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Busa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근대 부산의 교통 발달과 기록 - 기차와 전차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f Busan in the Modern Age and Its Records: Focused on Trains and Trams)

  • 김동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71
    • /
    • 2011
  • 근대는 시공간의 압축 시대다. 근대 부산의 시간을 압축시킨 중심축은 기차와 전차다. 기차와 전차 등 근대교통의 발달은 근대도시의 시공간적 성격을 변화시켰다. 근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기차와 전차를 통해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찾으려고 하였다. 근대도시 부산의 발달은 근대성과 식민지 수탈성을 담보하고 있다. 로컬리티 기록은 로컬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을 읽어낼 수 있는 자료이다. 근대교통과 관련된 '로컬리티의 기록화'는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읽어내기 위한 작업이다. 교통이 지역사회, 지역사람들의 일상, 공간변화와 어떻게 상호 연관을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것을 위한 작은 시도다.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부산근대역사관)의 복합구조 특성 (The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ly the Busan Branch of Toyo Takushoku Co.(Busan Modern History Museum))

  • 안재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0호
    • /
    • pp.63-70
    • /
    • 2019
  • The Busan branch of the former Toyo Takushoku Co. carried out the same business as a bank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is required an open space of long-span, which had no pillars, on the first floor where many customers frequently visited. In addition, an office space is required in the upper part, and a column is arranged so as to place a corridor in the center. It was designed with modern complex structures for space utilization and structural adaptation. As a result, scientific structural calculations of the modern era began and various structural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the rationalization and value of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tructural design were analyzed from a technical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structure requiring long-span space. The Busan branch of the former Toyo Takushoku Co. is a complex structure with three structures. It is highly valuable as a building that tried to design its structure in a variety of spaces through calculation and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based on the principle of force in modern times.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Opening Port)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1-547
    • /
    • 2014
  •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측후소(釜山測候所)를 중심으로 본 근대기 측후소 건축의 설치과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Observatory Construction, Centering on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 김영분;김기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2호
    • /
    • pp.39-52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一'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입지적 특성과 성립 시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Time of Cherry-blossom Attractions in the Modern Era Busan)

  • 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7-58
    • /
    • 2016
  • 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하지 않았던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실상을 밝히기 위하여 당시 부산에서 발간된 일간지 <부산일보(釜山日報)>와 <조선시보(朝鮮時報)>에 게재된 벚꽃 구경과 벚꽃 놀이의 기사를 발굴하여 그 장소를 토지 이용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하는 시기의 동정과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에 관련한 신문기사는 봄의 도래를 알리는 계절화로서 벚꽃이 피어 있는 장소를 알리는 내용에서 점차 벚꽃이 군생하고 있는 장소에 모여드는 사람들의 유흥 행위를 소개하는 것으로 변화되어 간다. 단순히 벚꽃이 화려하게 피어 있는 장소는 신문지상에서 노출되는 빈도는 점점 적어지고, 벚꽃이 만개한 행락지에서 유흥 내용의 소개로 변화해 갔다. 이것은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는 벚꽃 구경의 명소에서 벚꽃놀이의 명소로 성숙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근대 부산의 벚꽃의 명소는 개인주택정원, 온천 여관의 정원, 사찰, 수원지, 배수지, 학교 등 공공용지, 동래온천장, 미도리마치 유곽 등 상점가로 나눌 수 있었다. 장소는 정주 환경의 가장자리, 다시 말해서 도시와 자연의 접점공간에 형성되었다. 둘째, 근대 부산의 벚꽃 명소는 1920년 무렵부터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성립한 것은 1920년 무렵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벚꽃 구경의 명소가 개인 주택 정원, 배수지 등 공공의 접근의 어려운 곳도 거론되었지만, 벚꽃놀이의 명소는 누구나가 접근할 수 있는 공공의 장소가 주로 거론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봄철 행락지가 되었다.

부산지역 일본인 주거지내의 일식주택과 양풍건축의 유입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rse of the Inflow of Japanese-style houses and Western-Style Architecture)

  • 허만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1-60
    • /
    • 2001
  • This study has tried to explain the background of the inflow of western-style architecture, the influx of foreign architectural technicians, the import of building materials, the inflow of Japanese-style houses, and the course of the inflow of western-style architecture in the Busan area since 1910 so as to make the basic data of the forming course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study of the modern history of architecture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Japanese-style houses and western-style architecture in Korea were brought in by foreigners, not by Koreans, Also, in Busan all sorts of building materials were imported by Japanese. Japanese-style house and western-style architecture were built by Japanese. 2) Japan has planned the network of roads through the expectation of increasing Japanese in the concession. And constructed houses on the rule of construction since 1877. 3) Western-style architecture in Busan was mostly constructed by Japanese carpenters, and they imitated western-style architecture.

