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ascus cultur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액체 홍국의 배양조건에 따른 색소생산과 색조의 변화 (Pigment Production and Color Diference of Liquid Beni-koji under Submerged Cultural Conditions)

  • 강성국;정순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2-478
    • /
    • 1995
  • Mycelial growth, color difference and productivity of red pigment of beni-koji by Monascus anka KCCM 11832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it's pigment in submerged culture with various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Shaking incubation was more promoted mycelial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pigments than that for non-shaking incubation, and red color became ten times deeper.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was the highest when incubated at 25$\circ$C for 7 days in pH 6.0, but mycelial growth was showed the highest at 32.5$\circ$C. The level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for maximum red pigment production were 2% rice powder and 0.05% peptone, respectively and the level of peptone for maximum pigment production was lower than that for maximum mycelial growth. Among pigmentation promoting agents tested, MgSO$_{4}$,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and the optimum level was 0.1%.

  • PDF

특수미의 혼합취반 적성 검정 (Studies of Cooking Quality with Various Functional Rice)

  • 유경아;강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3-298
    • /
    • 200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rice and the adaptable food processing of the added functional rice. The functional rice are Sanghwang rice, Agaricus rice(fermented with basidiomycota), Tochukaso rice, fermented with Monascus rubber rice. Fermented with Monascus rubber rice contains more crude protein, curde lipid, moisture, and total dietary fiber. The cross sectional shapes of the functional rice show polygon shapes, the starch granules of those rice are transformed. In sensory evaluation, fermented with Monascus rubber rice was showed the lowest values for glossness, color, flavor, sweetness, harshness, overall acceptability. The textural properties for those ratios were also affected by the period of storage. After 48 hours, the lowest hardness level was 30% Tochukaso rice addition, and the highest hardness level was 10% Sangwhang rice addition case. In 30% Sangwhang rice, and 30% tochukaso rice case gumminess values were decreased after 48 hours. But in 30% Sangwhang rice, and 30% Tochukaso rice case, the chewiness values decreased.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most suitable addition ratio for the rice cooking condition is 10% functional rice addition.

홍곡곰팡이를 이용한 식용적색 색소의 제조 및 이의 성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dible Red Color Pigment Produced by Mold(Monascus sp.))

  • 김창식;이숙희;김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7-283
    • /
    • 1977
  • 1. 증미(고체) 배양에서는 배양주(Type cultures)보다 분리주가 월등하게 많은 량의 색소를 생성하였다. 2. Lin씨(氏)의 Submerged culture에서는 IAM 8004(Monascus purbigerus)의 경우 carbon source로서 Rice powder 대신에 Wheat bran 1%, Starch 2%와 Corn meal 3%의 것이 색소의 생성량이 많았고, 분리주는 Carbon source를 Rice bran 1%, Starch 2%로 한 것이 가장 좋았다. 3. 사천씨(四川氏) 배지에서는 3%의 탈지대두분을 첨가했을 때 대체적으로 각 균주모두가 더 많은 색소의 생성을 보였다. 4. 추출한 색소액은 pH, 열처리등에 모두 안정하고 각종용매에 대한 추출성도 좋아서 많은 종류의 식품착색에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내광성이 약한것이큰결점으로 보인다. 5. 본색소의 안전성은 Mouse의 경우 $LD_{50}$이 체중20g당 0.2359g으로서 안전한 편이며 더구나 시료를 25%의 에틸알코올 추출액으로 투여했기 때문에 에틸알코올의 독성을 감안한다면 색소자체는 극히 안전한 것으로 사려된다. 본연구는 산학협동재단의 학술연구비로서 이루워 진 것이다.

  • PDF

Monascus sp.가 생산하는 황색 색소에 관한 연구 제1보 황색 색소 생산의 배양 조건 (Studies on the yellow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CS-2 PartI. cultural conditions for yellow pigment produceduction.)

  • 장욱;김현수;손충홍;배종찬;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123
    • /
    • 1980
  • 누룩으로부터 사상균을 분리하여 우수한 색소 생산균주를 선별하였고 이를 형태학적으로 분지 동정하였다. 배양조건으로 pH,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통기효과 및 배양기간 등이 황색 색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선별된 색소 생산 균주를 형태학적으로 균사에 격벽과 균사체 끝에 피자기를 가지고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후막포자가 있는 Monascus 속으로 동정 되었다. 2. 색소생산의 최적 PH는 4.5 부근이었으며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0.2%, 탄소원으로 sucrose 3 % 첨가가 양호하였다. 무기염류에 대한 영향으로 KH$_2$PO$_4$및 MgSO$_4$.7$H_2O$ 0.1% 첨가가 좋았으며 통기효과는 75/500m1 (v/v) 배양기간은 3일이 적합하였다.

