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t4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6,8-Dihydroxy-7-methoxy-1-methyl-azafluorenone Induces Caspase-8- and -9-mediate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 Banjerdpongchai, Ratana;Khaw-on, Patompong;Ristee, Chantrarat;Pompimon, Wilar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637-2641
    • /
    • 2013
  • 6,8-Dihydroxy-7-methoxy-1-methyl-azafluorenone (DMMA), a purified compound from Polyalthia cerasoides roots, is cytotoxic to various cancer cell lin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monstrate the type of cancer cell death and the mechanism(s) involved. DMMA inhibited cell growth and induced apoptotic death in human leukemic cells (HL-60, U937, MOLT-4),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and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ranging between 20-55 ${\mu}M$. DMMA also decreased cell viability of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The morphology of cancer cells induced by the compound after staining with propidium iodide and examin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was condensed nuclei and apoptotic bodies.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 was decreased after 24h exposure in all five types of cancer cells. DMMA-induced caspase-3, -8, and -9 activity was strongly induced in human leukemic HL-60 and MOLT-4 cells, while in U937-, MDA-MB231- and HepG2-treated cells there was partial induction of caspase. In conclusion, DMMA-induced activation of caspase-8 and -9 resulted in execution of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leukemic HL-60 and MOLT-4 cell lines via extrinsic and intrinsic pathways.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의 아토피성 알레르기 반응(反應) 조절(調節) 효과(效果) (Regulatory Effect of Atopic Allergic Reaction by Chungsangbangpoong-Tang)

  • 임태형;박은정;이해자;한경훈;나원경;진경선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76
    • /
    • 2004
  • Objective : To demonstrate of regulatory effect of atopic allergic regulation by Chungsangbangpoong-Tang(CBT), This experiment was studied. Methods : The author investigated a possible effect of CBT on cytokines production using human T cell line (MOLT-4) or human mast cell line (HMC-1). In addition,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CBT has inhitory effects on compound 48/80- 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 and compound 48/80-induced ear swelling in ICR mice. Results : CBT (0.01 mg/ml)-containing medium in stimulated culture supernatants significantly increased IL-2 secretion compared with untreated MOLT-4, whereas CBT (0.01-1.0 mg/ml)-containing medium in stimulated culture supernatants significantly decreased IL-4 secretion compared with untreated MOLT-4. Significant reduced levels of IL -6 and $TNF-{\alpha}$ were observed in the HMC-l with CBT (P<0.05). CBT did not inhibit the histamine release from the RPMC but inhibit ear swelling respons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BT contributes to the treatment of atopic allergic reactions,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that its action may be due to reg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 PDF

산란노계에서 강제환우가 갑상선, 난소, 부신 및 호르몬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uced molting on the Relative Weights and Hormone Levels of Thyroid, Ovary, and Adrenal Glands in Spent Laying Hens)

  • M. Akram;rahman, Zia-ur;C.S. Na;Kim, S.H.;K.S. Ryu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3-247
    • /
    • 2002
  • 본 실험은 산란노계에서 강제환우가 갑상선, 난소, 부신의 무게 및 이들 기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수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77주령 산란계 360수를 10수씩 36개의 펜에 배치하여 7주간 강제환우를 시행하였다. 사료는 단백질 수준이 16%이며 대사에너지가 2,800kca1/kg 함유된 시판용으로 84주령부터 126주까지 급여하였다. 강제환우전, 산란율 5%, 산란피크 및 실험 종료 시에 각각 36수씩 희생시켜 채혈을 하였으며, 갑상선, 난소, 부신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혈청에서 T3, T4, cortisol 및 estradi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갑상선의 무게는 산란율이 5%에 도달하였을 때 제일 높게 나타났다 난소의 무게는 강제환우 후에 현저하게 감소되었지만 그 후에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실험 종료 시에 극대화 되었다(P<0.05). 산란율이 5%에 도달한 시기에 혈청의 T3, T4 및 cortisol 수준은 다른 시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지만 실험 종료 시에 제일 낮게 나타났다. 혈청의 estradiol은 산란율이 5%에 도달한 시기에 제일 낮았다. 본 실험에서 강제환우 과정에서 환우의 유기에 주요 역할을 하는 내분비 기관 및 이들 기관에서 분비되는 T3, T4, cortisol, estradiol 수준이 복합적으로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수종(數種)의 한약재(韓藥材)가 인체(人體) 암세포주(癌細胞柱)에 미치는 세포(細胞) 독성(毒性) (The Cytotoxic effects of several Herbs against human cancer cell-lines)

