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reten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9초

Sediment Erosion and Transport Experiments in Laboratory using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 Regmi, Ram Krishna;Jung, Kwansue;Nakagawa, Hajime;Kang, Jaewon;Lee, Giha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3-27
    • /
    • 2014
  • Catchments soil erosio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 mountainous environment of the world, consists of a complex phenomenon involving the detachment of individual soil particles from the soil mass and their transport, storage and overland flow of rainfall, and infiltration. Sediment size distribution during erosion processes appear to depend on many factors such as rainfall characteristics, vegetation cover, hydraulic flow, soil properties and slope. This study involved laboratory flume experiments carried out under simulated rainfall in a 3.0 m long ${\times}$ 0.8 m wide ${\times}$ 0.7 m deep flume, set at $17^{\circ}$ slope. Five experimental cases, consisting of twelve experiments using three different sediments with two different rainfall conditions, are reported. The experiments consisted of detailed observation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out-flow sediment. Sediment water mixture out-flow hydrograph and sediment mass out-flow rate over time, moisture profiles at different points within the soil domain, and seepage outflow were also reported. Moisture profiles, seepage outflow, and movement of overland flow were clearly found to be controlled by water retention function and hydraulic function of the soil. The difference of grain size distribution of original soil bed and the out-flow sediment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cases of uniform sediment used experiments. However, in the cases of non-uniform sediment used experiments the outflow sediment was found to be coarser than the original soil doma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is the combination of particle segregation, suspension/saltation and rolling along the travel distance.

노니(Morinda citrifolia)분말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ound Pork with Noni (Morinda citrifolia) Powder)

  • 이시형;최영준;최강원;이경수;정인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1-33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oni (Morinda citrifolia)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ound pork meat. Four samples of ground pork meat were prepared as follow: CON without noni powder, NP0.5 with 0.5% noni powder, NP1.0 with 1.0% noni powder, and NP1.5 with 1.5% noni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CON was the highest (p<0.05). The ash, fiber, fat retention,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noni powder (p<0.05). The protein, fat,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yield, moisture retention, springiness,and redness of the cooked me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pH of C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The TBARS of CON, NP0.5, NP1.0, and NP1.5 were 0.48, 0.41, 0.36 and 0.34 mg/kg, respectively, and the NP1.5 was the lowest (p<0.05).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N, NP0.5, NP1.0, and NP1.5 were 10.4%, 20.8%, 34.6% and 45.3%, respectively, and the NP1.5 was the highest (p<0.05).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le use of noni powder for meat product industry, as addition of noni powder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ound pork meat.

수피의 탄화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Utilization of Bark by Carbonization)

  • 김병로;이재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40-51
    • /
    • 2006
  • 수피의 탄화이용을 위한 수피탄화기술 확립과 이 수피탄화물을 흡착제, 토양개량자재, 미생물활동담체, 건강재료 등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피탄화물의 메틸렌블루흡착량, 흡습성, 원적외선 방사율, pH, 보수성 및 발열량 등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메틸렌블루흡착량이 탄화온도 $800^{\circ}C$, 탄화시간 8시간에서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수피탄화물들은 110 mg/g 이상의 값을 보이고, 모든 수피탄화물의 수소이온농도가 탄화시간 4시간의 경우 탄화온도 $400^{\circ}C$에서 pH 6.6, $600^{\circ}C$$800^{\circ}C$에서는 pH 9 정도를 나타내는 등, 수피탄화물은 탄화물로서의 이용이 가능하고, 탄화온도와 시간만 고려하면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Mungbean Flour Level in Combination with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ow-salt Pork Model Sausages