  • PDF

액침진탕 배양에 의한 Monascus sp..가 생산하는 적색색소에 관한 연구 제1보 균주의 분리 및 색소생산 배양 조건 (Studies on the Red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in Submerged Culture. Part I Isolation of Strain and Cultural Conditions of Pigment Produced)

  • 김현수;김두현;양호석;변유량;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30
    • /
    • 1979
  • 적색색소의 생산을 위하여 태국산 tapioca chips와 곡자, 공기, 식물의 잎으로부터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였고 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 동정하였다. 배양조건으로 온도, pH, 탄소원, 질소원, 통기효과, amino산, vitamin, 무기염류 등이 색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조건을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선별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을 근거로 균사에 격벽과 균사체끝에 피자기를 가지고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만들며 특수구조인 후피포자가 있는 Monascus sp. 로 동정되었다. 2) 최적 배양조건은 온도 32~33$^{\circ}C$, pH 6.5, 탄소원으로 Tapioca chips 분말 3.5%, 질소원으로 NaNO$_3$ 0.2%, 금속이온은 MnO$_2$ 0.001% 첨가가 가장 좋았고 통기효과는 100/500mι(v/v) 진탕배양 (180rpm)에서 4일 배양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Monascus속 곰팡이를 이용한 메주의 재료에 따른 색소함량 (Pigment Content in Meju Fermented by a Monascus Species with Different Materials)

  • 김순동;김일두;박홍덕;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47-1052
    • /
    • 2001
  • Monascus속 곰팡이를 이용한 메주의 재료에 따른 색소함량을 조사하였다. 균의 생육과 색소생성과의 관계는 정의 상관으로 상관계수 r=0.9879를 나타내었다. M. purpureus와 M. pilosus 백미메주의 구성 색소는 각각 9종과 8종으로 구성 되었으며 다같이 황색색소는 1종,나머지는 모두 적색계 색소였다. 구성색소의 합계치는 M. purpureus 백미메주는 그램당 335.25$\mu\textrm{g}$/g, M. pilosus 백미메주는 1428.90$\mu\textrm{g}$이였다. 온도별 색소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두 균주 모두 3$0^{\circ}C$가 20 및 40 $^{\circ}C$보다 높았다. 두 균주의 재료별 색소생성량은 백미>발아 현미>통밀>현미>찰현미>발아찰현미 순이였다. 백미메주의 색소함량은 기타 재료들과 M. purpureus로 발효시킨 메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종배양액은 10% 첨가시에 색소 생성량이 높았으며 분말에 비하여 낟알에서 높았다 콩메주의 제조시 종배양액 첨가는 균의 생육과 색소생성이 원만하지 못했으며, 증자콩에 백미분말 10% 첨가 또는 Monascus 백미 메주분말을 종균으로 10%를 첨가함으로서 각각 메주그램당 23.0$\mu\textrm{g}$ 및 75.0 $\mu\textrm{g}$으로 색소생성 량을 높일 수 있었으나 백미만을 사용한 메주보다는 색소함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 PDF

Monascus 속(屬) 균주(菌株)가 생성(生成)하는 Alkaline Protease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lkaline protease produced from Monascus sp.)

  • 김상달;서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27-33
    • /
    • 1972
  • 본(本) Monascus속(屬) 균주(菌株)를 Wheat bran 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여 여기서 얻은 Alkaline proteas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은 다음과 같다. 1) 본(本) Protease의 최적(最適) pH는 $10{\sim}12$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2) 최적온도(最適溫度)는 $50^{\circ}C$ 이었으며 3) 안정(安定) pH는 $5{\sim}12$에 위치(位置)하며 4) 본(本) Protease는 $40^{\circ}C$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였으며 5) 금속(金屬) Ion 중(中) $Hg^#$$Fe^#$는 조해적(阻害的)으로 작용(作用)하여 $Pb^#$, $Ba^#$, $Co^#$, $Zn^#$, $Cu^#$등은 보호작용(保護作用)을 나타내었고 이 중(中) $Cu^#$$10^{-2}$ 농도(濃度)에서 본(本) protease의 실활(失活)을 강(强)하게 보호(保護)함을 알았다. 6) E.D.T.A는 본(本) Protease에 대(對)해서 아무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았다.