  • 정현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1-241
    • /
    • 1997
  • 국내 사망률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악성종양(惡性腫瘍)에 대하여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종양(腫瘍)을 치료하기 우하여 수술요법(手術療法) 방사선요법(放射線療法) 면역요법(免疫療法) 화학요법(化學療法) 등의 많은 치료법들을 개발하고 있지만 종양(腫瘍)에 대한 치료원칙이나 치료약물에 대하여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항암제(抗癌劑)를 이용한 화학요법(化學療法)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副作用)이 많아 항암제(抗癌劑)와 한약재(韓藥材)를 병용투여(倂用投與)함으로써 부작용(副作用)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한약재(韓藥材)가 정상세포(正常細胞)에 영향을 미치며, 암종세포(癌腫細胞)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관찰한 결과 유의성(有意性)이 있어 보고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수종(數種)의 한약재중(韓藥材中) 청열작용(淸熱作用)과 활혈화어(活血化瘀)작용이 있는 대극(大戟)과 목단피(牧丹皮)를 인체의 피부암세포(皮膚癌細胞)인 A431 세포(細胞), 자궁암세포(子宮癌細胞)인 HeLa 세포(細胞), 급성백혈병세포(急性白血病細胞)인 MOLT-4 세포(細胞), 만성골수성백혈병세포(慢性骨髓性白血病細胞)인 K562 세포(細胞)에 대한 세포독성(細胞毒性)과 항암제(抗癌劑)인 mitomycin C와 병용(倂用)처리결과를 MTT assa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정상세포(正常細胞)에 대한 세포독성(細胞毒性)을 검색하기 위하여 마우스 섬유아세포(Balb/c 3T3), 마우스 흉선(胸腺) 및 비장세포(脾臟細胞), human lymphocyte에 미치는 세포독성(細胞毒性)을 검토하였다. 대극(大戟)과 목단피(牧丹皮)는 A431 세포(細胞)와 K562 세포(細胞), 마우스 섬유아세포(細胞)인 Balb/c 3T3 세포(細胞) 및 mitomycin C와 병용처리(倂用處理)하였을 때 mitomycin C를 단독처리하였을 때보다 A431 세포(細胞)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백선피(白蘚皮)와 천산갑(穿山甲)은 human lymphocyte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 PDF

산란계의 유도 환우가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uced Molting on Changes of Visceral Organs and Blood Stress Indicators in Laying Hens)

  • 홍의철;박희두;강근호;나재천;유동조;김학규;최양호;배해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7-123
    • /
    • 2009
  • 본 시험은 유도 환우 방법이 산란계의 주요 장기와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 85% 이상, 평균체중 $1.7{\pm}0.4\;kg$인 61주령 White Leghorn 15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구는 크게 환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 급이 환우법(FM, feeding molt) 및 절식 환우법(SM, starving molt)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0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심장의 무게는 대조구, FM구 및 SM구에서 각각 8.2, 7.9 및 7.5 g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모든 환우 처리구(급이, 절식)에서 대조구에 비해 무게가 감소하였으며(P<0.05),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SM구가 FM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 급이 환우구 및 절식 환우구에서 환우 2주전 CS는 각각 4.48, 4.66 및 $4.47\;{\mu}/mLg$이었으나, 1주 전에는 각각 7.32, 7.71 및 $7.11\;{\mu}/mLg$로 증가하였으며, 환우 1주후에는 절식구에서 $10.3\;{\mu}/mLg$로 가장 높았다. 절식과 급이로 환우시킨 산란계의 H : L 비율 변화에서, 환우 2주 전에는 0.27~0.29이지만, 1주 전에는 0.97~1.03으로 증가하였다. 환우 1주 후에는 절식 환우구에서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로 점차 감소되었으며, 급이 환우구에서는 환우 기간 동안 0.45~0.5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이로 환우를 유도시킨 경우에는 절식 환우 시킨 산란계에 비해 스트레스가 적다는 것을 제시한다.