  • Lee, Hong Chul;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1-228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mungbean flour (MF) (0-2.4%)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odel sausages (PMS) in experiment 1 and also select the optimum level of MF to enhance the water retention and gelling properties of low-salt PMS (LSPMS) with or without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the addition of MF did not affect pH, chemical compositions (fat and moisture contents), color values, and functional properties (expressible moisture, EM (%) and cooking yield, CY (%)) of PMS. However, the addition of MF increased the chewiness of PMS and hardness if the mungbean flour at the level of more than 1.2% was incorporated. Si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treatment and MF level was not significant (p>0.05), data were pooled by different factors (MTGase treatment and MF level) in experiment 2. MF improved the water binding ability and textural springiness of LSPMS. On the other hand, MTGase treatment decreased the pH and cooking yield (%) of LSPMS, but increased most textural propertie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MF could enhance the water reten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PMS and LSPMS, regardless of MTGase, when it was added to over 1.2%. Based on these results, mungbean protein may interact with MTGase on the low-salt comminuted meat systems. Therefore, further study might be need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interaction between MTGase and functional components induced from MF.

전처리 조건에 따른 당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arrots Based on Pretreatment Conditions)

  • 최진희;추지혜;류혜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3-161
    • /
    • 202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blanched carrots (CON) and carrots blanched in distilled water, 2% NaCl water and 2% citric acid at 100℃ for 3 minutes. This moisture contents of CON was the highest at 85.91%, whereas NT had the lowest moisture at 83.92% (p<0.01). Compared to CON values the L values of pretreatment groups were decreased whereas the b values were increased (p<0.001) A comparison of true retention (TR), revealed that NT had the highest TPC TR 101.04% and TFC TR 91.59% (p<0.001). β-Carotene contents were determined to be higher in NT (1.98 mg/100 g) and CT (1.94 mg/100 g) than in other groups, with highest levels obtained in NT (106.64%) (p<0.001). Examination of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vealed that the NT group had maximum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bacterial count was determined to be 3.37 log CFU/g in the CON, whereas no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in all the pretreatment groups. Our study indicates that blanching in 2% NaCl water is the most desirable in order to increase the biochemical content and nutrient preservation rate of carrots, and to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Pressure-Plate Extractor 내(內)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 변화(變化)로부터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의 계산(計算) (Calculation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from Soil Moisture Changes in Pressure-Plate Extractor)

  • 노희명;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1
    • /
    • 1984
  • 토양(土壤)의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와 수분특성곡선(水分待性曲線)을 동시(同時)에 구(求)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제안(提案)하기 위하여 Gardner의 유출양법(流出量法)을 변형(變形)하여 soil moisture pressure-plate extractor를 이용(利用)하여 공시토지(供試土壤)에 대(對)하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Cardner의 pressure-plate 유출방정식(流出方程式)을 이용(利用)하여 상이(相異)한 수분장력(水分張力)에서 pressure-plate extractor내(內) 수분함량변화(水分含量變化)로부터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를 계산(計算)하였다. 수분장력(水分張力) 30mbar에서 10bar까지 본량(本良) 사양토(砂壤土), 예산(禮山)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및 포곡(浦谷) 식양토(埴壤土)의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는 각각(各各) $3.09{\times}10^{-2}cm/day{\sim}4.06{\times}10^{-6}cm/day$, $1.34{\times}10^{-2}cm/day{\sim}7.30{\times}10^{-6}cm/day$$1.83{\times}10^{-2}cm/day{\sim}8.50{\times}10^{-6}cm/day$로 변(變)하였다. 유출양법(流出量法)과 비교(比較)하여 적당(摘當)한 시간(時間) 간격(間隔)으로 수분정량(水分定量)을 하여야 하고 그때마다 압력(壓力)을 조정(調整)하여야 하는 불편(不便)이 있으나, 동시(同時)에 여러 토양(土壤)의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의 계산(計算)이 가능(可能)한 장점(長點)이 있었다. soil moisture pressure-plate extractor내(內) 토양수분함량변화(土壤水分含量變化)로부터 불포화수리전도도(不飽和水理傳導度)의 계산(計算)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설마천 연구지역에서의 토양수분량을 활용한 유출 발생 특성분석 (An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 by using soil moisture in Sulma basin)

