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8초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산업유산, 근대 문화 유산,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 등 기억의 경관들이 공공 공간으로 새롭게 활용되고 있다. 여러 유형의 기억의 경관 중 19~20세기에 주로 형성된 근대 역사 경관(modern historic landscape)은 근대사에 대한 평가 및 인식 변화에 따라 보존과 철거 간 논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관이다. 본 연구는 1995년 철거된 서울의 구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근대 역사 경관을 둘러싼 보존과 철거 사이의 쟁점을 검토하고, 보존 및 철거를 결정하는 가치 판단 기준과 근대 역사 경관의 형성 방식을 탐구한다. 먼저 1980~1999년 사이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다룬 신문기사, 뉴스, 토론 프로그램 자료와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철거 논쟁의 주요 쟁점으로 다음의 여섯 가지 항목을 도출한다: 상징적 위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의 발견과 대응, 관련 국가의 반응과 개입, 재정적 여건, 경관의 기능과 이용 방식, 도시 역사 건축 정책 변화. 이를 기반으로 근대 역사 경관을 형성하고 보존 혹은 철거를 결정하는 중요한 가치로서 상징적 가치 간 대립 양상과, 근대 역사 경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비판에 대응하는 기능적 가치의 역할을 고찰한다. 특히 본 연구는 근대사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의 향방 또한 변화하지만, 오늘날에도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전히 상징적 가치라는 점에 주목했다. 근대 역사 경관은 오늘날 중요한 설계 대상지 중 하나로서 여전히 합의되고 해결되어야 할 역사적 쟁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근대 역사 경관의 가치를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배경에 자리한 사회적 맥락을 재검토했다는 점에서 동시대적 의의를 갖는다.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적 변천과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유산 가치 해석 (Historical Changes of Incheon Freedom Park and Its Heritage Value Interpretation as the Historic Urban Public Park)

  • 김순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39
    • /
    • 2023
  • 본 연구는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가치를 공원 및 주변지역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고지도 및 항공사진에 기반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유공원의 시대별 변천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근현대사의 시대적·문화적 변화를 바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공원은 (1)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보여주는 증거일 뿐 아니라, (2) 국내 최초의 도시계획에 기반한 도시공원으로서의 역사적인 가치도 지니며, 또한 (3) 근·현대 급변한 시민 생활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유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유산 가치 규명에도 불구하고, 자유공원의 유산 가치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명 및 복원·활용을 위해서는 향후 자유공원에 대한 깊이있는 자료의 탐색 및 발굴연구 등 추가 연구들이 요구된다.

의령 입산마을의 중층적 경관 특성 (A Study on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Uiryeong Area)

  • 임의제;소현수;배수현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113-127
    • /
    • 2018
  •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landscape of Ipsan Village is the accumulated outpu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and social behavior by the historic personages through the reference research and field surveys. And the study sorted out the over-layer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psan Village by analyzing the dispersed landscape elements as follows. First, right before the start of Japanese invasions to Korea(1592-98), Tamjin(耽津) An(安) Family moved into Ipsan and started establishing the a single clan village. At a site with mountain background and facing the water(背山臨水), the village used to be a typical farming one with an organically planned road-system and housing area following the traditional order. However, the landscape has changed drastically since the 20th century with the construction of banks, roads and readjustment of arable land etc. Second,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can be figured out through the 'Gosanjaesibyukgyeong(高山齋十六景)' in the 18th century, shows its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 mountain & valley, stream & field, traditional trees, etc, cultural landscape: village, well, spring, etc, and momentary landscape: seasons, time, weather phenomena, sound, behavior, etc. Third, based on the second, 16 natural landscape elements: mountain & stream, planting, etc. and 25 cultural landscape elements: housing spaces, self-cultivation & ceremony spaces, community spaces and modern education & enlightenment spaces were selected and interpreted as landscaping meanings. Fourth, the over-layered landscape which stems from the compositive functions and inter-connectivity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onsists Ipsan Village is regarded as 'Natural geographical and Fungsu landscape', 'Rural production and livelihood landscape', 'Confucian ceremony and symbolic landscape' and 'Modern education and enlightenment landscape.'

광산지역 문화경관자원의 가치 해석에 관한 연구 -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Value -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Gwangsan-gu -)

  • 박익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25-133
    • /
    • 2012
  • This study intended to interpretate the current value of th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san region, Gwangju-si. The 35 significant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gsan region appear education, people in history, living residence, religion & belief, distribution of cultural site, tomb, industry, topographic scenery characteristics. They are classified such as 22 traditional landscape resources, 7 modern landscape resources, 6 natural landscape resources. The significant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were evaluated by value items of 4 natural landscape, 4 social, and 5 cultural. As a result of value evaluation on th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Gwangsan region, the highest value were appeared on the cultural items, while the lowest value were appeared on the social items. And high evaluation were appeared on regional identity, cultural preservation, regional monumentality, visibility, while low evaluation were appeared on unique naturality and connectivity of assets.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Criteria and Relative Importance for Con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 박재민;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20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들이 찾아낸 근대 문화유산을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정부와 전문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곳에 숨겨진 지역 문화유산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기준은 서술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다소 모호하고, 일부 가치만을 반영하고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80년대 이후 서구 유럽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있어 초기 건축적, 미학적 가치만이 아닌 사회문화적, 학술적 가치와 최근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한 평가가치로 제시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장되어온 문화유산의 선정가치를 참조하여, 보전 가치와 관련한 역사적, 미학적, 사회 문화적, 학술적 가치, 활용 가치와 관련한 교육적,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여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다만 선정된 가치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었던 역사적 가치는 여전히 가장 주요한 선정 기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과거 중요한 가치였던 미학적 가치는 새롭게 등장한 사회 문화적 가치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개별 시설의 아름다움보다는 근대문화유산의 사회, 환경적 관계를 보다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활용가치의 경우, 보전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건축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어 사라지고 있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해 다각화된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반영함으로써, 지역민 스스로도 지역 내 근대 문화유산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nalysis & Planning;The Beijing Olympic Forest Park

