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aiSho Park in Modern Busan

근대 부산에서 대정공원의 성립 과정과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aiSho park in modern Busan. The TaiSho park is an athletic park which combines a playground and a rest facilities. The arguments on construction of playground commenced for commemorating Kameyama, Busan director official, when he moved to Taiwan in 1910. First Proposers which construct to sport park were businessman in that time. However, construction of playground was progress as a commemoration business of accession of Taisho Tenno. Playground construction got into stride by the proposal of the Busan mayor Wakamatsu in 1917. When it looks into process of discussion about a site selection candidate, norms of playground site selection are the paly ground which appropriate with effective site area and distance between park and a section of a city, in other hand, those are accessibility and budget. As a result of several arguments and actual site investigation, it was decide to select a site which enters to elementary school, after the isolation hospital relocates. The cost of construction of the TaiSho park is prepared by donation of the Busan civil. The donation fund raising committee was constituted by local commerce and industry people, a company, government, municipal offices and area, and funds was raised systematically. As a result, total amount of construction cost was made from the donation of local civil. The TaiSho park is broadly into two sectors; exercise area and rest and pleasure space. Entrance was set up in three aspects of the park and the subcontract planted. The baseball field took the seat in the central part of the park, and also prepared two tennis courts. Japanese Sumo field was also prepared for the north side of the park. The significance of the TaiSho park in Korea Park history can be summarized in South Korea's first sports park and which was made from the donation of local civil. The remained subjects from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disappearance process of TaiSho park and a reason why modern Busan people want to get playground.

대정공원은 운동장과 휴양 위락 시설을 겸비한 운동공원이다. 1910년 당시 부산 이사관 카메야마가 대만으로 이동할 때 그를 기념하기 위한 도시 시설로써 운동장의 건립에 관한 최초의 발의자는 당시 경제인들이었다. 하지만 운동장 건립은 카메야마의 죽음 이후인 1915년 무렵부터는 타이쇼 천황의 즉위 기념사업으로 진행하게 된다. 1917년 부산 부윤의 제안으로 운동장 건립이 본격화하고, 부지 선정 작업에 들어간다. 부지 선정지 후보를 두고 논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운동장 부지 선정의 조건으로 먼저 운동장에 합당한 유효 부지 면적, 시가지와의 거리 다시 말해서 접근성, 그리고 예산이었다. 수차례의 논의와 실제 부지 조사의 결과, 전염병원이 이전하고 난 뒤 소학교가 들어오기로 한 부지를 공원 부지로 선정한다. 대정공원의 공사비는 모두 부산부민들의 기부금으로 마련하게 된다. 지역 상공인과 회사, 관공서, 지역별로 기부금 모금 위원회를 구성하여 조직적으로 모금하였다. 그 결과, 공사비 전액을 부민의 기부금으로 조성하게 된다. 대정공원은 크게 운동공간과 휴양, 위락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원의 세 방향에 입구를 두고, 외주는 식재를 하였다. 야구장은 공원의 중앙부에 자리 잡았고, 테니스 코트 2곳도 마련하였다. 일본 스모장도 공원의 북쪽에 마련하였다. 대정공원은 한국 근대 최초의 체육공원이었다. 그리고 공사비 전액을 주민의 모금으로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1910년 당시 부산에서 운동장을 건립해야만 했던 이유를 밝히는 것이 남은 연구 과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용(1995).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서울: 도서출판 조경.
  2. 김동철 (2008). 기억의 표상으로서의 왜관, 쓰에효고 추모비의 건립과 고관공원의 조성. 한국민족문화. 31: 103-126.
  3. 김승, 양미숙 편(2010). 사진으로 보는 신편 부산대관.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문화교섭연구단.
  4. 大島勝太郎(1932). 朝鮮野球史. 大阪屋号書店.
  5. 부산광역시 서구청(2013). 송도100년.
  6. 부산일보. 1918년 5월 24일.
  7. 부산일보. 1915년 3월 7일.
  8. 부산일보. 1915년 3월 9일.
  9. 부산일보. 1915년 8월 9일.
  10. 부산일보. 1917년 10월 9일.
  11. 부산일보. 1917년 11월 2일.
  12. 부산일보. 1917년 11월 8일.
  13. 부산일보. 1917년 11월 9일.
  14. 부산일보. 1917년 12월 20일.
  15. 부산일보. 1917년 12월 21일.
  16. 부산일보. 1917년 12월 6일.
  17. 부산일보. 1918년 5월 12일.
  18. 小野良平(2003). 公園の誕生. 吉川弘文社.
  19. 정지영, 조승래, 강영조(2006). 근대 용두산공원의 성립과 그 변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69-77
  20. 川島熹彙(1935). 新釜山大観. 釜山出版協会.
  2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22. 부산광역시 서구 문화관광홈페이지(http://culture.bsseogu.go.kr/)
  23. FUSAN,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