  • 김기영;이용준;정성원;이연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9호
    • /
    • pp.615-626
    • /
    • 2019
  • 토양수분과 유출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토양 내의 여러 요소들에 의해 토양의 수분보유능력과 배수의 특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2017년 설마천 유역에서 총 40개의 사상을 분리하였다. 선정한 사상별로 constant-K 방법을 적용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하고 유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출계수는 선행토양함수와 지수함수 형태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유출계수가 급증하기 시작하는 토양수분의 임계값을 선정하였으며, 이 값은 유출과 지하수면과의 큰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선행토양함수뿐만 아니라 초기 토양수분, 토양 저류량, 강우량 등 여러 인자들도 유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선행토양수분의 임계값에 따라 강우사상을 건조, 습윤 상태로 분리하여 시작 반응과 첨두 반응을 분석해 보았으며, 습윤 상태에서의 반응이 건조 상태에서 보다 빠르게 발생하였다. 건조 상태에 속하는 대부분의 사상에서는 토양수분이 정점에 도달한 후 지하수면과 유출량 순으로 정점에 도달하는 첨두 반응이 일어났으나 습윤 상태에서는 반대로 지하수면과 유출량이 토양수분보다 먼저 정점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출에 기여하는 인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토양의 다양한 조건과 유출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돈가스 튀김옷의 흡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 김병숙;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8-495
    • /
    • 2009
  • 돈가스의 튀김과정에서 증가되는 지방량을 감소시키고자 튀김반죽에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를 각 0.5, 1,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점도, 튀긴 후 색도, 수분보유량 및 흡유량, 관능특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한 튀김반죽의 점도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동일 첨가수준에서 HPMC에 비하여 MC의 점도 증가가 매우 컸으며 HPMC 0.5%의 첨가군이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점도양상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는 돈가스를 제조할 때 재료(원육)에 대한 튀김반죽의 coating성에 영향을 주어서 HPMC 0.5% 첨가군의 coating성이 가장 좋았다. 2. 튀김옷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보유량은 대조군(45.69%) < MC 0.5%(47.36%) < MC 1%(48.55%) < MC 1.5%(49.59%) < HPMC 0.5%(51.49%) < HPMC 1%(53.72%) < HPMC1.5%(56.45%)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유량은 대조군(15.49%)> MC 0.5%(15.44%) > MC 1%(15.25%) > MC 1.5%(15.05%) > HPMC 0.5%(14.69%) > HPMC 1%(12.62%) > HPMC 1.5%(10.03)의 순으로 감소하여 HPMC 1.5% 첨가 batter가 수분보유량이 가장 높으면서 흡유량은 가장 적었다. 3. 튀긴 돈가스의 명도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MC 보다 MC첨가에 의한 변화가 커서 1.5% MC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나타냈다(p<0.001). 적색도는 HPMC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MC의 경우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관능검사 결과 튀긴 돈가스의 색은 HPMC 0.5% 및 1% 첨가 시 가장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그 외에는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짠맛은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구수한 맛은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HPMC 0.5%와 MC 0.5% 첨가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쾌취의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군에서는 약간 불쾌취가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름진 정도는 대조군보다 HPMC 0.5%와 1% 첨가군에서 덜 기름진 것으로 평가된 반면 HPMC 1.5%와 MC 첨가 시에는 대조군보다 더 기름지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및 1%는 같은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HPMC 1.5%와 MC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촉촉한 정도가 더 강해 반죽이 덜 익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과 MC 0.5%, HPMC 0.5% 및 1%가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C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바삭거리는 정도는 셀룰로오스유도체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HPMC 0.5% 첨가군이 오히려 대조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가스의 흡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튀김반죽의 첨가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의 첨가가 효과적이나, MC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점도의 증가가 매우 커서 동일 온도에서 coating이 두껍게 되었다. 또한 색도 및 관능평가의 결과 HPMC 0.5% 및 1%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첨가율에 비례하 여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수분보유력이 증가하 여 흡유량이 적은 데도 느끼하고 덜 익은 것처럼 느끼 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돈가스와 같이 튀김반죽을 재 료에 코팅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음식에서는 튀김반죽 에 셀룰로오스유도체인 HPMC를 적정량 첨가하면 코팅 하기가 쉽고 흡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분보유량은 증가 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HPMC의 최적 첨가량은 약 0.5% 수준이었을 때 점도가 적당하였고 색감, 바삭한 정도 및 단단한 정도 등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노지 과수원 토성별 수분보유 특성 및 FDR 센서 보정계수 비교 (Comparis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and FDR Sensor Calibration of Field Soils in Korean Orchards)

