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Streamflow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Gamma 분포모델에 의한 하천유량의 Simulation에 관한 연구 (Stochastic Simulation of Monthly Streamflow by Gamma Distribution Model)

  • 이중석;이순택
    • 물과 미래
    • /
    • 제13권4호
    • /
    • pp.41-50
    • /
    • 1980
  • 본 연구는 Gamma 분포의 이론적 검토와 이의 수공학에의 적용, 즉 Gamma 분포의 적합성 및 Gamma 모델에 의한 하천유량의 Simulation에 대한 연구와 검토를 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에 있어서 우리나라 주요하천(낙동강, 한강 및 금강)의 월유량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자료를 Modular coefficient로 변환시켰다. 먼저 이변수 Gamma 분포형에 대한 월류량에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이로부터 Gamma 분포형과 Monto Carlo 기법을 기초로 한 Gamma 모델에 의하여 월류량의 Simulation을 행하였다. 그 결과 기록치와 매우 근접한 Simulation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융설을 고려한 물수지 모형을 이용한 소양강 댐 상류 유역의 월 유출량 산정 (Simulation of Monthly Streamflow for the Soyang Basin Using Water And Snow balance MODeling System)

  • 김병식;장대원;서병하;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융설을 고려할 수 있는 물수지 모형인 WASMOD(Water And Snow MODeling system)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소양강댐 상류유역에 적용하여 장기 월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WASMOD의 장점은 입력자료의 구축이 간단하며 사용자가 쉽게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모형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자동추적법인 VA05A를 이용하였으며, 관측 월 유출 수문곡선과 모의 월 수문곡선을 비교하였다. 관측 유출량과 계산 유출량간의 상관계수가 0.89이상으로, 이를 통해 WASMOD의 국내 유역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ochastic simulation based on copula model for intermittent monthly streamflows in arid regions

  • Lee, Taesam;Jeong, Changsam;Park, Taewoo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8-488
    • /
    • 2015
  • Intermittent streamflow is common phenomenon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To manage water resources of intermittent streamflows, stochactic simulation data is essential; however the seasonally stochastic modeling for intermittent streamflow is a difficult task. In this study, using the periodic Markov chain model, we simulate intermittent monthly streamflow for occurrence and the periodic gamma autoregressive and copula models for amount. The copula models were tested in a previous study for the simulation of yearly streamflow, resulting in successful replication of the key and operational statistics of historical data; however, the copula models have never been tested on a monthly time scale. The intermittent models were applied to the Colorado River system in the present study. A few drawbacks of the PGAR model were identified, such as significant underestimation of minimum values on an aggregated yearly time scale and restrictions of the parameter boundaries. Conversely, the copula models do not present such drawbacks but show feasible reproduction of key and operational statistics. We concluded that the periodic Markov chain based the copula models is a practicable method to simulate intermittent monthly streamflow time series.

  • PDF

월유출량에 대한 Run-Length의 해석 (Analysis of Surplus and Dficit-using Runs for Monthly Streamflow)

  • 강관원;안경수;김양수
    • 물과 미래
    • /
    • 제18권4호
    • /
    • pp.317-325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한강 및 금강의 중요관측지점의 월평균 유출량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먼저 일정유량(Truncation level) 별로 Run-length와 Run-sum에 대한 2-변수 Gamma 분포 및 대수정규분포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던 바 Gamma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자료와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Run-length 및 Run-sum에 대한 일정유량별로 평균치의 변화에 대한 성질을 구명하였다.