  • PDF

Monascus purpureus 에 의한 세포외 적색색소 생산성 증가에 대한 배지내 pH 조절의 영향 (Effect of medium pH on the extracellular production of red pigments using Monascus purpureus)

  • 박노환;오영숙;정욱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321-324
    • /
    • 2000
  • Monascus purpureus ATCC 16365에 의한 5-liter 배양기에서 pH 조절을 통하여 세포외로 이차대사물인 수용성 적색소의 생산 증가 현상 와 황색소 보다 적색소로의 대사과정을 촉진시켜 적색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지의 가능성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색소와 적색소의 분석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각각 385nm 와 495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곰팡이의 최대균체량과 황${\cdot}$적색소를 포함한 총 색소 생산양은 pH 8보다 pH 4.0-5.5인 산성조건에서 2배 및 4배정도 증가하였다. 적색소 및 황색소의 전구물질인 홍색소는 pH 4.0에서 많이 생성되며 또한 홍색소에서 적색소로의 대사과정도 산성 조건 하에서 촉진된다고 보고되었다. 본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산성 조건 하에서 특히 수용성 적색소가 곰팡이 세포 외로 유출되는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nhanced Lovastatin Production by Solid State Fermentation of Monascus ruber

  • Xu Bao-Jun;Wang Qi-Jun;Jia Xiao-Qin;Sung Chang-Ke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78-8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solid state cultivation of Monascus ruber on sterile rice. A single-level-multiple-factor and a single-factor-multiple-level experimental design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optimal medium constituents and to optimize carbon and nitrogen source concentrations for lovastatin production.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beta}$-hydroxyacid form and ${\beta}$-hydroxylactone for of lovastatin were performed by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ith a UV photodiode-array (PDA) detector. The total lovastatin yield ($4{\sim}6\;mg/g$, average of five repeats) was achieved by adding soybean powder, glycerol, sodium nitrate, and acetic acid at optimized levels after 14 days of fermentation. The maximal yield of lovastatin under the optimal composition of the medium increased by almost 2 times the yield observed prior to optimiz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beta}$-hydroxylactone form of lovastatin (LFL) and the ${\beta}$-hydroxyacid form of lovastatin (AFL) simultaneously existed in solid state cultures of Monascus ruber. while the latter was the dominant form in the middle-late stage of continued fer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can be used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lovastatin to obtain high yields.

Monascus 균사체의 소규모 배양을 통한 고생산성 균주의 대규모 선별방법 확립과 통계적 생산배지 최적화를 통한 Monacolin-K 생산성 향상 (Establishment of Miniaturized Cultivation Method for Large and Rapid Screening of High-yielding Monascus Mutants, and Enhanced Production of Monacolin-K through Statistical Optimization of Production Medium)

  • 이미진;정용섭;김평현;전계택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05-312
    • /
    • 2007
  • 가능한 한 대량의 균주를 테스트하여 고생산성을 지닌 균주를 신속히 선별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액상배양 방법의 확립이 필수적인데, 강력한 지질저하제인 monacolin-K의 생산균주인 균사형성 Monascus의 경우 포자나 균사체의 형성이 활발하지 않은 배양 생리적 특성으로 인해 소규모 (miniature) 액상배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acolin-K 고생산성 균주개량의 효율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키고자, 기존의 플라스크 액상배양 방법을 소규모화시킨 tube 배양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단기간에 보다 많은 양의 균주를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이차대사산물인 monacolin-K의 생합성은 각각의 배양단계에서의 생산균주의 배양형태가 중요한데, 특별히 최종 생산배양에서 생산성 증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배양형태인 직경 1 mm 이하의 pellet 모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성장배양 시에 반드시 고농도의 균사모양이 유도되어야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50 ml tube (7 ml의 조업부피)를 이용하는 소규모 액상 성장배양의 경우 solid seed 배양 단계에서의 포자형성배지의 조성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최적화하고, 또한 성장배지 성분에 brown rice 가루 20 g/L를 첨가할 때, 원하는 균사모양의 배양형태가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7 ml의 조업부피의 tube를 이용한 소규모 성장배양 방법의 개발로 인해, 기존의 flask 배양을 이용할 때보다 단기간에 훨씬 많은 변이주의 생산성을 조사하게 되어 균주개량 속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선별된 개별 균주의 monacolin-K의 생산성은 오히려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배양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새로이 개발한 포자형성배지와 성장배지의 조성변화로 인해 기존에 확립된 생산배지에서는 생산균주의 monacolin-K 생합성 능력이 최대로 발휘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소규모 성장배양에 적합한 최적의 생산배지 조성을 확립하고자 통계적 방법인 Plackett-Burman design을 적용하여 monacolin-K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glycerol, malt extract, yeast extract, brown rice의 4가지 성분들을 최종 선별하였고, 또한 이들의 최적농도 결정을 위해 반응표면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결정된 최적 생산배지를 사용하여 생산배양을 수행한 결과, monacolin-K의 생산성이 2배 이상 증가하고, 배양 형태 또한 용존산소와 영양분의 전달이 매우 용이한 직경 1mm 이하의 pellet 모양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