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and Conservation of Documentary Art Records

행정박물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보존방향

  • Kang, Dai-Il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0.02.10
  • Accepted : 2010.03.03
  • Published : 2010.03.20

Abstract

As the tangible evidence, documentary art records are permanent records to reflect the historical, symbol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lso, documentary art records are related with mission fulfillment of public institution and it is documentary with administrati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s the works of documentary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administrative image.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law" was the first time that administration documents were incorporated and in the act No. 3 of administrative records management,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documentary art records became legislated. The management of documentary art records are difficult to categorize only by the reflect of characteristics or materials. Because documentary art records are collected in many ways and made with materials. It needs to be collected with many informations on basic materials and with the appropria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tegory. Documentary art records do not have lots of demands but the level of consciousness is improving and the possibility of opening to public is increasing for improvement with the right to know. In near future, the documentary art records will be used for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eservation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could have the value as it is expected. Primarily to prevent deterioration on documentary art records the standard survey card should be made to categorize the damage rate and to check the status on each documentary art records. In addition, establishing a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various documentary art records are needed wit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s for the conservation of documentary art records.

행정박물이란 공공업무의 활동을 반영하는 유형적 증거물로서 역사적 상징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영구기록물이며, 공공기관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생산 및 활용한 형상기록물로 행정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기록물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행정박물을 기록물관리 범위에 처음으로 편입시키고 있으며, 기록물관리법령 제3조에서는 행정박물의 보존 및 관리체계를 법제화하고 있다. 행정박물의 관리는 형태 재질별 분류만으로는 기록으로서 행정박물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행정박물은 일반적인 기록물과 비교해 다양한 연유에서 수집되기 때문에 행정박물에 대한 기초적인 재질 조사와 적합한 보존 및 관리 방식이 필요하다. 행정박물은 문화재로서 아직 그 수요량이 많지 않으나, 국민 의식수준 향상 및 알 권리를 위한 행정박물의 공개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향후 역사 및 문화의 해석을 위해 보존 활용 가능하며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우선적으로 행정박물의 보존적인 측면에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유물별 손상등급을 부분적으로 분류, 관리하여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표준조사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재질의 행정박물에 대한 관리 및 운영 방안을 체계적으로 확립하고 행정박물을 보존적인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여 종합적이고 선진화된 행정박물의 보존 복원 및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원규,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진리탐구". 서울, p23, (2002).
  2. 문화재청, "근대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 (2005).
  3. 문화재청,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사례 연구". (2006).
  4. 한국문헌정보기술, "대통령기록물의 영구보존관리를 위한 기반구축 방안". 국가기록원, (2006).
  5. 김의주, "대구.경북 개신교 교회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 한국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행정박물 관리체계 구축 방안". 국가기록원, (2007).
  7. 국가기록원, "역사로 가는 오늘: 2007 국가기록백서". 국가기록원, p63, (2007).
  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록물 보존복원기술 R&D사업 기획연구". 국가기록원, (2008).
  9. 문재필, "행정박물의 체계적 관리방안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 문화재청, "문화재연감". (2009).
  11. 강대일, "행정박물의 보존과 미래가치". 보존기술 공동학술세미나, 국가기록원, (2009).
  12. 園田直子, "有形文化資源の共同利用を推進するための資料管基盤形成". 人間文化硏究機構, p1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