  • 이기람;김종균;이재범;김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1-408
    • /
    • 2022
  • 최근 원예작물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한 작물 생육환경 센싱 기반 복합환경제어시스템 연구와 산업적 이용이 부각되면서, 노지재배에 적용하기 적합한 토양센서 활용 방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연구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TEROS 12 FDR 센서(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를 노지 과수원의 토양에 알맞게 활용하기 위하여 국내 세 지역 과수원 토양의 토성별 FDR 센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실제 과수가 재배되고 있는 각 과수원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토성 및 토양수분보유곡선을 조사하였으며, 토양별 TEROS 12 센서 Raw 값과 이에 대응하는 용적수분함량 값을 선형 회귀 분석, 3차 회귀 분석을 통해 보정식을 얻은 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광질 토양 보정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채취한 세 과수원의 토양은 모두 토성이 달랐으며, 토성에 따라 각 보수력에 따른 용적수분함량 수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TEROS 12 센서 보정식에서는 모든 토양에서 3차 회귀 분석 보정식이 결정계수 0.9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RMSE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보정식을 사용하여 TEROS 12 센서의 용적수분함량을 보정할 경우 토양에 따라 실제 수치에 비해 최대 0.09-0.17m3·m-3가량 낮게 나타나, FDR 센서 사용시 적용 토양에 알맞은 보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성에 따라 토양의 보수력 구간에 따른 용적수분함량 범위의 차이가 있었으며, 토양 용적수분함량의 수치 해석에 보수력 정보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질이 많은 토양에서는 관수 개시점 측정을 위해 FDR 센서를 활용하는 데 있어 용적수분함량 측정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아 정밀도가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토양에서 FDR 센서를 통해 토양수분의 변화를 알맞게 해석하고 노지에서 알맞은 관수 시점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적용 토양의 수분보유특성을 파악하고 FDR 센서 보정을 선행하여 올바른 토양 수분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Effect of Cooking Methods and Fat Levels on the Physico-chemical, Processing, Sensory and Microbial Quality of Buffalo Meat Patties

  • Mohammad, Nisar P.U.;Chatli, M.K.;Sharma, D.K.;Sahoo,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0호
    • /
    • pp.1380-1385
    • /
    • 2010
  • Buffalo meat patties with two fat levels, F1 (15% added fat) and F2 (5% added fat and 3% tapioca starch), were cooked in a pre-heated hot air oven (HO) at $175{\pm}2^{\circ}C$ for 15 min, in a microwave oven (MO) for 70 sec and by pressure cooking (PC) at 15 psi pressure for 10 min. and compared for physico-chemical, processing, sensor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ttributes. F2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 for the moisture and moisture protein ratio than F1. However, MO and PC patties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HO-cooked buffalo meat patties irrespective of fat content. Highest fat percentage was in MO patties while the minimum was in PC patties. Moisture and fat retention and cooking yield were highest in MO patties irrespective of added fat content in the formulation. Cooking yield and dimensional parameters were better maintained in F2 than F1. Sensory scores viz. appearance and color, flavour, juiciness and texture for HO patties were better than other cooking methods. Sensory panelists rated overall acceptability of HO patties very good to excellent, whereas PC and MO patties were rated as good to very good irrespective of fat content. Microbiological quality was comparable in both groups irrespective of cooking methods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