징거미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 유생의 탈피주기와 관련한 생리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in Related to Molt Cycle of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

  • 신윤경;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0-389
    • /
    • 1994
  • 담수산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의 유생을 부화후부터 후기유생단계까지의 전 유생기간동안 수온 $25^{\circ}C$, 염분 $7\%0$의 일정한 조건하에서 사육하고 섭이율, 호흡율, 배설율 및 성장율을 측정하였다. 성장은 건중, 탄소, 질소, 수소 및 단백질, 지질의 함량변화로서 측정하였는데 단백질보다는 지질이 더 높은 비율로 축적되었다. 그리고 모든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은 각 유생단계간에 그리고 개체의 탈피주기에 따라서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평균섭이율은 탈피간기에 가장 높았으며 bell-shaped 양상을 나타내었다. 호흡율은 부화후부터 후기유생 단계까지 계속 증가한 반면, 배설율은 탈피간기에서 증가하여 bell-shaped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생리적, 생화학적 자료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생변화의 양상과 생물에너지학적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섭이율, 성장율, 호흡율 및 배설율등을 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내었다. 탈피주기동안 탄소는 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 질소는 탈피전기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은 탈피전기의 중기에 다소 높은 축적을 보이면서 탈피전기의 말기까지 일정량을 유지하면서 체물질을 구성하는 우점성분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 PDF

무염 사료의 급여가 유도환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Non-Salt Diet on the Induced Molting in Laying Hens)

  • 홍의철;나재천;유동조;김학규;정완태;이현정;김인호;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9-286
    • /
    • 2007
  • 본 시험은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주정박과 무염 사료를 이용하여 급이 환우법을 실시하고, 절식에 의한 환우법과 환우 후 산란계의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산란율 80% 이상, 평균 체중 $1.8{\pm}0.1kg$인 67주령 White Leghorn 108수를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환우처리 하지 않은 미환우구(대조구)로, 비급이 환우구(9일간 절식, 그 후 19일간 환우 사료)와 급이 환우구(주정박, 무염 사료)를 시험구로, 총 4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9수씩 108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환경 순치 기간으로서 환우 전 2주간 모든 공시계에게 동일한 산란 후기 사료(CP 15%, ME 2,700 kal)를 급여하였다. 환우 기간은 전처리구에서 28일 동안 환우를 유도하였다. 산란율에서, 환우 사료 급이구는 환우 처리 후 6일째부터 12일 동안 산란율이 감소하였으며, 12일 후에 산란율이 0%가 되었다. 무염 사료 급이구는 환우처리 후 5일째부터 10일 동안 산란율이 감소하였으며, 10일 후에 산란율이 0%가 되었다. 비급이 환우구는 절식 2일째부터 산란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6일째에 0%가 되었다. 환우 시험 종료 후 산란 후기 사료를 다시 급여하였을 때, 환우 사료와 무염 사료 급이구는 급여 12일째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으며, 비급이 환우구는 16일째 산란이 다시 시작되었다. 체중 변화를 보면, 급이 환우구에서는 환우 사료를 급여한 경우, 28일째 48.3%까지 체중의 감량이 있었으나, 무염사료는 21.4%의 체중 감량을 보였다. 비급이 환우구에서는 절식시킨 9일까지는 체중의 급격한 감소가 있었으나, 9일 이후 환우 사료를 급여하는 19일 동안에는 약간의 증체가 일어났다. 환우가 끝난 후 간, 심장, 난포수란관의 무게를 비교 한 결과, 환우처리구에서 무게가 크게 감소하였다(p<0.05). 계란 품질은 환우 처리구에서 난중,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및 하우유니트가 개선되었으나(p<0.05), 난황색은 차이가 없었다(P>0.05).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환우를 유도한 계란의 난각 조직은 환우 처리구의 난각 조직이 비환우구보다 치밀하였다. 결론적으로, 급이 환우가 동물 복지의 관점에서 절식환우를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금후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보음면역단의 면역 증강 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 of Boummyunyuck-dan)

