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izing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2초

In vitro Anti-inflammation Effect of Adventitious Shoots of Toona sinesis in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Skin Dermatitis

  • Hyeon-Ji Lim;In-Sun Park;Seung-Il Jeong;Kang-Yeol Yu;Chan-Hun J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3-73
    • /
    • 2020
  • Toona sinensis (TS) leaf is known to antinociceptive, antioxidative stress and skin moisturizing effects. Acnes vulgaris is a chronic skin disease with various symptoms including itchiness, pain and interruption of normal skin function.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is a major factor in the occurrence of inflammatory acnes.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by TS extract from adventitious shoots. TS extract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suppression of pro-inflammation mediators (iNOS and COX-2)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S extract also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inhibiting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on P. acnes-stimulated HaCaT cells. These effects were regulated by MAPK signaling pathway. Therefore, we suggest that TS extract from adventitious shoots might have applications as a medicine for treating P. acnes-induced skin diseases.

  • PDF

모발 염색 시 탈색횟수와 염모제 사용에 따른 발색 수준 평가 (Coloration Level by Bleaching Frequency and Hair Dye during Hair Coloring)

  • 유소희;임순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06-213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color would fade more during hair bleaching and examine what should be done to make hair color last longer. For this, hair was colored differently in ash gray with permanent hair dyes and semi-permanent hair dyes each. Hair in multiple levels was created through such bleaching. Color retention was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lor fading in sample hair. In terms of post-bleaching hair coloring, it was more efficient to color hair by eliminating redness without hair damage after shampooing with a permanent hair dye.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highly useful for beauty salons to find a base level in consideration of bleaching effects and make improve- ments according to hair retention and moisturizing effects.

온풍 조건에서 수분 탈락 정도에 따른 피부 분류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Dehydrated Skin under Warm Air Heating Condition)

  • 권오선;강현종;한승민;윤지선;조웅희;오주영;임준만;송영숙;박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9-184
    • /
    • 2020
  • 피부를 탄력있고 부드럽게 하는 역할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량에 의해 좌우된다. 피부 수분량은 냉온풍, 건조환경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음이 알려져 있으나, 개인 피부 차이에 따른 피부 수분량 변화와 회복 정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풍 조건하에서 피시험자들의 피부 수분 탈락 및 회복 정도를 비교 평가하여 새로운 피부 타입을 제시하고, 온풍 조건에서 저하되는 피부 수분량을 개선 시켜주는 효능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온풍 환경 조성을 위해, 건강한 피험자(남: 10 명, 여: 39 명, 25 세 - 63 세)의 전완부에 온풍(30 cm, 40 ℃, 6 m/s)을 30 min 간 피부에 노출시켜,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26명(남: 4 명, 여: 22 명, 평균 연령: 42.7 ± 9.4)이 온풍 노출 전에 비하여 온풍 노출 후 수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며, 노출 후 30 min이 지나도 회복이 되지 않았다. 온풍 노출 후 수분량이 떨어지는 피험자(여: 10 명)를 대상으로 보수력이 높은 크림을 3 주간 전완부에 적용한 이후 동일 온풍 조건하에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노출 30 min 후 피부 수분량이 온풍 노출 전 수준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피부는 건조 조건에서 쉽게 수분을 잃어버리는 피부(탈수형 피부)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앞으로 화장품 개발을 보습 기능뿐만 아니라,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른 피부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는 피부(탈수형 피부)의 특성에 맞는 제품의 효능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무궁화 꽃 추출물 경구투여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및 건조증 개선에 관한 효과 (Oral administration of H. syriacus L. flower ameliorates photoaging and dryness in UVB-irradiated skin)