  • PDF

韓國河川의 月 流出量 推定을 위한 地域化 回歸模型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for Monthly Streamflow in Korean Watersheds)

  • 김태철;박성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6-124
    • /
    • 1984
  • Monthly streanflow of watershed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e.g., determination of storage requirement of reservoirs and control of release-water in lowflow rivers. Modeling of longterm runoff is theoretically based on water-balance analysis for a certain time interval. The effect of the casual factors of rainfall, evaporation, and soil-moisture storage on streamflow might be expl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asic concepts of water-balance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velop a generalized model called the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for Monthly Streamflow in Korean Watersheds. Based on model verification, it is felt that the model can be reliably applied to any proposed station in Korean watersheds to estimate monthly streamflow for th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especially those involving irrigation. Modeling processes and propert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a simplified equation of water-balance on a watershed a regression model for monthly streamflow using the variables of rainfall, pan evaporation, and previous-month streamflow was formulated. 2. The hydrologic response of a watershed was represented lumpedly, qualitatively, and deductively us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water-balance regression model. 3. Regionalization was carried out to classify 33 watersheds on the basis of similarity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resulted in 4 regional groups. 4.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regional coefficients were derived from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It was also possible to explain geographic influences on streamflow through those prediction equations. 5. A model requiring the simple input of the data for rainfall, pan evaporation, and geographic factors was developed to estimate monthly streamflow at ungaged station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generally satisfactory.

  • PDF

섬진강 월유출량의 추계학적 모형 (Stochastic Modelling of Monthly flows for Somjin river)

  • 이종남;이홍근
    • 물과 미래
    • /
    • 제17권4호
    • /
    • pp.281-291
    • /
    • 1984
  • 한국하천유역의 강우량관측자료는 풍부하나 하천유량측정자료가 많고 섬진강 유역내의 압록과 송정의 유량관측기록이 비교적장기간에 것이 있고, 유속측정을 많이 하고 있으므로 본유역자료를 가지고 월유출량계열의 모형식을 유도하였다. 본모형식은 월강우량기록으로서 월유출량 산출식을 Box & Jenkins의 대체함수모형식에다 ARIMA의 잔차모형식을 가하여 유도한 것이다. 또 기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간에는 잔차시계열이 정상공분산을 갖는다는 가정하에 모형식을 작성하였다. 자기상관 함수의 특성으로부터 ARIMA모형을 유도함에도 먼저 계산식으로 각변수를 산출하고, 이 변수를 다소조정반복시켜 가장 정확한 융통성있는 Box & Jenkins 방식의 모형식을 작성하였다. 섬진강에서 가장 적정모형식을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주어졌다. 여기서 $Y_t=($\omega$o-$\omega$_1B) C_iX_t+$\varepsilon$t$ $Y_t$ 월유출량, $X_t$: 월 강우량, $C_i$: 월유출률, $$\omega$o-$\omega$_1$ : 대체변수 $$\varepsilon$_t$ : 잔차(임의오차성분) 섬진강수위관측소의 기 월유출량 기록자료로서 월유출량게열의 만족할만한 모형을 비교검토 연구작성하였다.

  • PDF

월 유출량 예측 변수로서 지하수 함양량의 이용 (Use of Groundwater recharge as a Variable for Monthly Streamflow Prediction)

  • 이동률;윤용남;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75-285
    • /
    • 2001
  • 우리 나라 갈수기의 하천유출은 대부분 지하수에서 공급되는 유출이므로 홍수기 강우량에 의해 침투한 유역의 수분상태에 지배된다. 따라서, 홍수기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을 통한 유역 상태 정보를 이용한다면 갈수기 월유출 예측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수문학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수 함양량에 의한 월유출량의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다중회귀모형의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장기 월유출량 예측을 시도하는 것이다. 해당 월의 유출량, 강수량, 선행 유출량과 강수량 및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모형의 최적독립변수들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을 독립변수로 포함한 모형에서 향상된 예측결과를 얻었다. 또한, 사전에 파악된 강수량과 지하수함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출 이월효과를 고려하면서 강수량만으로 유출 예측모형을 개발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SWAT2000 모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소유역별 유출량 추정 (Streamflow Estimation for Subbasins of Gap Stream Watershed by Using SWAT2000 Model)

