /
    • 2002
  • 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istic concept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Functionalism, and to study the art's aesthetic value of functionalistic expressionist artists implication and form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product design. Secondly, it analyzes the implication and shape of Functionalism towards 'Art to Wear', which can be explained as a mixture of fashion and a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istic 'Art to Wear' of Mechanical Analogy appears to have futuristic inclination stressing the significance of geometric shapes and machine aesthetics. It uses new materials, and reduce an unnecessary work of art to convey more accurate, concrete and effective character of form. Secondly, functionalistic 'Art to Wear' of Organic Analogy regards natural elements as important to pursue the warm human nature. Also, it appears to be free and comforting forms of Functionalism through an organic silhouette. Thirdly, functionalistic 'Art to Wear' of Moral Analogy excludes excessive ornaments, and includes the implication of appropriate and purposive purity which serves for practical function.

  • PDF

재현에서 이미지로: 현대 미술비평의 탈재현 전략 (Toward Image: The politics of 'Non-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criticism)

  • 최광진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2권
    • /
    • pp.125-143
    • /
    • 2007
  • The politics penetrating through the contemporary art since modernism to postmodernism is to accomplish the 'Non-representation' in the artworks. This study argues that postmodernism did not put an end to the formalistic feature of modernism but intended to accomplish it. Modernist art aimed at purity, i.e. self-referential and self-definition art advocated by Clement Greenberg, and it carne to the end by accomplishing flatness and materiality. It was an 'evasion to the matter' which allocated the object from visuality of outer object to the psychic image of the subject. It failed being 'non-representational' as what it really achieved was transition of object. Jean Baudrillard's theory tried to overcome the representational quality by 'being simulacre'. In the representative artworks of the past, the meaning of artworks was reverted under the outer context or object. The meaning again failed being 'Non-representational' as it was restored to the psychic image of the subject in modernist artworks where the definite illusion was demolished Meanwhile, artwork advocating simulacre acquired Non-representational quality by liberating from both models. It did not deconstruct the self-referential tendency of modernism but maximized the Non-representational modernistic principle. After creating 'Non-representation' through simulacre, the existential status and function of an artwork is the inclination and moral of contemporary art as 'Non-representation'. The image theory of Henri Bergson sets the existential status of 'image' as it does not belong to either subject nor object. It provides significant foundation for arguing the existential status of simulacre. Moreover, though an artwork as a fragment forming a movement image in the world cannot represent the object, it can however sustain certain kind of fractal resemblance with the world by letting the two parties communicate. The theory of sense by Gilles Deleuze is of profound significance as it specifically indicated way how the stage of absorption through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is realized in forms of artworks, and configured the latent and invisible energy.

  • PDF

포도주, 광기 그리고 나쁜 피 -『제인 에어』 속 제국주의 다시 읽기 (Wine, Madness and Bad Blood: Re-Reading Imperialism in Jane Eyre)

  • 김경숙
    • 영어영문학
    • /
    • 제57권2호
    • /
    • pp.339-365
    • /
    • 2011
  • Charlotte $Bront{\ddot{e}}^{\prime}s$ novel Jane Eyre has long been doted on as one of the canonized texts of British literature since its publication. Seemingly, this romantic novel has nothing to do with plantation based on slave trade. However, paying a keen attention to the fact that Jane's enormous inheritance results from wine plantation at a colony, this essay re-interprets Bertha's drinking and madness as evidence of imperialism. For the porter/jin Bertha and Grace Poole enjoy might have some suspicious connection with wine, the very root of Jane's great expectations. Jean Ryes' Wide Sargasso Sea, writing Jane Eyre back, records Bertha as "a white resident of the West Indies, a colonizer of European descent" (326). However, Jane Eyre, in my interpretation, describes Bertha pretty much as a black Creole. At any rate, the view that the white West Indians are tainted by miscegenation proves contemporary racism and is reflected in the text through Bertha and her mother's intemperate drinking and madness. Drinking and madness are stigmatized as the evidence of the so-called "bad blood"; embodying the stereotypes of drinking, madness, and sexual corruption, Creoles, the very inescapable product of imperialism, provide a convenient excuse for justifying imperialism for purity, civilization, and moral cleanness. In this way, Jane Eyre needs to be re-interpreted politically and historically in the context of colonialism. British imperialism pursues a tremendous amount of profits through grape plantation and wine trades; however, it cleverly leaves in the colony the associated images such as intemperate drinking and madness. Bertha, transferred from Jamaica to Britain, takes in these negative images of "savageness." Transcending the narrow confines of feminist criticism obsessed with doubling between Bertha and Jane, this essay, accordingly, reads Bertha the prisoner in the attic as the captive for perpetuating imperialism. This reading hinges upon interpreting Rochester and St John as colonizers bearing the so-called "white men's burden" to cultivate and civilize savages much like crops such as grapes and sugarcane in the colonial plantation.

초정(艸丁) 김상옥(金相沃) 시조(時調)에 나타난 자연관(自然觀) (A Study on the View on Nature in Ch'o-Jung's Three-Verse Poems(Sijo))