  • 양정은;서슬아;강민철;윤다혜;임태준;황은선;원경화;이택환;김선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99-407
    • /
    • 2021
  • 자외선은 외인성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세포외기질이 파괴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되어 주름 형성과 탄력 손실이 야기된다(Wu 등, 2017). 이는 결국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키는데 이를 예방 및 억제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무궁화꽃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뿌리껍질(목근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즉, 무궁화나무의 뿌리 및 목근피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로 유도된 보습저하 효능에 대한 보호 효능과 콜라겐 합성저하에 대한 증진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Yang 등, 2019). 무궁화 꽃 추출물에 대한 생리적 기능연구로는 항미생물 및 항산화 효능, 탈모 개선이 보고되었다. 또한, 로젤(H. sabdariffa calyx)의 물추출물이 UVB 조사로 인하여 유도된 피부 광노화모델에서 활성산소 및 MMP효소 조절을 통한 피부주름 개선을 통한 피부광노화 개선효능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Li 등, 2020).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소재인 무궁화꽃 추출물(Hibiscus syriacus L.)의 식이섭취는 피부보습 기능 및 피부장벽개선 효능에 대한 생리적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현재까지 보고된 무궁화 꽃의 주요성분으로는 chlorogenic, p-coumaric, trans-ferulic acids 및 flavonoid 유도체 등이 있다. 무궁화꽃에 다수 존재한다고 알려진 페놀릭화합물 유도체들이 무궁화꽃의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의 작용을 억제작용을 나타냄으로써 피부보습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Kim 등, 2018). 따라서, 현재까지 무궁화 꽃 추출물을 경구투여 했을 시 나타나는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어 본 연구는 광노화가 유발된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그 효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무궁화 꽃 추출물을 피부 세포에서 처리 시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하는 involucrin 및 filaggrin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인 HAS1의 발현 또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및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인 HYAL1의 발현은 감소시켜 무궁화 꽃 추출물이 세포 수준에서 광노화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노화가 유발된 in vivo model에서 무궁화 꽃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UVB에 의해 형성된 굵은 주름이 개선되었고, TEWL 감소와 hydration 증가를 통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 회복 및 수분 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보습 및 주름과 관련된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통해서는 무궁화 꽃 추출물이 피부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주름 및 보습 개선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궁화 꽃 추출물이 안전하면서 효능이 우수한 기능성 식품의 유용한 천연물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 효과 연구 (Skin Hydration Effect of Jeju Lava Sea Water)

  • 이성훈;배일홍;민대진;김형준;박녹현;최지예;신진섭;김은주;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3-349
    • /
    • 2016
  • 제주용암해수는 미네랄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로 제주만이 보유한 지하수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의 건조함을 막고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피층의 장벽기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표피층 내 수분의 유지와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제주용암해수를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결과 표피층의 분화과정과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필라그린과 caspase-14 유전자의 발현양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관통 단백질로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는 aquaporin 3 (AQP3) 유전자 발현양과 단백질 발현양도 제주용암해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인공피부를 이용한 실험에서 제주용암해수를 배지에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hyaluronic acid (HA)의 수용체인 CD44의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용암해수는 피부 보습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보습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현삼(玄蔘), 백봉령(白茯岺), 금은화(金銀花), 마치현, 백과엽(白果葉)을 함유하는 한방화장품이 인체 피부의 보습 및 청열 효능에 미치는 영향 (The Moisturizing and Cooling Effects of the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Scrophulariae Radix, Poria, Lonicerae Flos, Portulacea Herba and Ginko Folium Extract on Human Skin)

  • 김승훈;김은주;김지은;남혜성;김연준;정현미;남개원;안성연;이해광;문성준;양웅모;장문석;박성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5-50
    • /
    • 2007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moisturizing and cooling effects of the cosmetic product with Scrophularia Buergeriana, Poria Cocos, Lonicera Japonica, Portulaca Oleracea and Ginko Biloba extract on human skin by using non-invasive instrument. Methods: We measured physiological effects after volunteers(female, n=5) applied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extract of oriental herbs. The forearm skin moisturization was measured with $Corneometer^{\circledR}$ CM825 after 15min, 3hr, and 6hr. The forearm skin surface roughness was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15min, and 6hr. The face skin temperatures cooling and microcirculation effects were measured with ThermaCAMTM PM525 and LDl-Periscan PlM II after 15min, and 30min. Results: The forearm skin moisturization was imcreased 108% after 15min. The forearm skin surface roughnes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5min. The face skin temperatures were cooling down to $30.7^{\circ}C$. The face skin microcirculation effect was normalized time-dependently.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extract of Scrophularia Buergeriana, Poria Cocos, Lonicera Japonica, Portulaca Oleracea and Ginko Biloba had a moisturization effect and improving the surface roughness, temperature and microcirculation on the human skin.

  • PDF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뿌리 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 of Roots Extract from Potentilla chinensis as Cosmeceutical Material)

  • 유재천;정해수;김형식;이정훈;모상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13-17
    • /
    • 2016
  • 천연물을 이용한 산업이 증가됨에 따라 전통약재식물들의 화장품소재로 사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약재식물 중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역시도 다양한 약리 활성이 알려짐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약리활성을 지닌 반면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소재로서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에 관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이유는 딱지꽃의 뿌리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약리활성을 지녔다는 보고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얻어낸 뒤 항염증, 주름개선, 보습 그리고 미백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한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elastin과 aquaporin-3 증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cyclooxygenase-2, metallopeptidase-1 그리고 melanin 합성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추출물 식이공급이 무모생쥐의 표피보습 개선 및 유리아미노산 생성 관련 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hydration improvement and metabolism of free amino acid generation in epidermis of UV-irradiated hairless mice)

