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pterus alb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1초

드렁허리, Monopterus albus의 구두충 감염예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y of a acanthocephalan infection in swamp eel, Monopterus albus)

  • 강혜민;이한나;임상구;김영대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3-310
    • /
    • 2013
  • 2013년 3월부터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에서는 종 보존 연구를 위해 1,000미의 드렁허리(Monopterus albus)를 양성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100미의 드렁허리에서 체색흑화, 점액과다, 항문돌출과 같은 임상증상을 보였으며 몇몇 개체들은 폐사하였다. 해부 검사한 결과 100미 전부 구두충에 감염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드렁허리에 감염된 구두충을 병리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구두충은 소화관 전반에서 관찰되었으며 개체 당 평균 19미의 충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감염된 개체에서는 구두충에 의한 장폐색 증상을 보였으며 충체는 소화관 점막하층에 proboscis를 침투시켜 기생하고 있었다. 특징적으로 위와 장에서 점막상피내 충혈과 점막하조직내 호산성 세포의 침윤, 염증반응, 기생충성 육아종 소견을 보였다. 일부 개체에서는 위선상피의 공포화와 장 점막층의 괴사도 관찰되었다. 소화관 외 기타장기에서는 특징적인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로 드렁허리에 감염된 구두충의 감염정도를 알 수 있었고, 향후 드렁허리 양식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혈청내 lgM유사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n IgM-like Immunoglobulin in the Serum of Swamp Eel, Monopterus albus)

  • 손영종;이정우;장정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3-107
    • /
    • 1990
  • BSA로 면역시킨 드렁허리의 혈청에서 lgM 유사면역글로불린의 정제한 후 그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면역후 항혈청에서는 항원특이 항체능이 증가되었다. 정제된 lgM 유사면역글로불린은 199kD의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 4개가 결합된 800kD의 단백질이었으며, 단량체는 70kD인 H-사슬 2개와 29.5kD인 L-사슬 2개가 결합된 형태였다. 또한 드렁허리의 lgM 유사면역글로불린은 lgM의 특성과 같이 포유류 적혈구에 대하여 약한 응집력을 나타냈다.

  • PDF

Infection Status of Gnathostoma spinigerum Larvae in Asian Swamp Eels, Monopterus albus, Purchased from Local Markets in Cambodia

  • Chai, Jong-Yil;Jung, Bong-Kwang;Lee, Keon Hoon;Hong, Sung-Jong;Khieu, Virak;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95-699
    • /
    • 2020
  •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infection status of Gnathostoma sp. larvae in swamp eels from Cambodia. We purchased total 30 Asian swamp eels, Monopterus albus, from local markets in Pursat and Takeo Provinces and Phnom Penh on May and November 2017 and May 2018. All collected eels were transferred to our laboratory with ice and each of them was examined by artificial digestion method. A total of 15 larval gnathostomes (1-5 larvae) were detected from 55.6% (5/9) swamp eels in Pursat Province. No larval gnathostomes were found in 21 swamp eels in Takeo Province and Phnom Penh. The advanced third-stage larvae (AdL3) detected were 2.575-3.825 (3.250) mm in length and 0.375-0.425 (0.386) mm in width. They had the characteristic head bulb (av. 0.104×0.218 mm) with 4 rows of hooklets, long muscular esophagus (1.048 mm), and 2 pairs of cervical sacs (0.615 mm). The number of hooklets in 4 rows on the head bulb was 41, 44, 47, and 50.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4 rows of hooklets on the head bulb, cervical papillae, tegumental spines regularly arranged in transverse striations, and anus. The larval gnathostomes were identified as AdL3 of Gnathostoma spiniger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By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G. spinigerum larvae are infected in Asian swamp eels, M. albus, in Pursat Province, Cambodia.

드렁허리(Monopterus albus)의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의 특성에 관하여 (Propertie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tivity in the Rice Eel, Monoptevus albus)

  • 김성주;이금영;조경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2-147
    • /
    • 1991
  • 드렁허리의 혈장에서 얻은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도를 포유동물과 비교하였다. 드렁허리의 혈장내 ACE는 pH 10에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포유동물에서 보다 알칼리성이었다. 또한 최적활성도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C1 이온의 요구성은 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드렁허리의 ACE 활성도는 ACE의 활성억제제인 EDTA, teprotide 및 captopril에 의해서 이들의 농도에 따라 억제 되었으며, 이 억제현상은 포유동물의 혈장 ACE와 매우 비슷하였다. 드렁허리의 ACE 활성도는 cobalt에 의하여 증가되었으며, 포유동물에 비해서 열에 불안정하였다. 또한 여러 조직중에서느 뇌에서 가장 높은 ACE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 PDF

태국 중부지역의 열대 담수어류상 (Tropical Freshwater Fish Fauna of Central Thailand)

  • 최준길;최재석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05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태국 (Thailand) 중부지역의 4개 수역인 Eastern, Chao Phraya, Peninsular, Maeklong 수계를 흐르는 하천에서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160개 조사지점에 대하여 어류상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8과 124종이 확인되었다. Eastern과 Peninsular수역에서 각각 33종, 42종이 출현하였고 Chao Phraya와 Maeklong수역에서 52종과 91종이 확인되었다 4개 수역에서 모두 출현한 종은 Brachydanio albolineatus, Rasbora paviei, Systomus binotatus, Homaloptera smithi, Monopterus albus, Macrognathus circumcintus, Channa gaucha 등 7종이었다.

