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3초

근대문화유산의 관광산업적 활용 사례연구 -인천 대불호텔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Tourism Industrial Utilization of Early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 a Focus on Incheon Daebul Hotel-)

  • 심홍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09-218
    • /
    • 2022
  • 본 연구는 근대문화유산관련 호텔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분석을 통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여 근대호텔 발전사를 정립하였다. 둘째, 대불호텔 복원관련 자료와 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관광산업적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관광산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대호텔 복원을 위한 관광산업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각 지역의 근대문화유산의 근대호텔 복원계획은 철저한 당위성 검토와 콘텐츠 개발계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각 지역의 근대호텔 복원은 지자체의 행정적 관리체계 구축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셋째, 근대호텔 복원은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각 지역의 관광활성화 기여 및 경제적 효과, 고용촉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근대호텔 복원에 대한 지속적·적극적 홍보 수단 마련이 필요하다.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Mother-of-Pearl Floor Mirror at Daejojeon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Korea

  • Park, Su Zin;Hwang, In Sun;Yoon, Eun young;Lee, Jang Jon;Song, Ji 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70
    • /
    • 2019
  • In this study, a scientific survey on the material of the mother-of-pearl floor mirror was conducted and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es were introduc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of-pearl floor mirror in Daejojeon Hall of Changdeokgung is made of Dalbergia spp., and repair work seems to be done later with shorea spp. FT-I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varnishing is similar to the spectrum of lacquer. The metal wheels and metal line decorations set with mother-of-pearl were found to be made of brass based on XRF analysis, and the ingredient ratio showed that these were made in modern times. Foreign materials were stuck on the surface of the mother-of-pearl floor mirror before conservation treatment, which was in a structurally unstable condition owing to some missing submaterial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on the damaged area to restore the mirror to its original appearance by using the same species of wood determined from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cientific survey.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소장 목가구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Wooden Furniture in Presidential Archiv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이광희;박정혜;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5-251
    • /
    • 2019
  • 본 논문은 대통령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목가구의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한 것으로, 최근 증가하고 있는 근 현대목제문화재에 대한 보존처리 방법과 기존의 보존처리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질분석 결과, 대통령기록관 소장 의자(이136-2)와 책상(윤37)은 이우시과의 수종으로 제작되었으며, 두 가구 모두 2개의 도료층이 확인되었다. FT-IR을 이용한 분석 결과 의자는 니트로셀룰로오스계 도료, 책상은 탑코트의 스펙트럼과 유사하여 합성재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존처리 전 목가구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고착되어 있었고 도료와 목재의 갈라짐과 손상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이었다. 따라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유사한 재료를 이용하여 손상된 부분을 원형의 형태로 보존처리 하고자 하였다.

From Prominent 17th Century Colonial Dutch Settlements to Modern Indonesian Urban Centers? The Different Destinies of Banten, Ambon, Jakarta, and Malacca and their Cultural Heritage

  • Frank, Dhont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3권1호
    • /
    • pp.121-138
    • /
    • 2021
  • The Dutch arrived in the islands that now compose Indonesia in the 17th century, settling first in Banten (1600) and Ambon (1605) before establishing Batavia (1619) and taking over Malacca (1641) from the Portuguese. Referring to this network of strategic bases throughout the Nusantara region, this paper uses the element of urban cultural heritage to examine these four major trade hubs experienced very different destinies as a result of Dutch decisions. It also explores how shifts in political power after Indonesia's independence influenced Jakarta's dominance in modern-day Indonesia. The paper suggests that Dutch opportunism and strategic visions underpinned the decision to make Jakarta the center of colonial power in the 17th century century. It also concludes that Jakarta's continued importance in political control and policies explains why it retained its position after Indonesia's independence, and these have been supported by recent policy measure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despite its Dutch origins, urban cultural heritage has been embraced by Indonesians.

문화유산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부상 (Development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Rais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 김용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2호
    • /
    • pp.154-169
    • /
    • 2018
  • 근대사회에서 문화유산은 국민정체성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문화재청이 2000년대 시작한 문화유산교육 사업 또한 당시의 주요한 문화적 이슈인 지속가능발전, 문화다양성 등의 수용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목적은 국민정체성 함양에 있었다. 문화재청은 2006년도부터 문화유산교육 사업을 시작한다. 문화재청의 문화유산교육 사업은 문화유산방문교육, 연구시범학교와 고고학 체험교실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2010년대 들어 문화적 권리와 생활 속에서의 문화유산 향유라는 문제의식이 본격화 된다. 문화유산교육은 '문화유산의 새로운 의미'를 수용하고, 문화유산교육 속에서 '문화적 권리'와 '학습자 중심 교육' 등 새로운 문제의식을 담은 문화유산교육의 전략을 모색해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지역문화유산교육 사업의 시행으로 나타난다. 지역은 다양한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공간이다. 그러나 지역문화유산교육이 그 자체로 문화유산 향유의 근본적 지향인 생활세계로의 진입과 생활세계와 결합한 새로운 전체성을 구현할 수는 없다.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노력을 통해서 '생활 속 문화유산'의 모색이 가능할 것이다.