  • 최수민;신지혜;이보민;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병행하여 녹차 추출물의 식이공급을 10주간 공급한 무모생쥐 (UV+1%GTE군)의 표피 보습과 filaggrin 의 대사물질 및 관련 효소인 PAD3의 발현 및 함량 변화를 정상대조군 (UV-군) 및 자외선 조사군 (UV+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V+군의 피부 보습은 UV-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UV+1%GTE군 의 피부 보습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UV-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UV+군의 profilaggrin 함량은 UV-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ilaggrin의 함량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 에서 profilaggrin은 UV- 및 UV+에비해 현저히 높았고, filaggrin은 UV-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UV+군의 PAD3 효소 발현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UV-군에 비해 높았다. 자연보습인자의 주요 아미노산인 serine 및 glycine, alanine의 함량은 UV-군과 UV+군간 유사하였으나 UV+1%GTE군에서는 UV- 및 UV+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UV-군과 비교하여 UV+군의 피부 보습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보습에 관여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표피 지질함량 분석과 함께 녹차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 추출물 식이 공급은 (pro)filaggrin의 함량 및 PAD3의 발현이 높게 나타남에 의한 표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궁극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피부건조를 완화시켰다.

비동물성 콜레스테릭 액정의 안정성과 보습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ability and Moisturizing Effect of Non-Animal Cholesteric Liquid Crystal)

  • 우병영;민대진;백홍수;김신형;황준영;박영호;이존환;신송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53
    • /
    • 2014
  • 본 연구는 화장품 제형 적용성이 높은 콜레스테릭 액정(CLCs) 개발에 관한 것이다. 비동물성 원료는 동물성 바이러스 감염 이슈로부터 자유롭고 화장품 소비자들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비동물성 유래로부터 콜레스테릭 액정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발효로부터 만들어진 비동물성 콜레스테롤[NAB cholesterol (ARCH LONZA)]을 이용하여 3 가지 새로운 콜레스테릭 유도체(CI, CC, CN)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제형 적용성이 높은 콜레스테릭 액정개발을 위해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발색을 유지하는 최적 조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3 가지 유도체를 조합하여 41개의 액정을 제조하고 온도에 따른 육안평가를 통해서 색을 나타내는 범위를 평가하였다. 제조된 41개의 액정을 온도에 따라 UV-VIS 스펙트럼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205개의 스펙트럼 분석하고 액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제형적용성이 높은 비동물성 콜레스테릭 액정 A4, A5, A6, A7의 조성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공피부를 이용한 평가를 통하여 A6 조성의 뛰어난 피부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크 단백질 Sericin 및 Fibroin의 식이 공급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 NC/Nga Mice의 혈장과 표피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Silk Protein Sericin or Fibroin on Plasma and Epiderm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NC/Nga Mice)

  • 김현애;박경호;여주홍;이광길;정도현;김성한;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20-528
    • /
    • 2006
  • Free amino acids in epidermis function as a major component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which maintains the optimal level of water in skin even at the low humidity. In fact, the depletion of free amino acids is reported in the epidermis of atopic dermatitis, the skin condition involving dryness. As an effort searching the dietary source for improving the level of water and free amino acid in epidermis, the dietary effects of silk protein, sericin (S) and fibroin (F) on 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plasma and epidermal levels of free amino acid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irty of male NC/Nga mice, an animal model of atopic dermatiti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CA as an atopic control with control diet, group S: 1% sericin diet and group F: 1% fibroin diet. Ten of male BALB/c mice were served as group C (control group) with control diet. All mice were fed on diet and water ad libitum for 10weeks. Dry skin condition was established in group CA as TEWL was increased (148.7% of group C). In parallel, epidermal level of glutamate, one of major amino acids functioning as NMF, was dramatically decreased and epidermal levels of methionine and alanine were inversely elevated.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ricin (group S) reduced TEWL at the similar level with group C and increased epidermal levels of glutamate as well as serine and glycine, the other major amino acids as NMF. Despite a marked decrease of methionine and alanine, the reduction of TEWL and epidermal levels of glutamate, serine and glycine of group F were less than of group S. Furthermore, in contrast to similar levels of other free amino acids in plasma and epidermis of group S and group C, plasma and epidermal levels of other free amino acids, specifically phenylalanine, isoleucine, cysteine and tyrosine in epidermis of group 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roup C.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ricin is more effective at improving dry skin condition that paralleled with the normalization of free amino acids in plasma and epidermis of NC/Nga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