  • Jie, Hu;Yi-Xia, Wu;Lu-Shan, Lu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8-14
    • /
    • 2007
  • The Beijing Olympic Forest Park lies at the north end of the 2008 Olympic Plan, "Axis to Nature," and terminates the Olympic axis with a model ecosystem and scenic vistas. The park is a combination of urban green lung, ecological buffer, traditional Chinese park, Olympic park, native forest, and urban retreat. Chinese traditional park concepts,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logical techniques are merged into one project for the 29th Olympic Games and the citizens of Beijing.

  • PDF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Famous Garden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 Yonglai Zhang;Yanni Ru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65-73
    • /
    • 2004
  • Contradictions often occur between the process of urban modernization and protection of history and culture, which have become the topics of current studies. The development of a city has its past, present and future while history and culture have their continued process. Culture is the sediment of history, left among buildings and merged in life. Exerting a subtle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a city and behaviors of citizens, culture is very important to the urban construction and is also the soul of a city and its buildings. Culture is closely bound up with inhabitants' life and the key to protect well the cultural features is to protect well historical and cultural venues. Qushuiyuan Garden is a venue for local folklore activities. The programming holds that folklore, historical and humane sceneries should be protected and left to our coming generations.

  • PDF

포장재료의 심리적 특성 분석 (Psychological Character Analysis of Pavement Materials)

  • 김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51
    • /
    • 2004
  • Recently, the importance of choosing correct pavement materials has been increasing in urban spaces and streets. Much research regarding the pavement theory and construction method have been conducted, but analysis in terms of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 has not yet been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to 12 pavement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 for each pavement materi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to each pavement material were as follows: ① Clay embodies a natural, traditional, soft and intimate psychological character; ② Pebble stone has a natural, hard, cool and intimate psychological character; ③ Turf grass incorporates an intimate and soft psychological character; ④ Ceramic brick has an artificial and hard psychological character; ⑤ Tile pavement has a modern, artificial, hard and cool psychological character; ⑥ Water permeable concrete has a modern and artificial psychological character; ⑦ Flag stone has a natural psychological character; ⑧ Granite has a modern and artificial psychological character; ⑨ Portland concrete has an artificial and hard psychological character; ⑩ Small compacted brick has an artificial, dynamic and modern psychological character; ⑪ Wood block pavement has a natural and traditional psychological character; ⑫ Asphalt concrete pavement has a modern, hard and artificial character. 2. On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regarding psychological indexes for 12 pavement materials, pavement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 3 clusters. Among them, one cluster was mainly used as the most popular pavement material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From this point of view, psychological character for pavement material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was not as various as we expected. 3. 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pavement materials was very importa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urban spaces and streets.

18~19세기 정원 예술에서 현대적 시각성의 등장과 반영 -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 렙턴의 시각 매체를 중심으로 - (Modern Vision in the 18~19th Century Garden Arts - The Picturesque Aesthetics and Humphry Repton's Visual Representation -)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0-39
    • /
    • 2015
  • 픽처레스크 미학과 풍경화식 정원은 자연을 그림과 같이 정태적으로 감상하게 만드는 이른바 회화적 자연관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시각 문화를 선원근법에 의존하여 설명한 데에서 연유한다. 실상 당시는 새로운 시각 매체의 발명에 따라 종래의 원근법에 기반했던 시각성이 '유동적인 시각'과 '시점의 상대성'으로 요약되는 '움직이는 시각성'으로 변모해가는 바로 직전의 시기였다. 이 연구는 그러한 시각 문화의 변동에 주목하여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렙턴의 시각 매체에서 나타나는 '움직이는 시각성'의 징후를 읽어내고자 한다. 18세기 독일의 정원 이론가 히르시펠트는 풍경화식 정원은 구불구불한 선을 이용하여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다른 예술 형식보다 우월하다고 분석했다. 18세기 말 야기된 픽처레스크 논쟁에서 아마추어 이론가들은 회화에서 복잡하고 다채로운 시각의 변주를 중요하게 여기고, 정원도 그러한 시각적 자극이 만들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렙턴의 "레드북"에 수록된 스케치에서는 움직이는 시각성이 반영된 다양한 재현 전략들이 발견된다. 렙턴은 속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의 길을 체계적으로 설계했고, 인간의 시각장을 표현하기 위해 회화적 프레임이 아닌 파노라믹 뷰를 활용하였으며, 현실에서의 움직임과 유사한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스케치들을 전략적으로 배열하였다. 이와 같이 픽처레스크 미학과 렙턴의 시각 매체는 당대 시각 문화에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움직이는 시각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동해연안 주택외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recognition about Individual Housing according to the landscape in Donghae Seaside)

  • 조원석;김흥기;김용기;주재우;김정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7-35
    • /
    • 2005
  • This study is about finding out characteristic of recognition individual housing in seaside of Donghae.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survey the 150 houses related to the landscape. Thus the major analysis is to take basic data, such as image(modern, western, traditional, etc) about exterior form of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landscape.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for the characteristic of recognition were exterior material finish, exterior color, roof type, roof material finish, window size, roof slope, area of wall vs roof. Second, the image of traditional housing was very insufficient to plan landscape of housing with design element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landscape housing of future is to be environmental landscape design and the proper design is to be various considering not only user's preference but also control of landsc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