  • 문종필;김태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5호
    • /
    • pp.29-38
    • /
    • 2006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s extended to higher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GIS linking with hydrological model becomes a trend in water resource assessment modeling. One of the most popular models is SWAT2000 which have effectiveness in multi-purpose processes for predicting the impact of land management practices on water, sediments and chemicals yields in large complex watershed with varying soils, land uses, and management conditions over long period of time. In this study, SWAT2000 model was applied to Gap stream watershed in Daejeon city where TMDL (Total Maximum Daily Load) Regulation would be implanted. The Gap Stream watershed was partitioned into 8 subbasins, however, only 3 out of 8 subbaisns were observed for having practical gauged data on the basis of streamflow from the year of 2002 to 2005. Gauged streamflow data of Indong, Boksu and Hoeduck stations were used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the SWAT Streamflow simulation. Estimation Efficiency Analysis (COE), Regression Analysis ($R^{2}$), Relative Error (R.E.) were used for comparing observed streamflow data of the 3 subbasins on the daily and monthly basis with estimated streamflow data in order to fix optimized parameters for the best fitted results. COE value for the daily and monthly streamflow was ranged from 0.45 to 0.96. $R^{2}$ values for daily and monthly streamflow ranged from 0.51 to 0.97. R.E. values for total streamflow volume ranged from 3 % to 22.5 %. The accuracy of the model results shows that the SWAT2000 model can be applicable to Korean watersheds like the Gap Stream watershed that needs to be partitioned into a number of subbasins for TMDL regulation.

Disaggregation 모형에 의한 월유량의 추계학적 모의발생 (A Stochastic Generation of Synthetic Monthly Flow by Disaggregation Model)

  • 박찬영;서병하
    • 물과 미래
    • /
    • 제19권2호
    • /
    • pp.167-180
    • /
    • 1986
  • 추계 수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법으로 인정이 되어져 가고 있으며 점차 이용도가 높아져 가고 있는 분해모형(Disaggregation Model)을 국내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에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 모형의 구조와 매개변수 산정 방법과 년유량을 월유량으로 분해시키고 발생유량 계열의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모형과의 비교를 위해서 Thomas-Fiering 모형을 사용하여 그 결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실무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Simulation Technique에 의한 수자원의 변동양상 및 그 모의발생모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Pattern of Water Resources and their Generation Models by Simulation Technique)

  • 이순탁;안경수;이의락
    • 물과 미래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197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유역을 포함한 광역적인 하천유역에 있어서의 년 및 월유량과 항우량에 대하여 Correlogram 및 Spectrum 분석을 통한 시계열의 해석과 그 변동양상을 구명하고 이 특성을 기초로 해서 년 및 월수문량의 장기간의 Simulation을 위한 추계학적모델의 개발과 검토에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수문량의 변동양상의 분석에 있어서는 미국, 유럽 및 호주대륙의 유량분석의 결과와 대비하면서 유량모집단의 표준편차($\sigma$)를 년유량의 대수평균치(L)에 대하여 지수함수의 관계식으로 표시하여 수자원량의 변동양상을 구명하였다. 다음 년수문량(유량 및 항우량)의 시계열의 각 성분을 알기 위하여 Correlogram 및 Spectral density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Simulation을 위한 단일이절 모델로서는 년수문량의 적정분포형인 대수정규분포와 Monte Carlo 방법에 기초를 둔 LN모델(Log-Normal Model)과 1차선형 자기회귀모델인 Markov모델을 설정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월수문량(유량 및 항우량)의 시계열 및 추계학적 성분 역시 Correlogram 및 Spectral density분석에 의하여 구명하였으며, 그 Simulation에 있어서는 이 시계열특성과 낙동강 자료에 의하여 연구, 검토된 바 있는 상유천 월유량의 모의발생모델을 광역적으로 적용시키고 또한 월항우량에 대해서도 적용시켜서 이 모델의 적용성과 아울러 광역적인 월수문량의 모의발생모델을 확립토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