  • PDF

근대 부산에서 고관공원의 성립과 설계 사상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Design Conception of KoKwan Park in Modern Busan)

  • 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32
    • /
    • 2013
  • 본 연구는 근대 부산에서 발간된 釜山日報와 부산부(釜山府)에서 발간한 <釜山>을 분석하여 근대 부산의 삼대 공원으로 꼽는 고관공원의 성립과정을 밝히고 설계도면을 발굴하여 설계 사상을 분석한 연구다. 고관이라는 장소는 두모포 왜관이 설치되어 있던 곳이다. 부산의 개항과 함께 일본인 거류민의 고토의식을 고양하기 위하여 두모포 왜관의 이전에 진력하다가 급사한 대마도 사신 쓰노에 효고의 묘역과 초혼비를 고관 언덕에 세웠다. 1916년 그 장소를 모금으로 정비한 뒤 부산부(釜山府)에 기부하고, 그곳을 고관공원으로 부르면서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한편, 개항 전 해 부산에 와서 상공업에 종사하면서 거부가 된 오이케 츄스케의 수상기념동상이 부산 개항 50주년을 기념해서 고관공원 부근에 건설한다. 그 동상이 건설된 장소를 부산부에 기부하고, 이를 부산부는 고관공원으로 정비한다. 고관공원의 설계를 의뢰 받은 일본 오사카부 기사 오야 레죠는 고관공원의 설계하기 위하여 부산을 방문하고, 설계도를 부산부에 제출한다. 고관공원의 시설은 신사와 동상, 수목원과 온실, 아동유원 등이었다. 오야의 설계에 나타난 설계 사상은 성과 속의 병치, 산수 컨텍스트의 계승, 공원 컨텐츠의 보완, 국민국가 형성의 도구로 분석되었다. 고관공원은 설계자의 예산에 못 미치는 공사비 2만 원으로 완성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설 정비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이 장소는 동구청, 주택 등이 들어 서 예전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고관 공원의 소멸 과정을 밝히는 것도 추후의 연구 과제다.

한국 근대은행 실내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Arrangements of the Modem Bank Buildings of Korea)

  • 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0-20
    • /
    • 2007
  • The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are being collected and organized in a systemic fashion.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with the materials relative to interior design. They are gradually disappearing or being lost. In particular, no serious attempt has yet been mad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 value of the interior design of the modern bank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isappearing legacy of the interior design of modern bank buildings by learning the inner space arrangements of these build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interior design in order to determine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modern commercial interior design. Banks of relatively large scale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y consisted of: Chosun Bank(1911) and its Andong, Wonsan and Cheongjin branches; Chosun Shiksan Banks and its Busan, Daegu and Pyongyang branches; the Busan branch of the 18 Bank; Dongil Bank, Chosun Savings Bank(1935) and their branches. The study focused on the space arrangement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se banks. Although they aimed at modernization in designingtheir interior spaces, the modern bank buildings were not representative of any particular style of interior design. While western style designs were prevalent, eclectic designs incorporating many different styles exi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design of banks of the time included installation of such decorations and use of high quality construction materials for interior and exterior expressing the wealth as to create an aura of credibility for the banks, while the floor arrangements were relatively stereotyped and simplified.

초량왜관 건축과 역사적 경관 재현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Choryang Waekwan and Historical Landscape)

  • 부학주;김정동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3호
    • /
    • pp.81-98
    • /
    • 2006
  • Choryang Waekwan was the biggest Japanese settlment to house the Japanese diplomatic mission and traders in Korea. Waekwan means Japanese Pavilion literally, but the reality of this Waekwan exceeded much the scale of single architecture. Since Choryang Waekwan was clo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site of this settlement grew rapidly as the downtown of Busan, which was the first port open to foreign countries in modern Korea. The formation of modern port owes much to the presence of Japanese settlment in Lee Dynasty as long as Choryang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the trading port toward Japan and vice versa. Busan is the nearest city to Japan, in fact. Within a day ships could reach Tsushima Island, the island region north of Fukuoka, which played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Seoul and Edo. No architectural remain could be seen on the actual site of Choryang Waekwan. The site has become one of the busiest centers in Busan with quantify of office buildings and shops. The former Busan City Hall was located in this area. The field survey of the site as well as the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newly found both in Korea and in Japan, enabled to reconstruct the architecture and cityscape of Waekwan by way of computer graphics.

  • PDF

의미네트워크 분석법을 이용한 근대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사회적 논의 분석 - 부산광역시 근대건조물 구)한성은행 부산지점(청자빌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ocial Discussion 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sed on the former Busan Branch of Hansung Bank(Cheong-Ja Bldg) as a Modern Heritage -)

  • 안재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7호
    • /
    • pp.101-108
    • /
    • 2019
  • In this research, I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centering on media articles on purchasing, revitalizing, and utilizing the former Busan branch of Hansung Bank, a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We sought the most efficient analysis elements for the analysis of the social arguments abou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embedded in media articles. For this reason, Degree Centrality measures how many connections the word described in the media article has, and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the influence that controls 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correlation I examined. In addition, keyword that express the theme well examined the aggregation structure in each sub-network. In this research, in theoretical terms, it makes sense in that the social discussion embedded in the article of the mass media is grasped empirically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words. Methodological aspect is best when it includes nouns and adjectives and the distance between words is more than four words in the analysis of the cohesive structure of the semantic network to determine whether the influence of social discussions is best assesse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words to media articles.