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Busa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 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 및 지식수준 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Attitude and Knowledge of Modern Environmental Issues)

  • 신은화;김은진;김용권;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73-28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attitude and the knowledge level of elementary school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on the modem environmental issues, and to implement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instrument for attitude was developed as a Likert-type scale, it was constituted of 30 items through the item-chosen processe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attitude instrument was .899. Second, The instrument for knowledge was developed as a multiple-choice form with 와 distracts, and the final version was constituted of 35 items. The average discrimination, difficult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items were .367, .629, .899, respectively. Thir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been thinking about the modern environmental problems more seriously than pre-service teachers. However, in-service teachers 'knowledge level was lower than pre-service teachers'. Fourth, women have been thinking about the modern environmental problems more seriously than me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men and women on knowledge level. Fifth, This process of developing the instrument could be provided as a model for future research which will try to develop instruments for assessing attitude or knowledge of any new areas with constructs.

  • PDF

1930-40년대 부산·경상지역의 근대 역사문화유산에 사용된 강재의 재료적 특성 (Materi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used in Modern Historical Heritage of Busan and Gyeongsang in the 1930-1940s)

  • 안재철;송종목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6호
    • /
    • pp.39-46
    • /
    • 2014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which is the most basic material for steel structures and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s in modern period. We theorized the technical data for the research of technical history of modern heritage structures by analyzing the product system and its quality control of structural steel used in modern historical heri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ounded bars were used in most of modern heritage structures. But in the case of Waegwan railroad bridge, the deformed bars were used in spit of not using in Japan after the great earthquake of Kantou. Second, the structural steel was good in terms of quality control, but It has brittle properties because it was not manufactured by heat treatment process.

공공 문화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 -부산시 박물관 및 미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the Public Cultural Space -Focused on the Museums and Art Museums in Busan City-)

  • 왕단;윤지영;티엔휘;이지엔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8-76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공간 시설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부산의 대표적 문화공간인 부산 시립박물관과 부산 시립미술관 그리고 부산 현대미술관을 선정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여부 및 현황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평가요소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5가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현장조사를 통해, 각 문화공간을 직접 방문하고 그 실태를 조사한 후,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문화공간별 세부평가항목 결과를 보게 되면 그 순위는 부산 현대미술관, 부산 시립박물관, 부산 시립미술관 순으로 나타났고, 위 세 가지 장소에서 문화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의 평균 적용성은 53.6%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별 평균은 매개시설이 가장 좋은 평가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내부시설, 위생시설, 기타시설, 안내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공공 문화시설에 대해 정기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조사 및 관련 시설의 개조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소화장(昭和莊)의 현황과 평면변용 특성 연구 (A Study on Sowhajang's Present Condition and Plan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 정미정;유재우;장유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23-134
    • /
    • 2011
  • 'Sohawjang' is the first apartment house built in Busan the modern period, 1944. 'Sohawjang' needs to be apprised its value as an very important object of study with architectural and dwelling historic meaning because multi-family houses built in Japanese Rule Era that now exist in Korea are very rare.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leave records to archive by conducting face to face interviews and surveying on 'Sohawjang' which is seriously in danger of extinction and its original form damage as the first step. Especially, around Korea's Liberation, this study tried to extract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and cultural differences appeared on differences of occupants having different nationality.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ra of apartment house and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modern dwelling historic dimension according to changes of users appeared in Busan modern period. Through this study, it offers basic data about introduction and transition processes of an apartment house in Korea. It has an meaning of suggestion reference data for original form preservations or regenerations.

근대 부산 대정공원에서 개최된 국낙원(菊樂園)의 구성과 홍보 전략 (A Study on Contents and Marketing Strategy of Kikurakuen held at Taisho Park in the Modern Busan)

  • 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12
    • /
    • 2014
  • 이 연구는 근대 부산의 대정공원에서 3년간에 걸쳐 개최된 국낙원의 준비 과정과 국낙원의 볼거리인 국화로 만든 인형인국인형 그리고 예기(藝妓)들이 꾸민 연무 공연의 내역을 밝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대정공원 국낙원의 전모를 밝히고 상업적 성공을 위하여 사용한 홍보 전략을 고찰한 것이다. 1926년부터 1928년까지 3년간에 걸쳐 부산 대정공원에서 개최된 국낙원은 국화를 이용하여 일본 역사의 극적인 장면이나 카부키 등 대중 예술의 한 장면을 인형으로 재현한 국인형, 대륜국과 현애국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가꾼 국화와 분재로 구성한 국화단, 그리고 미도리마치 유곽에서 선발되어 한 달 정도 강습을 받은 일본인 조선인 예기들의 카부키, 구극 등 연무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예기들은 일본과 동래에서 초청한 전문 예능인으로부터 예능을 단기간에 배워 무대에 올랐다. 국낙원의 홍보 전략은 주최자 부산일보가 기획한 것으로 지속적인 보도와 예기들의 인기투표, 경품 행사, 그리고 시민의 참가였다. 국낙원은 3회라고 하는 단명으로 끝났다. 이 연구는 근대도시 시설인 공원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공원의 생활사를 발굴한 것이다.