  • 최흥열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263-300
    • /
    • 2009
  • 이 글은 초정(艸丁)의 초기 시조집(時調集)인 "초적(草笛)"에서 마지막 시조집인 "느티나무의 말"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발견(發現)되는 자연관(自然觀)을 형식주의적(形式主義的) 방법(方法)과 구조주의적(構造主義的) 방법(方法)을 참고로 하여 자연관(自然觀)을 탐색(探索)하는데 목적(目的)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시조시인(時調詩人)의 자연(自然)을 인식(認識)하는 사유체계(思惟體系)로서 기존(旣存)의 성과(成果)들을 수용하면서 사상적(思想的) 배경(背景)으로 고시조(古時調)에 나타나는 전통적(傳統的) 자연관(自然觀)의 동질성(同質性)이나 유이성(類似性)을 염두에 두면서 이질성(異質性)도 살피려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수행은 초정(艸丁)시조의 내적(內的) 감정의 지향성(指向性)을 자연(自然)의 형태를 빌어서 살펴봄으로서 전통(傳統)의 계승과 발전적(發展的)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초정(艸丁) 시조(時調)에 나타나는 자연관(自然觀)의 고찰(考索)은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할 것이다. 전통적(傳統的)인 동양(東洋)의 자연관(自然觀)과 맥을 같이하는 고시조(古時調)에 나타나는 자연관(自然觀)의 흐름과 그 전통에 주목하면서 고시조(古時調)와 초정(艸丁) 시조에 나타나는 자연관(自然觀)을 천착(穿鑿)한 결과 고시조(古時調)에서 추출(抽出)되는 자연관(自然觀)은 첫째, 심성수양(心性修養)의 자연관(自然觀)으로 16세기의 자연관은 혼탁(混濁)한 정치현실과 대립되는 심성수양(心性修養)의 자연관, 둘째, 한거(閑居) 노동(勞動)의 자연관으로 17세기에 이르면 도학적(道學的) 우주론적(宇宙論的)인 전범성(典範性)이 쇠퇴(衰退)하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자연관(自然觀)에서 약화되고 강호(江湖) 한거(閑居)의 감흥이나 전원생활(田園生活)의 구체적(具體的) 노동 공간으로 시적 관심사(關心事)가 나타난다. 셋째, 은일적(隱逸的) 격리(隔離) 공간의 자연관(自然觀)으로 19세기에 오면 중앙정치에서 소외된 사족(士族)들은 정권에 참여하려는 꿈을 접고 향촌(鄕村)에서 기득권(旣得權) 보전에나 힘쓰면서 세도가문(勢道家門)의 정국주도권(政局主導權)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넷째, 자유분방(自由奔放)의 자연관(自然觀)으로 조선 후기로 넘어 오면서 도시(都市) 상업문명(商業文明)의 발달과 중간층(中間層)의 사회적(社會的) 부상(浮上)으로 시조의 형유층(享有層)이 사대부(士大夫)의 독무대에서 중간층(中間層)이 새로운 시조의 형유층(享有層)으로 부상하는데 가객(歌客)의 등장이다. 문화적(文化的)으로 성장한 중간층(中間層) 지식인들은 시조를 자신의 예술적(藝術的) 교양물(敎養物)로서 애호(愛好)하며 창작(創作)한 그룹이다. 20세기에 이르러 초정의 시조에서 발견(發現)되는 자연관은 첫째, 전통적(傳統的)인 관념논적(觀念論的) 자연(自然)인식으로 꽃을 빌어 사친(思親)을 연역하여 내는 데 있어 인생논적(人生論的) 의미는 배제되고 그 대신 객관적(客觀的) 사물성(事物性)으로 치환(置換)하여 간접적(間接的)으로 표현(表現)하고 있다. 둘째, 서정적(抒情的) 사향(思鄕)과 동경(憧憬)의 대상이다. 초정의 서정(抒情)의 지향성(指向性)과 모더니즘적 기교(技巧)가 보여 시각적(視覺的) 이미지로 고향의 그림이 보이고 있다. 셋째, 근원적(根源的) 사친(思親)의 인식(認識)을 보인다. 넷째, 유기체적(有機體的) 생명성(生命性)을 보인다. 다섯째, 노장적(老莊的) 정적미(靜寂美)를 표출(表出)하고 있다. 정적미(靜寂美)의 인식 대상은 구름 달 눈 낙수 산 낙엽 숲 하늘 봄 됫뫼 꽃 강남 강 바다 바람과 같은 원초적(原初的) 자연(自然)으로서 사물화(事物化)하고 이것을 다시 계절 감각으로 포착(補捉)하는 이원적(二元的) 표현(表現) 구조(構造)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각(自覺)과 관조(觀照)의 인식이 발현되는 "초적(草笛)" 제3부 "노을빛 구름"에는 문화적(文化的) 유물(遣物) 혹은 역사적(歷史的) 유물(遺跡)을 소재로 한 시조가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청자부(靑磁賦)>, <백자부(白濾賦)>, <옥적(玉笛)>, <십일면 관음(十日面 觀音)>, <다보탑(多寶塔)>, <촉석루(矗石樓)>, <무열왕릉(武烈王陵)>, <포석정(鮑石亭)>, <재매(財買)>, <여황산성>등의 작품이 실려 있다. "초적(草笛)"에서 보여준 고전적(古典的) 문화유산(文化遺産)에 대한 깊은 자각(自覺)과 관조(觀照)는 그 이후의 시조집인 "삼행시육십오편(三行詩六十五篇"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항아리", "이조(李朝)의 흙", "내가 네 방(房)에 있는가", "관계(關係)", "포도인영가(蘭菊印影歌)", "착한 마법(魔法)", "금(金)을 넝마로 하는 술사(術士)" 등의 작품이 도자(陶磁)를 시적(詩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초정(艸丁) 김상옥의 시조에서 나타나는 자연관(自然觀)은 자연(自然)과 순응(順應)하는 고시조(古時調)의 전통(傳統)을 계승(繼承)하고 나아가 관념논적(觀念論的) 자연(自然) 인식(認識)이 자연(自然) 상관물(相關物)을 통하여 구체화된 사물화(事物化)로 나타나 표현(表現)의 간접성(間接性)을 드러낸다. 이러한 표현의 복합적(複合的) 중층구조(中層構造)는 고시조(古時調)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용논적(實用論的) 자연관(自然觀)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