철도차량유산의 보존현황과 활성화 방안 (The Conservation Status and Vitalization Plan for Railroad Car Heritage)

  • 석민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2호
    • /
    • pp.38-57
    • /
    • 2018
  •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발굴과 보존 연구는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근대 문화유산등록제도와 근대 철도교통문화유산 발굴 작업 등에 국한되어 왔다. 한편 철도관련 단체 등의 노력은 미비하였고 철도공사에서 철도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내부지침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철도문화유산 중 철도차량유산을 중심으로 보존 및 활성화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철도차량유산의 현장답사를 통해 보존현황을 파악하였고, 해외의 보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철도차량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인식하고, 널리 알리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철도차량유산들은 한 장소에서 보존 전시만 할 것이 아니라 보존 차량의 개방 및 관람대를 제공하여 관람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둘째, 천연기념물이나 무형문화재와 같이 철도를 하나의 문화재 범주로 인식하고 문화재보호법 개정을 통해 문화재 항목을 신설해야 한다. 셋째, sns 및 블로그와 카페를 활용한 전략적 홍보를 통해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키고, 철도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넷째, 법령 및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철도차량유산을 관리하고 이를 운영할 예산, 전담부서, 전담인원의 충원은 문화재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철도문화유산의 합리적인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법적 조항을 만들어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보존의 근거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철도차량유산은 그 보존 가치가 높고, 지역의 상징이자 역사의 흔적이며, 삶의 기록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책 및 보호법 개정에 대한 기준의 정립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Lacquer Techniq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Junghae PARK;Jaewan CHOI;Uicheon LEE;Minji KANG;Soochul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es on eight objects of wooden lacquerware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lacquer layer analysis with a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revealed that most samples were composed of 1-3 lacquer layers. Moreover, a red-colored layer was found to be red ocher and cinnabar,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lacquer layer. The detected components were mostly lacquer and partially cashew shell nut liquid.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분의 재현연구 (Experimental Reproduction of Cosmetic Powders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Hwahyup)

  • 이민혜;이한형;정용재;이채훈;백운기;김효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7-19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품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분석결과와 문헌상의 화장품 제법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화장분 일부를 재현하고 과학적 분석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출토 화장분은 탄산납과 활석으로 이루어진 백색분과 주사로 이루어진 적색분이다. 재현 백색분은 탄산납의 원료로 염기성탄산납인 연백을 이용하였으며, 열화 후 출토 백색분과 유사한 결정구조로 변화되었다. 주사, 명반, 노른자를 이용하여 재현한 적색분은 열화 후에도 출토품의 결정구조와는 차이를 보였으며, 출토 적색분은 순수한 주사로 제조되었거나 유기물 부패에 의해 현재의 결정구조를 갖게 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재현 화장분의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발색력은 현대 화장품의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재현 백색분의 발림성과 흡유능은 배합비율에 따라 일부 시료에서 현대 화장품과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한국근대주거건축물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in Korea Modern House)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87-96
    • /
    • 2006
  • Since the idea of registering architectural heritag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code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in July, 2001, more systematic and flexible application the code has been in great demand.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hat we preserve modern buildings and then use this research data what find our modern history. So we should find connection of modem and tradition with the overcome of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Accordingly, based on preservation cases and finding of modern house heritage,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hat we find the way of the best u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more comprehensive and commonsensical guideline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rchitecture satisfying both the government and the registering party, based on more thorough architectural analysis of residential edif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for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by point, area and network method. (2) It is needed that periodically check and record central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management of those. (3) It's consider that develop of conservation method on co-ownership with citizen by house personality.

Analysis of Pigments in the Buseoksa Josadang Murals in Yeongju

  • Song, You Na;Lee, Han Hyoung;Baek, Na Yeon;Jung, Cham Hee;Park, Min Jeong;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9
    • /
    • 2020
  • Scientif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int pigments used in the Buseoksa Josadang murals. optical microscopy(OM), X-ray fluorescence(XRF), XRF mapp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SEM-EDS), and Raman spectroscopy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pigmen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Josadang murals consist of two paint layers wherein the pigments were distinct for most colors. It was estimated that celadonite, white clay, red ochre, cinnabar and minium, synthetic green pigment containing tin and zinc paratacamite, or botallackite were used in the upper layer. In addition, bone white, celadonite, red ochre, azurite, cinnabar or vermilion, and gold were identified in the lower layer. In addition, as Zn and Sn were detected in the green pigments extracted from the top layer of the paint, it is believed that Josadang murals were repainted over the original paint layer at some point after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white pigments containing calcium phosphate were found in all the colors in the bottom layer, which is the original paint laye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because this is the first time that white pigments ar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revealed about the pigments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reference for the pigments used in the Goryeo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