소화장(昭和莊)의 주거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in Sohawjang)

  • 정미정;유재우;김동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9-92
    • /
    • 2011
  • Built in 1944, in Busan, Sohawjang has currently remained in severe state of transformation. Sohawjang is a rare case of modern housing complex in Korea and it is a significant historic building as housing history and technique history. This study is to leave the basic data about modern housing by finding the substance of Sohawjang, a unusual case of modern housing complex in Korea, and examples of housing transformation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original shape and architectural history about Sohawjang, modern apartment building,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ransformation. For implementing,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experimental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study, after the independence, various cases of transformation were investigated from floor plan of Japanese middle corridor. This study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housing by analyzing outcomes and examined the reason and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e Sohawjang's housing transformation cases, modern housing complex, that has not been disclosed so far and draw the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on as the Architectural Planning.

  • PDF

일제강점기 부산 이출우검역소 건축과 변용 특성 (The Space Modification and Facilities Characteristics of Busan Exported-cow Quarantine Service Station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유재우;송혜영;홍지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3-12
    • /
    • 2019
  • This study is concerning on the Space Modification and Facilities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Exported-cow Quarantine Service Station(1909) before and afrter on the limits of 1945. For on this purpos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DJB0002115), field survey, documents records and modern aged map were analysised by each period phases, 1909, 1924, 1946, 1951 and now so on. At results on this study is the discovery on the meaning of this placeness, Space Modification and Facilities Characteristics till now before the 120 years ago. And this place has been comprehenive meaning unique dwelling form and almost rarely existing refuge village of Korea War in Korea.

근대 부산에서 대정공원의 성립 과정과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aiSho Park in Modern Busan)

  • 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2-102
    • /
    • 2013
  • 대정공원은 운동장과 휴양 위락 시설을 겸비한 운동공원이다. 1910년 당시 부산 이사관 카메야마가 대만으로 이동할 때 그를 기념하기 위한 도시 시설로써 운동장의 건립에 관한 최초의 발의자는 당시 경제인들이었다. 하지만 운동장 건립은 카메야마의 죽음 이후인 1915년 무렵부터는 타이쇼 천황의 즉위 기념사업으로 진행하게 된다. 1917년 부산 부윤의 제안으로 운동장 건립이 본격화하고, 부지 선정 작업에 들어간다. 부지 선정지 후보를 두고 논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운동장 부지 선정의 조건으로 먼저 운동장에 합당한 유효 부지 면적, 시가지와의 거리 다시 말해서 접근성, 그리고 예산이었다. 수차례의 논의와 실제 부지 조사의 결과, 전염병원이 이전하고 난 뒤 소학교가 들어오기로 한 부지를 공원 부지로 선정한다. 대정공원의 공사비는 모두 부산부민들의 기부금으로 마련하게 된다. 지역 상공인과 회사, 관공서, 지역별로 기부금 모금 위원회를 구성하여 조직적으로 모금하였다. 그 결과, 공사비 전액을 부민의 기부금으로 조성하게 된다. 대정공원은 크게 운동공간과 휴양, 위락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원의 세 방향에 입구를 두고, 외주는 식재를 하였다. 야구장은 공원의 중앙부에 자리 잡았고, 테니스 코트 2곳도 마련하였다. 일본 스모장도 공원의 북쪽에 마련하였다. 대정공원은 한국 근대 최초의 체육공원이었다. 그리고 공사비 전액을 주민의 모금으로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1910년 당시 부산에서 운동장을 건립해야만 했던 이유를 밝히는 것이 남은 연구 과제다.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43-36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로컬리티를 기록화하기 위해 우선 부산의 로컬리티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부산의 로컬리티를 어떻게 밝힐 수 있을 것인가? 기억이 정체성 형성의 근본이므로 부산에 대한 기억이 부산의 지역정체성, 즉 로컬리티 형성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과 정체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부산에 대한 기억을 분석함으로써 부산의 로컬리티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부산에 대한 기억을 파악하기 위해서 부산시청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의 인물>을 시대와 주제로 분석한 결과,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등재된 인물이 없었고, 조선시대에도 장영실을 제외하고는 부산 출신의 학자는 없었다. 등재된 인물의 대부분은 부산으로 부임해 온 동래부사와 같은 목민관이었다. 그러나 개항기에 이르면 신교육을 받은 부산인물의 약진이 눈에 띈다.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한 결과 동래구, 수영구, 사하구는 정주의 공간임을, 중구와 그에 인접한 서구와 영도구는 일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이주의 공간이며, 동구는 정주의 공간에서 개항을 계기로 이주의 공간으로 변모하였음을 밝혔다. 조선시대의 행정중심지였던 동래가 개항 이후 주변화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일본인의 집단거주지인 이주의 공간이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는 관부연락선과 경부선 등 새로운 교통수단이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개발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술관에서 평면전시와 입체전시에 따른 관람행태의 변화;부산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The Variation of Visitor' Behavior in relation to the Planar Exhibi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Exhibition in Art Museum;focused on Busan Museum of Modern Art)

  • 정재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4-91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visitors' behavior change in relation to the pattern of exhibition in art museum. For the purpose Busan Museum of Modern Art was selected as the sample in this study. And two patterns of exhibition, namely the planar exhibi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exhibition, were surveyed using the tracking movement method. The data gathered from random-sampling 60 visitors in a art museum was analyz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visitors' behavior by the exhibition pattern in terms of their viewing area, viewing time, viewing distance, viewing velocity, viewing rate. 2) In contras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stops by visitors and the time spent without movement to see the objects; visitors stopped more often and stayed longer within the three dimensional exhibition space than the planar exhibition in a art museum. In sum, visitors extrinsically show no big behavioral difference between the planar exhibi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exhibition, but much difference in the way they communicate with objects; they show more active behavior within the three dimensional exhibitio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