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48초

문화유산(文化遺産) 보존(保存)의 개념(槪念)과 보존(保存) 이론(理論) (Concept and Theoretical Issues of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 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99-112
    • /
    • 2006
  • 우리나라에서 근대적인 개념의 문화유산 보존이 등장한 것을 일제 강점기(1910-945)이다. 당시 일본에 의해 도입된 문화 유산 보존의 근대적인 개념은 해방 후 손상된 문화 유산의 보수와 수리 등 실질적인 보존 처리에 치중하여 왔기 때문에 우리 실정에 알맞은 문화유산의 보존 개념과 이론이 정립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유럽, 일본,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conservation'에 관한 다양한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근대적인 문화유산 보존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각 국 간에 'conservation'이란 용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현대 보존이론의 발달 과정과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보존 원칙 및 윤리규범이 한층 더 발전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의 보존의 방향 또한 확고해질 것이다.

  • PDF

백제권 문화재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문화상품 개발연구 - 진묘수 문양 중심으로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Cultural Heritage has been Applied Design Elements Bekuje - Focusing on the pattern Jinmyosu -)

  • 김정호;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2-260
    • /
    • 2012
  • Cultural products, applying the design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Bekuje content of the product, we chose the useful material that can be used on a desk stand in the smart-phone Sticky Notes (Post-it) for use in modern life. The goal of the development design, developed in the design and excavation element modeling can be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ecor come connected by a pattern of Baekje, eggplant in harmony with modern life, a new sense was harmony, design. He stressed the beauty of decorative molding to apply discriminatory morph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each, a unique pattern of human pattern Jinmyosu Bekuje was elected to the motif of cultural property. You can also use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beauty obviously sophisticated pattern that appears frequently in Baekje, was also emphasized inheritance and traditions of Korea. We also attempted a new way to make sure we can diversify and whether it is possible as a new form, enhance the value of products, from concept to molt general existing tourism products.

  • PDF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적 변천과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유산 가치 해석 (Historical Changes of Incheon Freedom Park and Its Heritage Value Interpretation as the Historic Urban Public Park)

  • 김순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39
    • /
    • 2023
  • 본 연구는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가치를 공원 및 주변지역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고지도 및 항공사진에 기반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유공원의 시대별 변천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근현대사의 시대적·문화적 변화를 바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공원은 (1)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보여주는 증거일 뿐 아니라, (2) 국내 최초의 도시계획에 기반한 도시공원으로서의 역사적인 가치도 지니며, 또한 (3) 근·현대 급변한 시민 생활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유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유산 가치 규명에도 불구하고, 자유공원의 유산 가치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명 및 복원·활용을 위해서는 향후 자유공원에 대한 깊이있는 자료의 탐색 및 발굴연구 등 추가 연구들이 요구된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언더우드 영문 타자기(한기6863)의 과학적 보존 (Scientific Conservation of Underwood Typewriter(Hangi6863) in National Hangeul Museum)

  • 김유진;정광용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16
    • /
    • 2022
  •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언더우드 영문 타자기(한기6863)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근·현대 시대에 제작된 타자기는 부품의 유실, 부식, 도료의 탈락 등의 손상양상을 보였으며, 복합재질로 이루어져 재질에 따른 보존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처리 전 상태조사 및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금속, 도료, 고무 등으로 타자기가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보존처리는 각 재질이 안정한 조건에서 '이물질 제거 → 강화처리 → 복원' 순으로 진행하였다. 손상이 심한 도료층을 강화처리하고 유실된 다리받침을 복원하여 안정한 상태로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근대시기 초반에 제작된 타자기의 재료 및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에 진행될 타자기 보존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vestigation of Wood Species and Conservation Status of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 Yecheon, Korea (Treasure)

  • CHOI, Jaewan;PARK, Junghae;KIM, Soo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193-217
    • /
    • 2022
  •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Altarpiece have not been the subjects of definitive species identific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In this study, visual investigation, portable X-ray fluorescence (p-XRF),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cquer layer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riginal materials and conservation status. Cracks, exfoliation and discoloration were detected during the visual investigation. The p-XRF data indicated that chrome oxide green, malachite, gold, cadmium red, cinnabar, minium, hematite, lead white, ink stick (Carbon), and copper were used for pigments and the coronet accessory. Tilia spp., Abies spp., and Pinus spp. were identified from both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 Finally, lacquer layer analyses of the base layer, lacquer layer, orange pigment layer, and gold leaf layer observed modern synthetic pigments likely used in previous conservation. As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Charter and the International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onuments and Sites clearly state that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must be conserved using their original materials, future conservation of these objects should utilize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to employ traditional materials. Furthermore, a deterioration map diagnosis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obtained analysis data to understand the conservation status of and inform an appropriate and authentic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

행정박물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보존방향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and Conservation of Documentary Art Records)