Larval Gnathostoma spinigerum Detected in Asian Swamp Eels, Monopterus albus, Purchased from a Local Market in Yangon, Myanmar

  • Chai, Jong-Yil;Sohn, Woon-Mok;Na, Byoung-Kuk;Park, Jong-Bok;Jeoung, Hoo-Gn;Hoang, Eui-Hyug;Htoon, Thi Thi;Tin, Htay Htay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5호
    • /
    • pp.619-625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of swamp eels with Gnathostoma sp. larvae in Myanmar. We purchased total 37 Asian swamp eels, Monopterus albus, from a local market in Yangon in June and December 2013 and 2014. All collected eels were transferred with ice to our laboratory and each of them was examined by the artificial digestion technique. A total of 401 larval gnathostomes (1-96 larvae/eel) were detected in 33 (89.2%) swamp eels. Most of the larvae (n=383; 95.5%) were found in the muscle. The remaining 18 larvae were detected in the viscera. The advanced third-stage larvae ($AdL_3$) were 2.3-4.4 mm long and 0.25-0.425 mm wide. The characteristic head bulb ($0.093{\times}0.221mm$ in average size) with 4 rows of hooklets, muscular long esophagus (1.025 mm), and 2 pairs of cervical sacs (0.574 mm) were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The average number of hooklets in the 1st, 2nd, 3rd, and 4th rows was 41, 45, 48, and 51, respectively. A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the characteristic 4-5 rows of hooklets on the head bulb, a cervical papilla, tegumental spines regular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striations, and an anus were well observed.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s, they were identified as the AdL3 of Gnathostoma spinigerum. By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hat Asian swamp eels, M. albus, from Yangon, Myanmar are heavily infected with G. spinigerum larvae.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The Ichthyofauna and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Miho Stream, Korea)

  • 손영목;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8
    • /
    • 2005
  •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미호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41종이었으며 이중 한반도 고유종 종은 12종 (29.3%) 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3종이었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3% 이었다. 미호천 수계 어류상에서 우점종은 Zacco platypus로서 54.7%의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 지점 에서도 우점하였다. 1982년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종풍부도는 낮았고 우점도 지수는 높았으며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Iksookimia choii 등은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Rhinogobius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gracilis majimae 등이었다.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lien Species,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Using Native Predatory Species)

  • 노선호;정진석;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7
  • 습지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6종의 토종 포식성 어류와 6종의 조류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대상으로 포식률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어류 중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Silurus asotus), 가물치(Channa argus)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모두 포식하였고, 그 중 전자를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뱀장어(Anguilla japonica)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섭식하지 않았다. 그리고 고니(Cygnus columbianus), 큰고니(Cygnus cygnus), 쇠오리(Anas crecca), 원앙(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가창오리(Anas formosa) 등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조류 또한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먹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국내 습지생태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수어를 이용한 금호강수계의 수질판정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ho River System According to the Freshwater Fishes)

  • 강영훈;채병수;양홍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31
    • /
    • 2001
  • The fish species collected in the Keumho River basin are 42 species 31 genera belonging to 15 Families. This report was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ho River system which i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in Korea on september in 1999. The fishes collected were 42 species, 31 genera belonging to 15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5 specie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Moroco oxycephal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8 species; Hemibarbus longirostris, Pseudogobio esocinus, Culter brevicauda, Cobitis rotundicaudata, Pseudobagrus fulvidraco, Pungitius sinensis kaibarae, Monopterus albus, Channa argus were rare speci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GPI, EC and BOD by the organic pollutants were over 0.9. The group pollution index(GPI) was lowest at St. 1(0.85) and highest at St. 1(0.85) and highest at St. 5(2.33). The water quality of the Keumho river divided into 3 parts; the water of upper reaches in river(St. 1) was 1st class(oligotrophic condition), middle parts(St. 2, 3, 4) were 3rd class($\alpha$-mesosaprobic condition) and lower part(St. 5) was 4th class(Polysaprobic condition) as the source of tap water, respectively. And the tributary which are the Sinryeong Stream(St. 6), the Sincheon(St. 7) and the Donghwa Stream(St. 9) in Keumho river were 2nd class as the source of tap water. The results in this study was represented same patterns as the result by the use of indicator species like as algae and invertebrates for the discrimination of water quality. So, some freshwater fish species can be use applicant for the discrimination of water qu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