  • 김태균;문석재;원진희;김동웅;이종덕;문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64
    • /
    • 2003
  • Objective : To investigate immune enhancing effects of Boummyunyuck-dan (BMD) Methods :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ffect of BMD on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 In addition, I investigated production of cytokines (IL-2, IL-4 and $IFN-{\gamma}$), NO, and $TNF-{\alpha}$ in human T-cell leukemia, MOLT-4 cells. The cells were cultured for 24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BMD. Result : BMD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by 15% (P<0.05) and enhanced IL-2, IL-4 and $IFN-{\gamm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1) at 24h. BMD also in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FN-{\gamma}$ in MOLT-4 cells. In addition, I also assessed the effects of BMD on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from the peritoneal macrophages because NO and $TNF-{\alpha}$ as a potent macrophage-derived immune reaction regulatory molecule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However, BMD had no effect on NO and $TNF-{\alpha}$ production in the cells. Conclusion : These data indicate that BMD has some immune-enhancing effect, and that its action may be due to th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of T cells.

  • PDF

Effects of the water of yellow soil, Ji-Jang-Soo on cell viability and cytokines production in immune cells

  • Jeong, Hyun-Ja;Hwang, Gab-Soo;Myung, No-Il;Lee, Joon-Ho;Lee, Ju-Young;Um, Jae-Young;Kim, Hyung-Min;Hong, Seung-Heo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6권1호
    • /
    • pp.39-44
    • /
    • 2006
  • Ji-Jang-Soo (JJS) is known to have a detoxification effect.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JJS has these effects in experimental mode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JJS on the viability of cells and production of cytokines in human T-cell line, MOLT-4 cells, and human mast cell line, HMC-1 cells. The MOLT-4 cells were cultured for 24 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JJS. As the result, JJS (1/100 dil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about 78% (P < 0.05) and also increased the interleukin (IL)-2, and interferon $(IFN)-{\gamm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at 24 h. But had no effect on IL-4 production. Hypoxia mimic compound, desferroxamine (DFX) decreased the immune cell viability. Cell viability decreased by DFX was increased by JJS. In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JJS may have an immune-enhancing effect.

Study on Development of Herbal Feed Supplement for Ducks

  • Seo, Min-Jun;Lee, Jong-Hyun;Jin, Jong-Sik;Park, Jin-Han;Lee, Jun-Ho
    • Journal of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19-24
    • /
    • 2009
  • GD68 is newly developed herb complex prescription. The constituent herbs of GD68 were Massa Medicata Fermentata, Atractylodis Rhizoma Alba, Poria, Zingiberis Siccatum Rhizoma, Crataegi Fructus, Saccarum Granorum, Agastachis Herba, Taraxaci Herba, Perillae Herba, Scutellariae Radix, Astragali Radix, Ginseng Radix, Houttuyniae Herba and Halloysitum Rubru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eed value of GD68 in duck. The weight gain of ducks fed with supplemental GD68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The feed intake and mortality of ducks fed with supplemental GD68 low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The moisture, crude lipid and calorie content of the ducks fed GD68 were decreased, but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ducks fed GD68 was increased.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D68 on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n human T-cell line, MOLT-4 cells. GD68 plus concanavalin A (Con A) increased the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2 production compared with Con A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l GD68 may improve the production, meat quality and immunity of duc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