  • 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9-76
    • /
    • 2010
  • 행정박물이란 공공업무의 활동을 반영하는 유형적 증거물로서 역사적 상징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영구기록물이며, 공공기관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생산 및 활용한 형상기록물로 행정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기록물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행정박물을 기록물관리 범위에 처음으로 편입시키고 있으며, 기록물관리법령 제3조에서는 행정박물의 보존 및 관리체계를 법제화하고 있다. 행정박물의 관리는 형태 재질별 분류만으로는 기록으로서 행정박물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행정박물은 일반적인 기록물과 비교해 다양한 연유에서 수집되기 때문에 행정박물에 대한 기초적인 재질 조사와 적합한 보존 및 관리 방식이 필요하다. 행정박물은 문화재로서 아직 그 수요량이 많지 않으나, 국민 의식수준 향상 및 알 권리를 위한 행정박물의 공개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향후 역사 및 문화의 해석을 위해 보존 활용 가능하며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우선적으로 행정박물의 보존적인 측면에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유물별 손상등급을 부분적으로 분류, 관리하여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표준조사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재질의 행정박물에 대한 관리 및 운영 방안을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행정박물을 보존적인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여 종합적이고 선진화된 행정박물의 보존 복원 및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대 누금 세공기법 제작기술 연구 (The study of handiwork techniques of ancient granule)

  • 문환석;조남철;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81-92
    • /
    • 2001
  • The replica experiment of golden bell excavated from the East Three-Story Pagoda at the Gamunsa templ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the handiwork technique of ancient granule. The size of 0.3mm granule was attached to the golden bell which was 3.4mm bell body by soldering. When we tried to attach the granule by a modern metalwork, we could know that this technique was hard to make the replica bell. We could prove how to adhere strongly to the golden granule by tension testing. First of all, we made the soldering of the same composition as the golden bell excavated from the Gamunsa temple and then prepared specimens for testing to measure the tension strength. It showed that the broken position was not a soldering part. This result showed how the ancient granule could maintain without a break for a long time.

  • PDF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Sustainable Development and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 김용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256-269
    • /
    • 2016
  • UN은 2015년 9월,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앞으로 추진할 국제사회의 공동목표로 "지속가능개발 2030 의제"를 채택하였다. 이에 UNESCO는 2016년 5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운영지침"을 개정하여 지속가능개발과 무형유산보호에 관한 장(章)을 신설하였다. 지속가능개발은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주요한 이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동안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보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UNESCO는 이번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당사국들이 지속가능개발과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무형문화재제도는 1960년대부터 산업화로 표현되는 경제개발 과정에서 소멸되어 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였다. 그러나 동시에 무형문화재제도는 경제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근대적 국민형성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개발을 위한 문화적 지원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지속가능개발의 제기는 그 이전의 경제개발과 사회개발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개발개념이 심화되고 확장된 결과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그 동안의 개발성과를 계승하여 보다 성숙한 개발의 단계로 나간다는 관점에서 지속가능개발과 결합하는 무형문화유산정책들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개발의 의미와 그것이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정책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가를 검토하고,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이 사회개발과 인간개발을 중심으로 지속가능개발 과제를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프랑스 르아브르(Le Havre)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문화유산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the case of Le Havre, France)

  • 조효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30-47
    • /
    • 2015
  • 국내외로 문화유산의 사회적, 경제적, 정체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유산이 보호와 보존의 대상을 넘어서 활용의 대상으로까지 간주되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국내에서도 문화유산의 활용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오늘날 국내 문화유산의 활용은 물리적이거나 단편적인 이용에 치우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근대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만들어진 등록문화재 제도 하에서는 원형 유지나 보전을 기본으로 한 활용 방식이 아닌 활용을 위한 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활용의 개념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문화유산의 '활용'을 '문화유산의 본연적, 부수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모든 인위적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프랑스 르아브르(Le Havre)시의 사례 연구를 통해 본 개념에 대해 더욱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르아브르시는 '지역'의 근대유산을 '가치증진'이라는 목표 아래 '국가'의, 그리고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그 유산적 가치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정체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도 발전시켰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문화유산의 '가치증진'을 위한 활용의 의미와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본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607호 서재필 진료가운 보존처리와 유물 충전재 개발 (Conservation Treatment and the Development of a Relics Filling Pad to Maintain the Shape of a Doctor's Coat Worn by Seo Jae-pil, the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No. 607)

  • 이량미;안보연;전은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09-422
    • /
    • 2021
  • A doctor's coat worn by Seo Jae-pil (1864-1951)-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No. 607-was conserved with wet cleaning to remove thick wrinkles and brown stains that had been present for a long time. This paper also applied microscopic observation and infrared spectrophotometric analysis to obtain scientific investigation data on the cotton fabric of this doctor's coat. Information about Seo Jae-pil's time as a doctor, the process of changing his English name, and C.D.Williams & Co., which produced the medical coat, revealed that this doctor's coat was worn by Seo Jae-pil between 1892 and 1898 or 1926 and 1939. Additionally, this paper proposes a pad for filling relics that can protect the shap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lothing, such as Seo Jae-pil's doctor's coat, for display at a museum site. Specifically, this research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ing of filling pads that can prevent damage to modern and contemporary jackets and coat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field by developing filling materials for three-dimensional costume artif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